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8-17 09:36:29

영락 17년 전투

영락 17년 전투
永樂 十七年 戰鬪
시기 407년
장소 사료 부족으로 인한 장소 불명
원인 사료 부족으로 인한 원인 불명
교전국 고구려 교전국 불명
지휘관 지휘관 불명 지휘관 불명
병력 50,000 명 10,000 명 이상
피해 피해 규모 불명 10,000 명 이상
결과 고구려군의 대승

1. 개요2. 기록
2.1. 교전 상대
2.1.1. 백제 또는 왜 또는 가야 아니면 백제 + 가야 + 왜와 싸웠다는 설2.1.2. 후연과 맞섰다는 설
2.2. 비슷한 시기 고구려, 백제, 후연의 기록
2.2.1. 고구려2.2.2. 백제
2.3. 사구성(沙溝城) 에 대해
3. 기타

[clearfix]

1. 개요

영락 17년 (407년) 고구려 광개토대왕이 5만 대군을 파견하여 어떤 적을 섬멸하고 전리품을 획득함과 동시에 성 몇개를 점령한 전투. 영락 17년 전투라는 명칭은 당연히 공식 명칭이 아니다. 애당초 여수전쟁도 일정한 명칭이 없는 판국이다. 전투 목록/한국사의 전투들도 통용되는 명칭 없이 적당히 제목을 붙힌게 상당히 많다. 특히 고대로 갈수록.

2. 기록

17년(407년) 정미(丁未)에 왕의 명령으로 보군과 마군 도합 5만 명을 파견하여 … 합전(合戰)하여 모조리 살상하여 분쇄하였다. 노획한 (적병의) 갑옷이 만여 벌이며, 그 밖에 군수물자는 그 수를 헤아릴 수 없이 많았다. 또 사구성(沙溝城) 누성(婁城) ▨주성(▨住城) ▨城▨▨▨▨▨▨城을 파하였다.
『광개토왕비문』 출처

상세한 묘사는 아니나, 5만의 대군이 합전하였다는 것으로 보아 대규모 회전을 벌인듯 하다. 더구나 획득한 적군의 갑옷이 만여 벌 이었다니 적군도 최소 수 만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일반적으로 참전국이 대군을 동원하여 정면으로 충돌하는 회전은 명운을 걸고 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 맥락에서 보자면 이 전투에서 깨진 모 세력의 명운은.......

2.1. 교전 상대

위에 나와있는 광개토왕비문 인용문이 이 전투에 관한 사료의 전부이다. 하필이면 그마저도 딱 교전 상대 부분만 파손되어 있어 누구를 격파했는지 알 수 없다.

교전 상대에 대한 학설은 크게 백제설,왜설,백제+왜설,후연설로 나뉘지만 아직 확실한 것은 아무것도 없다.

2.1.1. 백제 또는 왜 또는 가야 아니면 백제 + 가야 + 왜와 싸웠다는 설

2.1.2. 후연과 맞섰다는 설

2.2. 비슷한 시기 고구려, 백제, 후연의 기록

2.2.1. 고구려

15년(서기 406) 가을 7월, 메뚜기떼가 출현하고 가뭄이 발생하였다.
겨울 12월, 연나라의 왕 모용희가 거란을 공격하기 위하여 형북(陘北)에 도착하였다. 그러나 거란의 병사가 많은 것을 겁내어 돌아가려 하다가, 수레의 무거운 군수품을 버리고 가벼운 몸차림을 한 병사들을 데리고 우리나라를 공격하였다. 그러나 연나라는 3천여 리를 행군하여 왔기 때문에 병사와 말이 피로를 견디지 못하고 얼어 죽는 병사들이 길에 줄을 이었다. 그들은 우리의 목저성(木底城)을 공격하다가 이기지 못하고 돌아갔다.
十五年 秋七月 蝗 旱 冬十二月 燕王熙襲契丹 至陘北 畏契丹之衆 欲還 遂棄輜重 輕兵襲我 燕軍行三千餘里 士馬疲凍 死者屬路 攻我木底城 不克而還

16년(서기 407) 봄 2월, 궁궐을 늘려 짓고 수리하였다.
十六年 春二月 增修宮闕

17년(서기 408) 봄 3월, 북연(北燕)에 사신을 보내 같은 종족으로서의 예를 베풀었다. 북연의 왕 모용운(慕容雲)이 시어사(侍御史) 이발(李拔)을 보내어 답례하였다. 모용운의 조부 고화(高和)는 고구려의 방계 혈족인데, 자칭 고양씨(高陽氏)의 후손이라 하여, ‘고’를 성씨로 삼았다. 예전에 모용보(慕容寶)가 태자가 되었을 때 모용운이 무예가 뛰어나서 태자를 모시도록 하였는데, 모용보가 모용운을 아들로 삼아 모용씨라는 성을 주었다.
十七年 春三月 遣使北燕 且叙宗族 北燕王雲 遣侍御史李拔報之 雲祖父高和 句麗之支屬 自云高陽氏之苗裔 故以高爲氏焉 慕容寶之爲太子 雲以武藝 侍東宮 寶子之 賜姓慕容氏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권6 광개토왕 ##

407년 기록에는 궁궐 수리 기록밖에 안보이지만 그 전후 기록이 의미심장하다. 406년에는 후연의 침략을 격퇴하고, (407년에는 후연에게 반격을 가한 뒤) 408년에는 후연이 망하고 고구려의 방계 왕족이 왕으로 등극....

