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7 00:07:01

원비(고구려)


파일:고구려 군기.svg
고구려 왕후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be673> 동명성왕 유리명왕 대무신왕
예씨부인 소서노
1
왕후 송씨
2
화희
3
치희
1
원비
2
차비 해씨
<rowcolor=#fbe673> 민중왕 모본왕 태조대왕 차대왕
왕후 의 모후 막근 · 막덕의 모후 추안의 모후
<rowcolor=#fbe673> 신대왕 고국천왕 산상왕 동천왕
남무의 모후 왕후 우씨
1
왕후 우씨
2
후녀
연불의 모후
<rowcolor=#fbe673> 중천왕 서천왕 봉상왕 미천왕
1
왕후 연씨
2
관나부인
왕후 우씨 왕후 왕후 주씨
<rowcolor=#fbe673> 고국원왕 고국양왕 광개토대왕 장수왕
구부 · 이련의 모후 담덕의 모후 거련의 모후 조다의 모후
<rowcolor=#fbe673> 문자명왕 안장왕 안원왕 양원왕
흥안의 모후 왕후 한씨
1
정부인
2
중부인
3
소부인
양성의 모후
<rowcolor=#fbe673> 평원왕 영양왕 영류왕
평강공주 · 의 모후 건무 · 대양의 모후 왕후 환권의 모후
<rowcolor=#fbe673> 보장왕
복남의 모후
<rowcolor=#fbe673> 보덕국 왕후
<rowcolor=#fbe673> 안승왕
왕후 김씨
고구려 국왕
고조선 · 백제 · 신라 · 고려 · 조선 · 대한제국 · 대한민국
}}}}}}}}}

元妃
생몰년도 미상

1. 개요

고구려 제3대 국왕인 대무신왕의 첫째 왕비. 모본왕의 어머니다.

원비(元妃)는 첫째 왕비라는 의미의 호칭으로, 성씨나 이름은 알 수 없다.

2. 생애

32년 11월, 차비 해씨 소생인 호동왕자가 대를 이을 자리를 빼앗고 태자가 될 것을 두려워했다. 원비는 남편 대무신왕에게 "호동이 저를 예로써 대하지 않으니 아마 음란한 짓을 하려는 것 같다."고 참소했다. 대무신왕은 처음에 호동이 다른 사람의 아이라 미워하는거 아니냐고 반문했다.

원비가 눈물을 흘리면서 “청컨대 대왕께서 몰래 살펴보시고, 만일 이런 일이 없다면 제가 스스로 죄를 인정하겠습니다.”고 말하자 대무신왕도 호동을 의심하여 장차 벌을 주려고 했다. 어떤 이가 호동에게 “당신께서는 어찌 스스로 해명하지 않으십니까?”라고 말하자 호동은
“내가 만일 해명하면 이는 어머니의 그릇됨을 드러내어 왕께 근심을 끼치는 것이니, 효도라 할 수 있겠는가.”
“我若釋之, 是顯母之惡, 貽王之憂, 可謂孝乎!”
삼국사기 권14 고구려본기 제2 대무신왕 (32년 11월 기사)

라고 말하곤 곧 칼 위에 엎어져 죽었다.

3. 기록

겨울 11월에 왕자 호동이 자결하였다. 호동은 왕의 둘째 왕비인 갈사왕(曷思王)의 손녀에게서 태어났다. 얼굴이 아름답고 고와 왕이 그를 매우 아꼈던 까닭에 호동이라 이름하였다. 첫째 왕비는 [호동이] 대를 이을 자리를 빼앗아 태자가 될까 두려워하여, 이에 왕에게 참소하여 말하기를, “호동이 저[妾]를 예로써 대하지 않으니 아마 [저에게] 음란한 짓을 하려는 것 같습니다.”라고 하였다. 왕이 말하기를, “당신은 [호동이] 다른 사람의 아이라고 미워하는 것이오?”라고 하니, 왕비는 왕이 [자신을] 믿지 않는 것을 알고, 장차 화가 미칠 것을 두려워하여 눈물을 흘리며 울면서 아뢰어 말하기를, “청컨대 대왕께서 몰래 살펴보시고, 만일 이런 일이 없다면 제가 스스로 죄를 인정하겠습니다.”라고 하였다. 이에 대왕이 의심하지 않을 수 없어 장차 죄를 주려고 하였다. 어떤 이가 호동에게 일러 말하기를, “당신께서는 어찌 스스로 해명하지 않으십니까?”라고 하였다. [호동이] 답하여 말하기를, “내가 만일 해명하면 이는 어머니의 그릇됨을 드러내어 왕께 근심을 끼치는 것이니, 효도라 할 수 있겠는가!”라고 하고, 곧 칼 위에 엎어져 죽었다.
冬十一月, 王子好童自殺. 好童王之次妃曷思王孫女所生也. 顔容羙麗, 王甚愛之, 故名好童. 元妃恐奪嫡爲大子, 乃讒於王曰, “好童不以禮待妾, 殆欲乱乎.” 王曰, “若以他兒憎疾乎.” 妃知王不信, 恐禍將及, 乃涕泣而告曰, “請大王密候, 若無此事, 妾自伏罪.” 於是, 大王不能不疑, 將罪之. 或謂好童曰, “子何不自釋乎.” 荅曰, “我若釋之, 是顯母之惡, 貽王之憂, 可謂孝乎.” 乃伏劒而死.
삼국사기 권14 고구려본기 대무신왕

4. 창작물에서

바람의 나라에서 이지라는 이름으로 나온다. 자세한 내용은 이지(바람의 나라) 문서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