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나무위키:프로젝트/중국 근현대사에서 다루는 문서입니다.
해당 프로젝트 문서를 방문하여 도움이 필요한 문서에 기여하여 주세요!
해당 프로젝트 문서를 방문하여 도움이 필요한 문서에 기여하여 주세요!
제8차 중국 공산당 중앙서기처 서기 | ||
한문 | 王稼祥 | |
한국식 독음 | 왕가상 | |
영문 | Wang Jiaxiang | |
출생 | 1906년 8월 15일 청나라 안후이성 징현 | |
사망 | 1974년 1월 25일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시 | |
국적 |
청나라
파일:청나라 국기.png
→ 중화민국 파일:중화민국 북양정부 국기.png → 중화민국 파일:대만 국기.png → 중화인민공화국 |
|
직업 | 정치가 | |
종교 | 무신론 |
1. 개요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인. 일찍이 모스크바 손중산 대학에 유학가서 공산주의 이론을 익히고 28인의 볼셰비키 그룹의 일원이 되었다. 그러나 마오쩌둥과 대립한 왕밍, 보구와는 달리 마오쩌둥과 손을 잡고 대장정 때 마오쩌둥이 공산당의 1인자로 등극하는데 크게 기여했다. 그후 팔로군 총정치부 주임, 중국 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 등을 역임했으며 중화인민국 수립 후 소랜 주재 중국 대사, 외교부 부부장, 중국 공산당 서기처 서기 등의 직책을 맡았다. 그러나 대약진 운동 실패 후 제국주의, 수정주의, 반동국가와 화합하고 민족주의 운동의 축소를 제기한 삼화일소(三和一少) 정책을 주장했다가 문화대혁명 시기 호된 박해를 받았다.2. 생애
2.1. 초기 경력
왕자샹은 1906년 8월 15일 안후이성 징현 후안촌의 지주 겸 상인 집안에서 태어났다. 그는 7살에 유계소학교에 입학해 1919년 졸업했고 한동안 서당에서 훈장에게 교육받았다. 1922년 왕자샹은 성공회가 설립한 남릉현 낙육학교에 들어가 공부했고 1924년엔 우후(蕪湖)의 성야곱 중학교에 진학해 그곳에서 공부하면서 공산혁명을 선전하는 출판물을 읽고 공산주의를 자신의 이념으로 삼았다. 1925년, 왕자샹은 성 야곱중학교 학생들을 조직해 성격공부와 기도를 강제하는 학교의 방침에 반대했다가 학교에서 쫓겨났다.1925년 9월, 왕자샹은 상하이로 가서 상하이대학 부속학교에 들어가 공산당 청년단에 가입했다. 그리고 같은해 10월엔 소련으로 유학가서 모스크바손중산대학에 들어갔다. 그는 영어 실력이 뛰어났기 때문에 장원톈, 신쩌민(沈澤民) 등과 함께 영문반에 편입되어 외국어 강의를 들었다.
그러던 1927년 손중산대학교 총장 카를 라데크가 해직되고 파벨 미프 부총장이 교장을 대리해 학교를 주재했다. 그후 1928녀녀 초 손중산대학 소공지국 일부에서는 학교지부국의 업무에 대해 불만의 목소리가높았다. 학교 지부국은 당의 영도를 무시한다는 이유로 그들에게 '선봉주의(先鋒主義)' 낙인을 찍고 공산당 소공지부를 개편했다. 두 파벌의 갈등이 1928년 여름 절정에 달했을 때 토론회가 개최되었고, 코민테른은 학교지부국을 지지했다. 그러나 많은 학생들은 여기에 반발했고, 학교 지부국에 반대하는 무리들은 학교 지부국을 따르는 이들을 28인의 볼셰비키라고 불렀다. 왕자샹은 이 28인의 볼셰비키 중 한 명이었다.
1928년 2월, 왕자샹은 중국 공산당에 가입했고 붉은 교수대학에 진학하는 동시에 중산대학의 '중국문제' 과목을 개설해 직접 학생들을 가르쳤다. 그러다가 1930년 2월에 중국에 귀국해 중국 공산당 중앙선전부 간사, 중앙당보위원회 비서를 역임했다. 그러나 그는 리리싼 노선을 비판했다가 당내에서 엄중한 경고 처분을 받고 홍콩으로 보내졌다. 그러다가 12월에 중앙정치국은 그의 처분을 철회했고, 왕자샹은 다시 상하이로 소환되었다. 이후 1931년 1월, 왕자샹은 중국 공산당 4중 회의 이후 당보위원회 비서장을 맡았다.