2.2.2. 백제

3년(서기 407) 봄 2월, 이복동생인 여신(餘信)을 내신좌평으로 삼고, 해수(解須)를 내법좌평으로 삼고, 해구(解丘)를 병관좌평으로 삼으니 모두 임금의 친척이었다.
三年 春二月 拜庶弟餘信爲內臣佐平 解須爲內法佐平 解丘爲兵官佐平 皆王戚也
삼국사기》 백제본기 권3 전지왕 ##

407년에 백제에서 대대적인 내각교체를 실시한것을 두고, 407년 전투에서 백제가 고구려한테 갈려서 당시 지휘관이었던 진씨로 대표되는 반고구려 성향 귀족들이 세력을 잃고 경쟁 세력이 득세한 것으로 보기도 한다. 해씨는 친고구려 성향의 귀족이기도 하니 뭔가 의미심장하다.

삼국사기 백제본기에 보이는 407년의 기록은 이게 끝이다.

하지만 이 시점에 백제는 405년 9월에 아신왕이 죽었고(살해), 부여설례가 진씨 집안의 지원을 받아 전지왕한테 돌아갈 왕위를 찬탈한 시점이었다. 전지왕은 아신왕이 죽을 때 일본에 있었는데, 전지왕은 왕의 승하 소식을 듣고 귀국하던 중 해씨 귀족으로부터 설례가 찬탈했다는 소식을 듣고 어느 외딴 섬에 있었다. 그리고 해씨 귀족이 설례와 진씨 귀족을 죽이고 나서야 간신히 왕위에 올랐다. 그래서 즉위식도 406년에 간신히 했고, 407년에 있었던 해씨 위주의 전지왕 내각 교체는 고구려와의 전쟁이 아니라는 설이 대세이다. 전지왕이 406년 내내 자신의 즉위를 막고 설례를 지원했던 진씨 귀족들을 숙청하면서, 자신의 즉위를 도운 해씨 집안을 위주로 내각을 교체한 게 407년 시점이기 때문이다.

2.3. 사구성(沙溝城) 에 대해

사구성은 광개토왕릉비에 의하면 407년 광개토대왕에 의하여 공파(攻破)되었다. 모래 사, 도랑(참호) 구 자로 이뤄진 명칭으로 보아 한자 그대로 해석한다면 모래와 참호가 있었던 성으로 보인다. 이러한 지명은 중국에 다수 존재한다. 산동성, 칭하이, 장쑤성, 티벳 등에 沙沟镇, 沙沟乡 등 다양한 곳에 있음으로 보아 고유명칭보다 일반명칭에 가까운 것으로 보인다. 일본에서 해당 한자를 사용한 지명 (沙郷)을 찾을 수 없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417년에 동북 2부(部)의 백성을 동원하여 쌓았다는 사구성(沙口城)과 같은 성으로 보는 설이 있다. 즉 광개토왕릉비의 영락 17년 전투를 대백제전으로 보는 것이다.

3. 기타


[1] 광개토대앙비의 사구성은 沙溝城이고 삼국사기 전지왕 본기에 나오는 사구성은 沙口城이다. 다만 고대 금석문이나 역사서에는 한국어를 음차했을 경우 표기가 다른 경우가 많다. 대표적으로 이사부의 본명은 김잇부이나 표기로는 이사부(異斯夫), 이종(伊宗), 이질부례(伊叱夫禮)등으로 표기된 것을 알수가 있다. 따라서 한자가 다르다고 다른 장소라는 것을 속단하기엔 이르다. [2] 그러나 신묘년의 전치문을 이용한 ‘대전치문설’은 398년 숙신 정벌 기사에 의해 이미 효력이 상실한 상태이다. 398년 숙신 정벌 기사는 391년 신묘년 전치문 이래로 등장하는 왜 가야 백제와의 교전 내용이 아니고 아예 방위 마저 상이한 북쪽과 동쪽이다. 398년 기사와 그 후의 기사들은 문맥상 신묘년 전치문과 관련 없는 내용이라는 것이다. 교전 세력이 백제일 가능성이 있긴 하지만, 상기된 대전치문설을 근거에 둔, 백제 원정 추측은 틀렸을 공산이 크다. [3] 하지만 종합적인 공적을 정리해서 기록해놓은 능비의 특성상, 편의를 위해 영락 17년 편입되었을 수도 있다. 같은 맥락으로 관미성 함락 기사도 병신년 영락 6년의 훈적으로 편입 된 것과 같은 맥락에서 변명할 수 있다. 애초에 곧이곧대로 능비에 쓰여져 있는 연도를 맹신할 수는 없다. 같은 연도에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났던 사건이라면 어떤 식으로든 기록의 재분배를 하여 다른 연도에 편입시켰을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