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2 13:57:11

여수시 갑

여수 갑에서 넘어옴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여수시/정치
,
,
,
,
,

파일:전라남도 휘장.svg 전라남도 제22대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목포 여수 갑 여수 을
김원이 주철현 조계원 김문수
권향엽 신정훈 이개호 문금주
박지원 서삼석
}}}
}}}}}}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대한민국 국회 선거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580009><tablebgcolor=#580009>
여수시 갑
돌산읍, 남면, 동문동, 한려동 등
麗水市 甲
Yeosu A
}}}
파일:국회선거구 여수시 갑.svg
<colbgcolor=#580009><colcolor=#fff> 선거인 수 120,250명 (2024)
상위 행정구역 전라남도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여수시 일부
동문동, 한려동, 중앙동, 충무동, 광림동, 서강동, 대교동, 국동, 월호동, 여서동, 문수동, 미평동, 둔덕동, 만덕동 (舊 여수시)
삼일동, 묘도동 (舊 여천시)
돌산읍, 남면, 화정면, 삼산면 (舊 여천군)
신설년도 2004년
이전 선거구 여수시
국회의원
주철현

[clearfix]

1. 개요

여수시 전 지역을 담당하던 여수시 선거구가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 두개로 나뉘어져 현재의 여수시 갑이 되었다. 옛 여수시+옛 여천시 중 옛 삼일읍+여천군 동남부 지역을 관할하는데, 을 선거구에 비해서는 연령대가 높고 원도심 비중이 큰 편이라 좀 더 보수적인 경향을 보인다. 물론 어느 호남 지방이 그렇듯이 그 경향이 보수 정당보다는 더불어민주당 동교동 / 호남계로 더 쏠린다. 현재 국회의원은 민선 6기 여수시장을 역임한 더불어민주당 주철현 의원이다.

1.1. 선거구 경계 조정

<rowcolor=#fff> 여수시 갑(~제20대) 여수시 갑(제21대)
파일:국회선거구 여수시 갑(2016).svg 파일:국회선거구 여수시 갑(2020).svg

2.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

<rowcolor=#fff> 대수 당선인 당적 임기 선거구
13대 김충조

[[평화민주당|
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 여수시
신순범 여천시·여천군
14대 김충조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 여수시
신순범 여천시·여천군
15대 김충조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여수시
김성곤 여천시·여천군
16대 김충조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여수시
17대 김성곤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여수시 갑
18대

[[통합민주당(2008년)|
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19대

[[민주통합당|
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20대 이용주

[[국민의당(2016년)|
파일:국민의당(2016년) 흰색 로고타입.svg
]]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21대 주철현
2020년 5월 30일 ~ 2024년 5월 29일
22대
2024년 5월 30일 ~ 현재

2.1. 여수시, 여천시·여천군 (13대~15대)

2.1.1.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여수시
여수시 일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선규(金宣圭) 12,915 2위


16.73% 낙선
2 김인수(金仁洙) 894 3위


[[통일민주당|
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1.15% 낙선
3 김충조(金忠兆) 62,360 1위


[[평화민주당|
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
82.15% 당선
선거인 수 99,706 투표율
78.03%
투표 수 77,799
무효표 수 630
여천시·여천군
여천시 일원, 여천군 일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황하택(黃夏澤) 13,878 2위


20.86% 낙선
2 신장호(申璋浩) 2,918 3위


[[통일민주당|
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4.38% 낙선
3 신순범(愼順範) 49,723 1위


[[평화민주당|
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
74.75% 당선
선거인 수 86,823 투표율
77.96%
투표 수 67,527
무효표 수 1,008

2.1.2.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여수시
여수시 일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선규(金宣圭) 18,012 2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22.27% 낙선
2 김충조(金忠兆) 57,061 1위


70.56% 당선
3 박정웅(朴政雄) 1,949 4위


[[통일국민당|
파일:통일국민당 글자.svg
]]
2.51% 낙선
4 김영로(金泳魯) 3,846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4.75% 낙선
선거인 수 113,440 투표율
72.02%
투표 수 81,695
무효표 수 827
여천시·여천군
여천시 일원, 여천군 일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유길종(劉吉鍾) 23,450 2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33.12% 낙선
2 신순범(愼順範) 39,067 1위