2.2. 마오쩌둥의 측근이 되다
1931년 2월, 왕자샹은 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총정치부 주임을 맡았으며 1931년 11월 루이진에서 열린 제1차 전국 소비에트 대표 대회에서 중앙 소비에트 군사위원회 부주석과 외교 인민 위원에 임명되었다. 이후 열린 간남회의에서, 왕자샹은 마오쩌둥의 농민 중심, 게릴라 중심 노선을 협소한 경험론, 부농 노선이라고 비판했다.같은 해 12월, 왕자샹과 류보젠(劉伯堅)은 줘취안 폭동을 계획하는 권한을 맡았다. 그리고 1932년 2월,왕자샹은 공농홍군 총정치부 주임으로 자리를 옮겼으며 홍군의 장저우 침공에 참가해 장저우 공략을 완수했다. 이후 코민테른은 적극적인 공세를 요구했다. 10월 상순, 쑤저우구 중앙국은 닝두회의를 열어 마오쩌둥의 군권을 박탈해 저우언라이에게 넘기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뜻밖에도 왕자샹은 "마오쩌둥 동지의 군사 경험은 결코 무시할 수 없다."며 마오쩌둥을 적극 옹호했다. 그후 왕자샹은 1933년에 전방에서 작전을 지휘하는 주더와 저우언라리를 도와 국민혁명군의 제4차 초공작전을 막아내는 데 성공했다.
1933년 4월 28일, 왕자샹과 저우언라이 등이 회의를 하던 도중 국민혁명군이 루이진을 공습했다. 이때 폭탄이 터지면서 생긴 파편이 왕자샹의 체내에 박혔고, 왕자샹은 평생 이 체내에 박힌 파편의 고통으로 후유증에 시달렸다. 그후 그는 소련 유학파들의 숙청 작업에 맞서 현지 간부들을 보호했는데, 그 중 대표적인 인물은 덩샤오핑과 샤오징광(蕭勁光)이었다.
1934년 10월, 왕자샹은 대장정에 참가하면서 마오쩌둥, 장원톈과 함께 홍1군을 이끌었다. 세 사람은 행군하는 도중에 여러차례 교류하며동맹을 결성하고 보구와 오토 브라운을 공동으로 반대하기로 결의했다. 1935년 1월 15일 쭌이 회의에서, 장원톈, 마오쩌둥, 왕자샹은 잇따라 발언하여 보구와 오토 브라운의 지휘를 규탄하고 저우언라이, 녜룽전, 양상쿤 등 대다수의 지지를 받았다. 결국 보구는 실각했고 오토 브라운 등 소련 고문단은 소련으로 귀국했으며, 마오쩌둥은 중국 공산당 정치국 상무위원으로 승진했고 왕자샹도 정치국 위원으로 승진했다.
3월 12일 정치국 회의에서 저우언라이, 마오쩌둥, 왕자샹으로 '3인단'을 구성해 군사지휘를 맡기기로 결정했다. 또한 그는 장궈타오의 "남하하여 쓰촨성과 티베트 국경지대에 자리잡자."는 주장에 반대하고 "산시성으로 북상해 소련의 지원을 받자."는 마오쩌둥의주장에 적극적으로지지했다. 그후 왕자샹은 홍1군을 따라 산시성 북부지대에 도착했다.
