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8 09:38:25

왕소군


중국 4대 미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uby(서시,ruby=西施)] [ruby(왕소군,ruby=王昭君)] [ruby(초선*,ruby=貂蟬)] / [ruby(우미인,ruby=虞美人)] [ruby(양귀비,ruby=楊貴妃)]
침어(浸魚) 낙안(落雁) 폐월(閉月) 수화(羞花)
* 초선은 소설 《 삼국지연의》에서 창작된 가공의 인물이기에 초선 대신 우미인을 포함하기도 한다.
}}}}}}}}} ||


파일:external/cfs10.blog.daum.net/download.blog?fhandle=MDYxNnVAZnMxMC5ibG9nLmRhdW0ubmV0Oi9JTUFHRS8yLzIwOC5qcGcudGh1bWI=&filename=208.jpg

1. 개요2. 혼인 과정3. 유복한 노후4. 가계5. 미녀 비극 코드6. 대중매체에서

1. 개요

王昭君

양귀비, 서시, 초선과 더불어 중국 4대 미녀 중 한 명.

기원전 1세기경의 인물로, 흉노 호한야 선우(呼韓邪單于), 복주누약제 선우(復株累若鞮單于)의 처로 원래는 한나라 원제의 궁녀였다. 정확한 생몰연도는 불확실하다. 다만 호한야 선우와 결혼한 시기 등을 통해 출생 년도를 추정할 뿐이다.

사실 소군은 자이고, 본명은 장(嬙)이다. 실제 이름은 왕장이었던 것. 또 호한야 선우는 왕소군을 영호 연지(寧胡 閼氏)로 봉했다. 훗날 사마소의 이름인 '소(昭)'를 피휘하여 왕명군(王明君) 혹은 명비(明妃)라 일컬어지기도 했다.

대한민국에서는 양귀비 초선 등에 비하면 일반 대중들에게는 비교적 덜 알려져 있는 인물. 그러나 중국에서는 지지가 확고한 미녀이다. 포사, 양귀비 등 대부분 중국사에 등장하는 미녀들이 국가의 멸망에 관여하는 좋지 못한 모습으로 그려지는 데 비해, 왕소군은 평화를 위해 기꺼이 희생한 숭고한 여인의 이미지이기 때문이다. 다만 자의로 했다는 증거가 없기 때문에 정말 자신을 희생한 것인지는 불명.

2. 혼인 과정

한서 원제기에서는 경녕(竟寧) 원년(기원전 33년)[1] 봄 정월에 호한야 선우가 입조하여 위와 같이 혼인을 요청하자, 대조(待詔) 액정(掖庭) 왕장(王嬙)을 신부로 보냈다는 기록이 나온다.

<서경잡기>에 의하면, 평소 한원제 후궁이 많아서 화공에게 궁녀들의 초상화를 그리게 한 뒤, 그걸 보고 누구와 동침할지를 결정했다. 당시에는 후궁으로 들어가서 황제 얼굴도 한 번 못 보고 죽는 여자도 많았기 때문에, 후궁들은 화공 모연수에게 예쁘게 그려 달라고 뇌물을 바쳐댔다. 하지만 왕장만이 뇌물을 주지 않아서 황제의 총애를 받을 수 없었다.[2]

당시 흉노 전한은 평화를 유지하고 있었다. 이 시기 흉노의 지도자인 대 선우 호한야는 한족 궁녀를 보내 달라는 요청을 하게 되는데, 이에 전한은 적당히 후궁을 보내기로 한다.[3] 원제는 그래서 초상화만 보고 흉노로 보내도 아깝지 않을 왕장을 보내기로 결정했다. 그런데 가기 전날에 왕장을 만나보았더니 웬걸, 왕장이 천하절색이었다. 그 아름다움을 접하고 넋이 나갔지만, 이미 결정된 사항이라 왕장을 흉노에게 보낼 수밖에 없었다. 흉노에게 보내기 전에 하룻밤을 함께 했다는 이야기도 있기는 하다. 그리고 초상화를 그린 모연수는 당연히 분노한 원제에 의해 처형되었다.

3. 유복한 노후

위에 나온 저런 사연 따위를 알 리 없는 호한야 선우는 '이런 미녀를 주다니 한나라가 우리 흉노와 잘 지내고 싶다는 거구나'하고 입이 찢어져라 기뻐했으며[4] 정중히 그녀를 대접했다. 왕장은 호한야 선우의 연지가 되어 아들을 낳았고, 호한야 선우의 사후 당시 흉노족의 수계혼 관습대로 호한야 선우의 아들인 복주누약제 선우[5]의 처가 되어 딸을 낳았다.