55.18% 당선
3 김용일(金容日) 6,222 3위


[[통일국민당|
파일:통일국민당 글자.svg
]]
8.78% 낙선
4 신장호(申璋浩) 2,058 4위


[[신정치개혁당|
파일:신정치개혁당 글자.svg
]]
2.90% 낙선
선거인 수 94,352 투표율
76.13%
투표 수 71,834
무효표 수 1,037

2.1.3.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여수시
여수시 일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이성재(李聖才) 3,376 3위


[[신한국당|
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4.59% 낙선
2 김충조(金忠兆) 55,752 1위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75.80% 당선
3 김강식(金康湜) 14,419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9.60% 낙선
선거인 수 119,974 투표율
62.73%
투표 수 75,256
무효표 수 1,709
여천시·여천군
여천시 일원, 여천군 일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영로(金泳魯) 6,772 2위


[[신한국당|
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11.16% 낙선
2 김성곤(金星坤) 47,819 1위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78.87% 당선
3 김제봉(金濟琫) 1,215 4위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2.00% 낙선
4 이기창(李起彰) 4,824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7.95% 낙선
선거인 수 95,983 투표율
65.95%
투표 수 63,299
무효표 수 2,669

2.2. 여수시 (16대)

2.2.1.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여수시
여수시 일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영로(金泳魯) 3,428 7위

2.67% 낙선
2 김충조(金忠兆) 71,016 1위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55.47% 당선
4 김강식(金康湜) 9,742 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7.60% 낙선
5 김인수(金仁洙) 1,403 9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09% 낙선
6 김재출(金在出) 6,944 6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5.42% 낙선
7 박종옥(朴鍾玉) 9,477 5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7.40% 낙선
8 신순범(愼順範) 10,003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7.81% 낙선
9 신현일(申鉉溢) 13,304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0.39% 낙선
10 이광진(李光眞) 2,704 8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2.11% 낙선
선거인 수 224,046 투표율
57.91%
투표 수 129,755
무효표 수 1,734

2.3. 여수시 갑 (17대~현재)

2.3.1.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여수시 갑
돌산읍, 남면, 삼산면, 동문동, 한려동, 중앙동, 충무동,
광림동, 서강동, 대교동, 국동, 월호동, 여서동, 문수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상아(金相我) 1,770 4위


2.74% 낙선
2 김충조(金忠兆) 18,740 2위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29.09% 낙선
3 김성곤(金星坤) 39,986 1위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62.08% 당선
4 장세석(張世石) 556 5위


0.86% 낙선
5 김재출(金在出) 2,994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4.64% 낙선
6 박광명(朴光明) 364 6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0.56% 낙선
선거인 수 113,246 투표율
57.57%
투표 수 65,196
무효표 수 786

2.3.2.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여수시 갑
돌산읍, 남면, 삼산면, 동문동, 한려동, 중앙동, 충무동,
광림동, 서강동, 대교동, 국동, 월호동, 여서동, 문수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성곤(金星坤) 35,597 1위


[[통합민주당(2008년)|
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81.17% 당선
2 주봉심(朱鳳心) 2,869 2위


6.54% 낙선
6 김미경(金美京) 2,838 3위


[[진보신당|
파일:진보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
6.47% 낙선
7 주해성(朱海城) 2,547 4위


[[평화통일가정당|
파일:평화통일가정당 흰색 로고타입.svg
]]
5.80% 낙선
선거인 수 109,458 투표율
40.53%
투표 수 44,361
무효표 수 510

2.3.3.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여수시 갑
돌산읍, 남면, 삼산면, 동문동, 한려동, 중앙동, 충무동,
광림동, 서강동, 대교동, 국동, 월호동, 여서동, 문수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중대(金重大) 2,244 6위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4.11% 낙선
2 김성곤(金星坤) 23,519 1위


[[민주통합당|
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
43.10% 당선
4 강용주(姜鎔柱) 6,577 3위