2.3. 중일전쟁 시기
1936년 10월, 중국 공산당은 왕자샹을 소련에 보내 치료하게 했다. 이에 왕자샹은 1937년 7월 시안, 톈진, 상하이를 거쳐 소련으로 가서 부상을 치료했다. 그리고 11월부터는 왕밍을 대신해 중국 공산당 국제대표를 맡아 코민테른에서 중국의 혁명과 항일 전쟁에 대해 적극적으로 설명하고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가 중국에서 수립한 노선과 방침을 소개했다. 1938년 3월 런비스(任弼)가 소련에 도착한 후, 왕자샹은 런비스와 함께 코민테른을 설득해 코민테른이 중국 공산당의 정치노선과 마오쩌둥의 영도적 지위를 인정하는 결의를 채택하게 했다.1938년 7월 중국에 귀국한 왕자샹은 중앙정치국 회의와 중국 공산당 6기 6중전회에서 잇달아 코민테른의 지시를 전달하고 마오쩌둥을 주석으로 삼는 중국 공산당의 노선을 확고히 했다. 그후 왕자샹은 중국 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을 맡았고 총정치부 주임 겸 팔로군 총정치부 주임, 화북공작위원회 주임 등을 역임했다. 그는 마오쩌둥이 군사위원회의 일상적인 업무를 주관하는 것을 도우면서 중국 공산당 중앙의 일련의 중대한 결정에 직접 참여했다. 또한 그는 <팔로군정 잡지>를 창간하고 전진사업 시찰단을 구성하며 부대에 연락부를 조직했다.
1942년, 왕자샹은 중앙 학습팀 부팀장을 맡아 정풍운동에 참여했다. 그가 초안을 잡은 <중앙당성 증강에 관한 결정>은 정풍운동 학습 문건 중의 하나로 분류되었다. 1943년 7월, 왕자샹은 <중국 공산당과 중국 민족해방의 도로>라는 논설을 발표하여 마오이즘의 개념과 내용을 설명했다. 그런데 1945년 6월 9일 중국 공산당 7기회의에서 204표를 얻어 과반수에 못 미치는 바람에 중앙위원에 선출되지 않아 정치국 진입 자격을 잃었다. 그러자 마오쩌둥은 다음날 제7대 20차 회의에서 <제7기 후보 중앙위원 선출에 관한 문제> 보고서를 작성해 왕자샹의 탈락을 강하게 비판했다.
1. 나는 위원들이 선거 판도를 중시하기를 희망한다.
2. 왕자샹의 중앙위원 낙선은 중앙위원회의 큰 손실이다.
3. 나는 이번엔 동북 지역의 동지가 뽑혀야 한다고 생각한다.
2. 왕자샹의 중앙위원 낙선은 중앙위원회의 큰 손실이다.
3. 나는 이번엔 동북 지역의 동지가 뽑혀야 한다고 생각한다.
마오쩌둥의 이날 연설은 4페이지짜리 분량이었는데, 왕자샹의 낙선을 다룬 연설은 그중 2페이지 반이나 차지했다. 마오쩌둥은 왕자샹의 공로를 일일이 열거했으며, 특히 쭌이회의와 6기 6중 전회에서의 중요한 역할을 열거하고 그를 중앙의 기둥으로 간주했다. 또한 마오쩌둥은 왕자샹의 몸상태를 문제삼는 이들의 주장에 대해 "왕자샹은 지금 병에 걸렸는데, 이는 국민당의 제4차 토벌 때 부상당한 것"이라고 맞받아쳤다. 절대 권력자 마오쩌둥이 이렇듯 왕자샹을 뽑아달라고 부탁하니 위원들이 감히 거역할 수 있겠는가? 결국 1945년 6월 11일 제7대 총선 결과 후보 중앙위원 33명이 선출되었는데, 왕자샹은 득표 2위를 기록하며 중앙위원에 당선되었다.
2.4. 국공내전 시기
중일전쟁이 끝난 후, 왕자샹은 건강검진을 하던 중 이전에 치료할 때 X선에 화상을 입은 자리가 이미 썩은 상태임을 발견했다. 결국 그는 다시 소련에 가서 병을 치료할 수 밖에 없었다. 그후 1947년 5월 하얼빈으로 돌아온 왕자샹은 중국 공산당 동북국 위원, 도시 공작부장을 맡아 하얼빈에 대한 복구와 개발을 주관했다. 1948년 6월, 왕자샹은 '도시사업 대강 초안'을 작성해 생산 발전, 경제번영, 공사 병행, 노사 쌍방의 이익 방침을 제시했다.1948년 8월, 왕자샹은 동북국 선전부장에 취임했다. 그리고 1949년 3월 중국 공산당 7기 2중전회에서, 마오쩌둥과 류사오치는 왕자샹이 동북에서 취한 방침이 훌륭하다고 칭찬하고 그를 중앙위원으로 배속시켰다. 그해 6월부터 8월까지, 왕자샹은 류사오치와함께 소련으로 가서 중국의 혁명 과정을 통보하고 중화인민공화국 수립과 중소 관계 발전 등 여러 문제를 협의했다. 그리고 그해 9월, 그는 중국 인민정치 협상회의 제1차 전체회의에 참가했다.
