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에 억류되어 있는 오길남의 차녀 오규원에 대한 내용은 오길남 사건 문서 참고하십시오.
<colbgcolor=#000000><colcolor=#fff> 대한민국의 시인 오규원 吳圭原 |
|
|
|
본명 | 오규옥(吳圭沃) |
본관 | 해주 오씨 |
출생 | 1941년 12월 29일 |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 | |
사망 | 2007년 2월 2일 (향년 65세) |
학력 |
부산사범학교 (졸업) 동아대학교 (법학 / 학사) |
1. 개요
오규원(1941~2007)은 대한민국의 시인이자 교육자이다.2. 생애
부산사범학교(현 부산교육대학교)를 거쳐 동아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했다. 1965년 현대문학 부문에 <겨울 나그네>가 초회 추천되고, 1968년 <몇 개의 현상>이 추천 완료되어 작가로 데뷔하였다. 그의 시집으로는 <가끔은 주목받는 생이고 싶다>, <사랑의 기교>, <이 땅에 씌어지는 서정시>, <사랑의 감옥> 등이 있다. 그렇게 활발하게 활동하다가 2007년 2월 2일 지병으로 별세했다. 향년 65세.모더니즘 계열의 시인으로도 유명하지만, 서울예전 문예창작과 교수를 지낼 당시 수많은 문인들을 길러낸 교육자로도 유명하다. 오규원의 저서인 『현대시작법』(문학과지성사, 1990)은 서울예대 문예창작과 학생이 아니더라도 문예창작과에 다닌다거나 시를 쓰려는 습작생들에게는 필수 교과서로 수십년간 읽혀져 오고 있다. 습작단계에서 시창작에 관해 가질 수 있는 잘못된 관점을 바로 잡아주면서, 백과사전에 준하는 수준으로 많은 표현법을 알려주는 책이다.
생전에 신경숙, 장석남, 하성란 등 제자 문인 46명이 그와의 추억과 인연을 회고한 <문학을 꿈꾸는 시절>을 회갑 기념 문집으로 냈는데, 출판 되고 나서 얼마뒤 타계했다.
사후 1년 뒤인 2008년에는 그의 1주기에 맞춰 유고시집 <두두>가 출간되었다.
지식채널e 에서 '우리 시대의 서정시' 라는 제목으로 그에 대한 이야기를 그려내기도 하였다. 보러 가기
3. 수상
4. 저서
4.1. 시집
- 《분명한 사건》(한림출판사, 1971) : 재판( 문학동네, 1997)
- 《순례》( 민음사, 1973)
- 《왕자가 아닌 한 아이에게》( 문학과지성사, 1978)
- 《이 땅에 씌어지는 抒情詩》( 문학과지성사, 1981)
- 《희망 만들며 살기》(지식산업사, 1985)
- 《가끔은 주목받는 生이고 싶다》( 문학과지성사, 1987)
- 《사랑의 감옥》( 문학과지성사, 1991)
- 《길, 골목, 호텔 그리고 강물소리》( 문학과지성사, 1995)
- 《토마토는 붉다 아니 달콤하다》( 문학과지성사, 1999)
- 《새와 나무와 새똥 그리고 돌멩이》( 문학과지성사, 2005)
-
《두두》(
문학과지성사, 2008) : 유고시집
4.2. 시전집
- 《오규원 시 전집》( 문학과지성사, 2002) 전2권
4.3. 시선집
4.4. 동시집
-
《나무 속의 자동차》(
민음사, 1995)
4.5. 시론집
4.6. 창작이론집
-
《현대시작법》(
문학과지성사, 1990)
4.7. 산문집
- 《아름다운 것은 지상에 잠시만 머문다》(문학사상사, 1987)
- 《가슴이 붉은 딱새》( 문학동네, 1996)
4.8. 평론집
- 《 한국만화의 현실》(열화당, 1981)
5. 여담
- 그가 양성해낸 문인 제자들로는 소설가 신경숙, 하성란, 조경란, 강영숙, 윤성희, 천운영, 편혜영, 시인 함민복, 장석남, 이창기, 이진명, 황인숙, 조용미, 박형준, 이원, 황병승 등 숱한 문인들이 있다.
- 타계하기 며칠 전, 제자 이원 시인의 손바닥에 “한적한 오후다/불타는 오후다/더 잃을 것이 없는 오후다/나는 나무 속에서 자 본다”라는 시를 쓴 일화가 유명하다.
- 서울예대 재직 시절에는 상당히 무서운 교수로 통했다고 한다. 한자를 읽지 못해 버벅이는 학생에게 대놓고 면박을 주기도 하는 등 상당한 독설가였다고 한다.
- 문학과지성 시인선 특유의 표지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 동아출판 국어 1학년 책에 <포근한 봄>이라는 시가 나오며, 미래엔 중학 국어 3학년 1학기 교과서에는 문법 단원에서 <포근한 봄>의 시 일부가 수록되어 있는데, 눈의 장단음 비교를 위해 수록되어 있다. 참고로 눈(신체)은 [눈]으로, 눈(날씨)은 [눈:]으로 읽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