[[통합진보당|
파일:통합진보당 흰색 로고타입.svg
]]
12.05% 낙선
5 한성무(韓盛武) 1,927 7위


3.53% 낙선
6 김철주(金喆柱) 9,977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8.28% 낙선
7 박종수(朴鍾洙) 4,955 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9.08% 낙선
8 김충조(金忠兆) 3,136 5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5.74% 낙선
9 이광진(李光振) 1,556 8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2.85% 낙선
10 김동진(金東珍) 670 9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22% 낙선
선거인 수 107,640 투표율
51.46%
투표 수 55,394
무효표 수 833

2.3.4.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여수시 갑
돌산읍, 남면, 삼산면, 동문동, 한려동, 중앙동,
충무동, 광림동, 서강동, 대교동, 국동,
월호동, 여서동, 문수동, 미평동, 만덕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신정일(申正一) 3,393 4위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3.78% 낙선
2 송대수(宋大洙) 24,498 2위

34.43% 낙선
3 이용주(李勇周) 31,241 1위


[[국민의당(2016년)|
파일:국민의당(2016년) 흰색 로고타입.svg
]]
43.91% 당선
5 김영규(金榮珪) 10,802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5.18% 낙선
6 이광진(李光振) 1,208 5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69% 낙선
선거인 수 119,921 투표율
60.02%
투표 수 71,980
무효표 수 838

2.3.5.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여수시 갑
돌산읍, 남면, 삼산면, 동문동, 한려동, 중앙동,
충무동, 광림동, 서강동, 대교동, 국동, 월호동,
여서동, 문수동, 미평동, 만덕동, 삼일동, 묘도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주철현(朱哲鉉) 48,410 1위

64.44% 당선
2 심정우(沈廷祐) 2,846 3위


[[미래통합당|
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
3.78% 낙선
7 장수희(張隨爔) 735 4위


[[국가혁명배당금당|
파일:국가혁명배당금당 흰색 로고타입.svg
]]
0.97% 낙선
8 이용주(李勇周) 23,128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30.78% 낙선
선거인 수 118,828 투표율
64.47%
투표 수 76,613
무효표 수 1,494
||<-8><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004ea2><bgcolor=#004ea2> 21대 총선 전남 여수시 갑 개표 결과 ||
<colbgcolor=#eee,#353535> 정당 더불어민주당 무소속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 주철현 이용주
득표수
(득표율)
48,410
(64.44%)
23,128
(30.78%)
+ 25,282
(△33.66)
76,613
(64.47%)
동문동 62.18% 33.16% △29.02 63.77%
한려동 62.92% 32.97% △29.95 63.15%
중앙동 63.19% 33.12% △30.07 66.03%
충무동 67.79% 28.99% △38.81 60.22%
광림동 65.04% 30.86% △34.19 59.26%
서강동 65.41% 30.69% △34.72 62.64%
대교동 65.08% 30.21% △34.88 59.95%
국동 61.20% 34.31% △26.90 61.36%
월호동 59.83% 34.89% △24.93 66.95%
여서동 64.22% 31.17% △33.04 64.90%
문수동[1] 63.11% 32.31% △30.80 61.59%
미평동 64.48% 29.78% △34.70 62.63%
만덕동 60.90% 33.99% △26.91 66.21%
삼일동 71.82% 23.01% △48.81 59.81%
묘도동 75.27% 20.91% △54.36 66.63%
돌산읍 63.83% 31.74% △32.09 56.52%
남면 64.55% 29.96% △34.59 67.52%
삼산면 62.78% 30.28% △32.50 64.15%
후보 주철현 이용주 격차
거소·선상투표 77.37% 16.39% △60.98
관외사전투표 73.32% 20.91% △52.41
재외투표 81.35% 7.27% △69.49[2]
지역구 현역 이용주 전 의원은 무소속으로 재선에 도전한다.

지역구 탈환을 노리는 여당 더불어민주당에서는 강화수 청와대 행정관, 김유화 전 여수MBC 아나운서, 김점유 유민산업 대표, 조계원 경기도지사 정책 수석, 주철현 전 여수시장이 예비 후보로 등록했고 김점유, 조계원, 주철현은 컷오프되었으나 주철현은 재심이 받아들여지면서, 강화수, 김유화, 주철현 이 셋이 경선을 치러 주철현이 공천되었다.[3]

반면 호남 출마자를 찾기 어려운 제1야당 미래통합당에서는 이 지역구에서 심정우 전 능원기업 대표이사가 공천을 받아 다시 도전한다. 개인으로서는 보수 정당에 입당한 후 5번째 도전.