2.5.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후
1958년경 왕자샹, 마오쩌둥, 덩샤오핑
1949년 10월, 왕자샹은 중앙인민정부 외교부 부부장으로서 소련 주재 대사직을 맡았다. 그는 마오쩌둥의 소련 방문을 주선하고 중소 회담과 중소 우호동맹 상호 원조 조약 체결에 참가했다. 1950년 여름, 왕자샹은 몸이 좋지 않아 요양원으로 가서 요양생활을 하고 가을이 지날 무렵이 귀국한 뒤 다시는 소련 주재 대사를 맡지 않았다. 1951년 1월, 왕자샹은 중국 공산당 대외연락부를 조직하고 부장을 맡으면서 1959년까지 외교부 부부장을 겸임했다.
1951년 4월, 왕자샹은 소련으로 가서 스탈린과 회담했다. 이때 스탈린이 중국 주도의 아시아 사회주의 국가연합 창설 구상을 제시했지만왕자샹은 비현실적이라는 이유로 동의하지 않는다는 뜻을 밝혔다. 이후 1953년부터 1958년까지 중앙 국제활동 지도위원회 주임위원을 역임했고 1954년엔 제네바 회의에 참여했다.
1956년 9월, 왕자샹은 중국 공산당 8기 1중전회에서 중앙서기처 서기에 당선되었다. 이후 왕자샹은 1957년 내몽골 일대의 반우파 투쟁을 즉각 중지해 더이상의 희생자를 내지 않게 했다. 또한 왕자사야은 1954년, 1959년, 1965년에 잇따라 정협 제2,3,4기 전국위원회 상무위원에 당선되었다. 그러나 몇년 후, 그는 문화대혁명의 희생자로 전락하고 만다.
2.6. 문화대혁명의 시련과 사망
1962년 7천인 대회 이후 대약진 운동으로 인한 기근 문제가 드러났다. 왕자샹은 류닝이(劉寧一), 우슈취엔(伍修權)과 함께 연명으로 저우언라이, 덩샤오핑, 천이(陳毅)에게 편지를 보내 "실사구시, 양력이행"(實事求是,量力而行)을 건의했다. 이에 대해 마오쩌둥은 왕자샹이 제국주의에 대한 화해, 수정주의에 대한 제휴, 인도와 각국의 반동세력에 대한 화해, 민족주의 운동을 축소하려 한다며 '3화일소(三和一少)'를 주장한다고 간주했다. 왕자샹은 자신이 이런 건의를 한 이유에 대해 1969월 1월 25일에 다음과 같이 밝혔다."7천인 대회에서, 우리의 위대한 지도자의 친밀한 전우
린뱌오 주임은 자신의 보고서에서
흐루쇼프가 공산주의의 반역자라는 유명한 논문을 발표했다. 나는 속으로는 그러한 논거에 동의하지 않았다..... 흐루쇼프가 공산주의의 반역자가 될 수 있음을 부인하진 않지만, 당시 흐루쇼프가 공산주의의 반역자임을 공식화한다면 흐루쇼프와의 결별 문제가 발생한다. (중략) 이것은 전쟁과 평화 그 이상의 문제다. 나는 이미 쌍방이 모두 핵무기를 보유하는 한 전쟁이 터진다면 승자는 없고 모두가 공멸하므로 피할 수 밖에 없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그의 이같은 주장은 곧 거센 비판을 받았다. 그는 정치 심사를 받았고 중국 공산당 부장직에서 해임되었다. 그러나 그의 고난은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1966년 6월 9일, 중앙문혁소조의 왕리가 왕자샹을 겨냥해 "이것은 무슨 성격의 투쟁인가"라는 대자보를 부착했다. 그리고 6월 21일, 캉성은 왕리와 함께 간부회의에서 "류사오치, 덩샤오핑, 왕자샹 타도"라는 구호를 외쳤다. 심지어 캉성은 "삼화일소"라는 표현은 부족하다며 "삼항일멸(三降一滅)"[1]이란 용어야말로 왕자샹의 본 뜻이라고 주장했다.