지금은 물론 당시 한족의 생각으로도 아버지의 처첩을 자식이 물려받는 것은 있을 수 없는 패륜이었기에 이를 왕장의 비극이라고 하기도 하나 유목민들의 사회에서는 자신을 낳은 생모나 적모를 제외한 아버지의 처첩을 아들이 들이는 것은 당연히 해야 할 습속이었다.[6]

채옹의 '금조'에 따르면, 왕장이 흉노의 수계혼 풍습에 따라 의붓아들과 합방할 것을 강요받자 거부하고 자살했다고 전하며, 민간 전승에서는 심지어 국경을 넘어간 후 강물에 투신하여 자살함으로써 원제에게 절개를 지켰고, 흉노가 그 의기를 높이 사서 그곳에 무덤을 만들어 주었다고 한다.

하지만 왕장은 사실 흉노 땅에서 오래오래 살면서, 한족 문화를 흉노에 전파하는 데에 많은 기여를 했다.[7] 후한서 흉노 열전에 금조를 참고해서 쓴 범엽은 아버지가 죽으면 아들이 서모들은 모두 자기 아내로 들이지만, 친어머니와 적모는 들이지 않는다는 걸 알았는지 그 부분은 채택하지 않았다. 왕장과는 상관이 좀 떨어지지만, 이 시기를 전후해 흉노와 한 왕조는 비교적 우호 관계를 유지했고 흉노의 침략 또한 사그라들었다. 왕장을 비극적인 여인이라는 모습으로 인식할지언정 나쁘게 보지 않는 것엔 이런 점도 작용한 듯하다.

4. 가계

5. 미녀 비극 코드

이런 미녀 비극 코드는 후대 창작자들의 감수성을 강하게 사로잡아, 다양한 작품에서 소재로 다루게 되었다.

왕장이 흉노에게 시집을 갈 때 고향 생각에 금을 켜자 기러기가 그 소리에 취해 떨어졌다고 하여 낙안(落雁)이라는 말이 생겼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사실과는 좀 다르다. 원래 이 말은 《 장자(莊子)》의 '제물론(齊物論)' 편에 나온다. 제물론에서는 진헌공의 애첩인 여희의 아름다움을 묘사하면서 ' 침어낙안(沈魚落雁) 폐월수화(閉月羞花)' 라는 표현을 사용하였다. '물고기가 가라앉고 기러기가 떨어지고 달은 숨고 꽃도 고개를 숙이는 미모'라는 것이다. 그리고 이것이 각각 침어, 낙안, 폐월, 수화에 대응하게 되었다. 이것으로 4대 미녀가 정해진 것이다.[9]

미인도에는 미녀들을 상징하는 아이템이 있는데, 왕장의 경우는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이 호복이고, 보통 함께 사용된 것이 비파다. 그래서 만일 말 옆에서 모피옷 비슷한 것을 입고 비파 같은 현악기를 든 미인 그림을 봤다면 90%는 왕장을 묘사한 것이라고 보면 된다.[10]

그 외에 흉노의 추운 날씨(고향에서 보던 꽃과 풀이 없으므로)를 비관해 봄이 와도 봄 같지 않다는 ' 춘래불사춘'이라는 시를 지었다고 하는 이야기가 전하는데, 이건 사실과 다르다. 이 시는 정확하게는 당나라 시대의 시인 동방규가 지은 시 '소군원(昭君怨, 왕소군의 원망)'이라는 시의 일부이다.
昭君怨
漢道初全盛 한나라 비로소 번성하여
朝廷足武臣 조정에는 무신들 넘쳐나건만
何須薄命妾 어찌 하필 박명한 아녀자인고
辛苦遠和親 괴로워라 멀고도 먼 화친 길

掩涕辭丹鳳 눈물을 삼키며 궁궐을 작별하고
銜悲向白龍 슬픔을 머금은 채 흉노 땅으로 향하네
單于浪驚喜 선우는 놀라 그저 기뻐하지만
無復舊時容 예전의 낯빛을 다시 찾을 길은 없구나

胡地無花草 오랑캐 땅에는 꽃이 없으니
春來不似春 봄이 와도 봄 같지가 않구나
自然衣帶緩 자연히 허리띠가 헐렁해지는데
非是爲腰身 이는 가는 허리 원해서 그런 것이 아니라네

또한 죽은 뒤 흉노 땅에 묻혔는데, 그 무덤의 풀이 겨울에도 시들지 않아 청총(靑塚)이라 부른다고 한다.
네이멍구 지역 후허하오터(呼和浩特)에 그녀의 무덤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확신할 수는 없다.

유명한 시인 이태백 백거이나 시와는 별 상관 없어 보이는 왕안석, 석숭도 왕소군을 읊은 시를 남기는 등 미인의 대표적 인물로 꼽힌다.