선거 결과 주철현이 낙승해서, 더불어민주당에 남은 친안 중 유일하게 정치 커리어를 계속 이어나가게 됐다. 이용주는 윤창호법 발의에 참여하고 얼마 안 있다가 음주운전으로 적발되어 윤창호의 유족과 친구들의 가슴에 두 배로 못을 박는 등 좋지 않은 행보를 보인 끝에 결국 참패하며 낙선했다.

2.3.6.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여수시 갑
동문동, 한려동, 중앙동, 충무동, 광림동, 서강동, 대교동, 국동, 월호동, 여서동,
문수동, 미평동, 둔덕동, 만덕동, 삼일동, 묘도동, 돌산읍, 남면, 화정면, 삼산면,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주철현(朱哲鉉) 69,092 1위

88.89% 당선
2 박정숙(朴正淑) 8,633 2위


11.11% 낙선
선거인 수 120,250 투표율
66.54%
투표 수 80,020
무효표 수 2,295
||<-8><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152484><bgcolor=#152484> 22대 총선 전남 여수시 갑 개표 결과 ||
정당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 주철현 박정숙
득표수
(득표율)
69,092
(88.89%)
8,633
(11.11%)
+60,455
(△77.78)
80,020
(66.54%)
구 여수시
득표율 88.81% 11.18% △77.64 64.77%
동문동 88.68% 11.32% △77.36 69.14%
한려동 87.62% 12.38% △75.24 66.88%
중앙동 87.00% 13.00% △74.00 68.07%
충무동 89.66% 10.34% △79.32 59.34%
광림동 90.53% 9.47% △81.06 64.14%
서강동 88.28% 11.72% △76.56 66.37%
대교동 90.43% 9.57% △80.86 63.53%
국동 90.20% 9.80% △80.40 63.13%
월호동 89.74% 10.26% △79.45 66.45%
여서동 88.84% 11.16% △77.68 64.19%
문수동[4] 89.17% 10.83% △78.34 62.68%
미평동 88.04% 11.96% △76.08 65.51%
둔덕동 89.31% 10.69% △78.62 65.08%
만덕동 85.84% 14.16% △71.68 67.15%
구 여천시
득표율 91.31% 8.69% △82.62 66.68%
삼일동 89.59% 10.41% △79.18 66.21%
묘도동 94.57% 5.43% △89.14 67.58%
구 여천군
득표율 89.35% 10.64% △78.71 60.39%
돌산읍 89.07% 10.93% △78.14 55.84%
남면 88.91% 11.09% △77.82 68.25%
화정면 93.08% 6.92% △86.16 69.93%
삼산면 87.39% 12.61% △74.78 67.64%
후보 주철현 박정숙 격차
거소·선상투표 86.30% 13.70% △72.60
관외사전투표 88.55% 11.45% △77.10
재외투표 81.90% 18.10% △63.80
파일:지상파 방송3사 출구조사 로고.svg
<colbgcolor=#eeeeee,#353535> 후보 주철현 박정숙 격차
전체 88.1% 12.0% 76.1%p
이번 국회의원 선거에도 선거구가 유지되었지만, 인구 감소로 인해서 여수시 을 선거구에서 둔덕동과 화정면이 편입되었다.

주철현 후보가 88.89%의 압도적인 득표율로 당선이 결정되었다. 묘도동에서 최고 득표율을 올렸는데 이는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 이재명 후보가 무려 93.32%의 득표율을 올린 곳이다.[5]

[1] 주철현 후보의 고향 [2] 재외투표 2위는 미래통합당 심정우 후보였다. [3] 이 때 컷오프 된 후보 중 조계원 후보는 다음 총선에서 옆 지역구로 옮겨 경선을 치른 끝에 현직인 김회재를 누르고 공천을 받게 된다. [4] 주철현 후보의 고향 [5] 1위는 영광군 낙월면(93.39%)이고, 3위는 완도군 금일읍(93.11%)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