그후 왕자샹은 여러 차례 홍위병들에게 공격당하고 육체적, 정신적인 고통에 시달렸다. 그나마 저우언라이가 그를 도와준 덕분에 목숨은 건질 수 있었으나 1968년 4월 격리심사를 받았고 1969년 10월 린뱌오의 지시에 따라 신양(信陽)으로 가서 억류되었다. 그러던 1970년 겨울, 왕자샹이 폐렴으로 생명이 위독해지자, 신양시장이 마오쩌둥에게 이 사실을 알렸고 마오쩌둥은 왕자샹이 고향으로 돌아가 치료받을 수 있도록 허락했다.
1972년 5월 20일, 중국 공산당 중앙정부는 베이징에서 업무 회의를 개최했다. 이때 마오쩌둥은 회의에 앞서 왕자샹 등 13명의 노간부를 해방한다고 선포했다. 이후 1973년 10대 당대회에서, 왕쟈상은 다시 중앙위워에 선출되었다. 그러던 1974년 1월 24일, 샤오진광이 왕자샹을 찾아와 장칭이 중국 해군에 대해 비림비공운동을 개시했다고 알려줬다. 왕자샹은 저우언라이를 겨냥한 이 운동에 대해 매우 걱정스러워했다. 다음날 새벽, 그는 심장병으로 갑자기 사망했다. 향년 68세. 왕자샹이 사망한 후 중국 공산당 중앙은 1월 30일 추도대회를 거행했으며 1979년 3월엔 왕자상 복권을 공식 발표했다.
3. 가족 관계
왕자샹의 아버지 왕승조(王承祖)는 작은 농지를 경작하는 동시에 전당포와 기름방을 운영했고 어머니 차단(査端) 농민이었다. 또한 왕자샹에게는 2명의 누나가 있었다. 큰 누나 왕초덕(王招德)은 오지송(吳之松)에게 시집갔고, 두 사람은 2녀 1남을 낳았다. (딸 오패란[吳佩蘭]과 오페분[吳佩芬], 아들 오보화[吳報華]). 왕초덕은 항일전쟁 전에 병으로 죽었고, 오보화는 베이징 시 베이다이허(北戴河) 관리처에서 근무했다. 1966년 문화대혁명이 벌어졌을 때 홍위병들이 오보화를 잡아서 왕자샹의 죄를 폭로하도록 요구하며 온갖 구타와 욕설을 퍼부었다.왕자샹은 일생 동안 세번 결혼했다. 1925년, 왕자샹은 부모의 권고로 그의 초등학교 영어교사 차문매(查文梅)의 딸 차서향(查瑞香)과 결혼했다. 두 사람은 아들 왕밍(王命)을 낳았으나, 차서향은 아이가 한달도 안됐을 때 세상을 떠났다. 그후 1928년 소련에서 유학중이던 왕자샹은 모스크바에 있던 우크라이나 처녀와 결혼했으나 1년만에 이혼했고 1935년 3월 5일 주중리(朱仲麗)와 옌안에서 결혼했지만 두 사람 사이의 자식은 없었다.
왕자샹의 둘째 누나 왕진옥(王珍玉)은 적소원(翟紹元)과 결혼했고 농장에서 왕자샹을 아들 왕밍, 왕초덕의 딸 2명과 아들 하나를 길렀다. 그리고 왕진옥과 적소원 사이에서는 두 딸 적신화(翟新華), 적신민(翟新民)이 있었다.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후, 왕자샹과 왕진옥, 적소원, 그리고 그들의 아이들은 같은 집에서 함께 살았다. 그러나 1966년 문화대혁명으로 베이징 시에서 추방된 왕진옥-적소원 부부는 고향인 안후이성에서 구걸하다가 얼마 후 병에 걸려 사망했다.
왕진옥 부부의 딸 적신화는 베이징 부외병원 당지부 서기 및 간호사를 지냈다. 그러다가 왕자샹의 일에 연루되어 홍위병에게 끌려나가 온갖 구타와 모욕을 당했다. 결국 그녀는 견디지 못하고 수면제 과다 복용으로서 자살했다. 그리고 왕자샹의 유일한 자식 왕밍은 아버지를 고발하라는 홍위병들의 회유와 협박에 시달리다가 호수에 투신해 자살했다.
4. 참고 문헌
[1]
제국주의에 투항하고, 수정주의에 투항하며, 인도 등 반동국가에 투항하며 민족해방운동을 소멸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