아래는 이태백이 남긴 시 2수이다[11]
소군원昭君怨
昭君拂玉鞍 왕소군이 옥안장을 떨치며
上馬啼紅頰 말 위에 오르니 붉은 두 뺨에 흐르는 눈물
今日漢宮人 오늘은 한나라의 궁인이지만
明朝胡地妾 내일이면 오랑캐의 첩이 되는구나
漢家秦地月 한나라 시절 옛 진나라 땅에 떠 있던 달은
流影照明妃 그림자를 내려 명비를 비추네
一上玉關道 한번 옥관도에 올라
天涯去不歸 멀리 떠나간 뒤 다시 돌아오지 않네

漢月還從東海出 한나라 달은 돌아와 다시 동해에 떠오르건만
明妃西嫁無來日 명비는 서쪽으로 시집가 돌아올 줄 모르네
燕支長寒雪作花 연지산은 늘 추워 눈꽃을 만들고
蛾眉憔悴沒胡沙 미인은 초췌해져 오랑캐 모래에 사라지도다
生乏黃金枉畵工 살아선 황금이 없어 초상화를 잘못 그리게 하더니
死遺靑塚使人嗟 죽어선 청총을 남겨 사람으로 하여금 탄식케 하네

대만의 개그 만화 "크레이지 스토리"에서 위에서 언급한 형사취수 관련 풍습을 재치 있게 패러디했다.

왕장이 흉노 땅에 시집가면서 흉노족 시녀들이 "우리 임금님은 세상에서 제일 못생긴 추남"이라는 소리를 곧이곧대로 믿고 실망하는데, 실제로 보니 준마를 타고 평원을 달리는 잘 생긴 청년왕이 흉노족의 선우였던 것. 한족과 흉노족의 미의 기준이 달라서 생긴 해프닝이었다고. 그리고 잘 생긴 남편 → 죽고 나니 잘 생긴 아들 → 죽자 잘 생긴 동생 등으로 가면서 역하렘을 했다는 내용으로 형사취수 풍습도 대차게 비틀었다. 물론 어디까지나 원본이 개그만화이니 실제로 믿으면 곤란하다.

반삼국지의 마지막 부분에도 간접적으로 출연한다. 위나라가 망한 후 왕장의 묘 부근에서 초막을 짓고 야생인간으로 살던 조식이 그곳에서 북방민족의 왕이 된 조창과 재회하는 것이 소설의 끝이다.

6. 대중매체에서

문명 온라인에서 중국 문명의 보좌관으로 등장한다. 본명 '왕장'이 아니라 '왕소군'으로 나온다.

2007년 중국 드라마 '왕소군'이 CCTV에서 방영되었다. 양미가 왕장을 연기했다.

2015년 게임 왕자영요에서 법사 영웅으로 등장한다. 얼음마법을 사용한다.
[1] 경녕은 동흉노는 한나라에 순종해오고 서흉노는 멸망시켰음을 기념하는 연호이다. [2] 당연히 모연수가 뭔가 훼방을 놓은 것이지만 정확한 언급은 없다. 추녀로 그렸다는 설도 있고, 눈물점을 찍어서 과부상으로 그렸다는 설도 있다. [3] 다른 이야기로는 부마국이 되려고 공주를 보내 달라고 했으나, 공주가 너무 어린 나머지 춥고 험한 북쪽으로 공주를 보내는 게 마음에 걸렸던 원제가 호한야 선우한테 공주 대신 궁녀를 보내주겠다고 하고 양해를 구한 이야기도 있다. [4] 당시 호한야 선우의 동흉노는 이미 한나라에 칭신한 상태였으며 서흉노가 한나라에게 멸망당하는 것을 보고 매우 두려워하고 있었다. [5] 전우 연지와 호한야 사이에 난 아들로 이름은 조도막고이다. [6] 남편이 죽으면 그 재산은 아내가 상속받게 되는데, 이 아내가 다른 사람과 재혼할 경우 가문의 재산이 재혼한 사람에게 전부 넘어가게 되기 때문에 그 경우를 막기 위해서 자식이 아버지의 처첩을 받아들이는 것으로 재산을 지켰다는 설이 있다. [7] 물레를 돌리는 법과 바느질을 포함하여 기타 등등... [8] 거차는 흉노 말로 공주를 뜻하며, 수복과 당우는 흉노 귀족의 이름이다. [9] 그리고 이 댓구에 끼지 못한 조비연은 4대 미녀 취급을 받지 못한다. [10] 왜 100%가 아니냐면 채염 문희가 있기 때문이다. 이쪽도 사정이 비슷해서 이미지가 서로 섞인다. [11] 이백의 시는 조각조각으로 떨어져 나오기 때문에, 첫 번째 시의 앞 4연이 위에 언급된 동방규의 소군원에 붙어 나온 것도 있다. 즉 오언율시 2수인지 오언절구 1수인지 헛갈린다. 아래 시까지 줄줄이 이어져서 하나의 시처럼 표현되기도 하는데 이건 이것대로 헛갈리는 게, 애초에 오언율시니 칠언절구니 하는 정형시 구조가 두보 이후에 확립되었기 때문이다. 즉 아래시는 1+2+3도 있고, 1 2+3도 있고, 1 2 3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