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10-11 09:27:48

야생동물구조센터



Wildlife Rescue Center

1. 개요2. 상세3. 목록
3.1. 수도권
3.1.1. 서울특별시3.1.2. 인천광역시3.1.3. 경기도
3.2. 충청도
3.2.1. 대전광역시3.2.2. 세종특별자치시3.2.3. 충청남도3.2.4. 충청북도
3.3. 경상도
3.3.1. 부산광역시3.3.2. 울산광역시3.3.3. 경상남도3.3.4. 대구광역시3.3.5. 경상북도
3.4. 전라도
3.4.1. 광주광역시3.4.2. 전라남도3.4.3. 전라북도
3.5. 기타 지역
3.5.1. 강원도3.5.2. 제주특별자치도

1. 개요

야생동물구조센터는 로드킬, 밀렵 등의 인위적인 사고나 야생동물 간의 싸움과 사냥, 그리고 감염병 등의 이유로 질병에 걸리거나 부상을 입은 야생동물과 어미나 무리에서 이탈한 새끼 야생동물을 구조하여 치료하고 보호하며 재활을 통해 다시 야생으로 돌려보내는 기관을 말한다. 다만, 치명적인 상태의 야생동물은 수의사의 판단에 따라 치료나 연명이 무의미하다고 소견될 경우 불가피하게 안락사시킨다.

2. 상세

포유류 중에는 고라니, 너구리, , 수달등이, 조류 중에는 독수리, 까치, 황조롱이, 부엉이, 올빼미, 청둥오리 등이 자주 구조된다. 포유류의 경우 로드킬로 인해 다치는 경우가 많고 조류의 경우는 엽총에 의한 부상이나 방음벽 충돌로 인해 다치는 경우가 많다. 또 장마철 시기에는 둥지나 보금자리가 유실된 수생동물이 자주 구조된다.

민간에서 불법으로 사육되고 있는 야생동물도 발견시 구조한다. 다만 이 경우 대부분 야생성을 잃고 가축화 되었기 때문에 방사가 힘들다.

새끼 고라니나 새끼 사슴은 봄, 가을철에 어미가 주변에 없더라도 지극히 자연스러운 현상이므로 다치고 아픈 개체가 아니면 구조대상이 아니다.

들개 길고양이는 법적으로 가축에 속하기 때문에 야생동물이 아닌 유기견, 유기묘로 보고 해당 기관에서 관리한다. 다른 야생화된 가축(사슴, 염소, 사향오리 등)도 원칙적으로는 마찬가지이긴 한데, 유기동물 센터에서는 개고양이 포획도구만 갖추고 있는 경우가 많아서 야생동물구조센터의 협조를 구하기도 한다.

동물들이 야생 방사를 준비하기 위해 충분히 재활할 수 있도록 공간이 마련되어야 하는데 국내에서는 재활 시설의 여건이 열악한 경우가 다소 있다. 특히 조류의 경우 날개를 다칠 확률이 높은데, 당연히 재활은 비행 연습을 동반하게 된다. 그래서 높은 천정을 가진 원형의 큰 방사장이 필요하다. 그런데 사람한테 필요한 복지시설 여건도 형편이 어려운 마당에 야생동물까지 케어할 재원은 우선순위가 밀릴 수 밖에 없다.

야생동물구조센터는 지역별로 운영주체가 상이하다. 지자체 공무원이 상주해 운영하는 곳도 있거니와, 대학이나 공단 등에 위탁을 하는 곳도 있다. 때문에 운영방식도 각 센터별로 차이를 보인다.
특히 동물 구조 시스템에서 차이가 크기 때문에, 전화 문의 후 안내를 받는편이 좋다

3. 목록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34조의4에 따라 광역자치단체별로 직접 구조센터를 마련하여 운영하거나 지역 대학교 수의학과/ 동물자원학과, 국립공원공단, 야생동물 관련 국책연구기관, 동물원 등을 보호센터(치료기관)으로 지정하고 있다. 시, 군, 구 등 기초자체단체 차원에서는 구조센터를 설치한 뒤 전문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어려우므로 여건 상 전문성을 갖춘 단체(대학 기관 등)에 위탁하는 곳이 많다. 광역자치단체 중에서 구조센터를 설치하지 않은 곳은 대구광역시와 세종특별자치시가 있다. 세종특별자치시는 대전광역시나 충청도 내 야생동물구조센터와 인접한 반면, 대구광역시는 인접한 구조센터가 경북 안동에 위치하고 있어 사실상 대구광역시 전체와 경상북도 남부지역은 야생동물 구조 실태가 열악한 상태이다.

3.1. 수도권

3.1.1. 서울특별시

3.1.2. 인천광역시

3.1.3. 경기도

3.2. 충청도

3.2.1. 대전광역시

(오후 18:00- 익일 오전 09:00 까지는 이승재 동물 병원이 야간 진료 담당 )

3.2.2. 세종특별자치시

구조센터 없음

3.2.3. 충청남도

3.2.4. 충청북도

3.3. 경상도

3.3.1. 부산광역시

3.3.2. 울산광역시

3.3.3. 경상남도

3.3.4. 대구광역시

구조센터 없음

3.3.5. 경상북도

3.4. 전라도

3.4.1. 광주광역시

3.4.2. 전라남도

3.4.3. 전라북도

3.5. 기타 지역

3.5.1. 강원도

3.5.2. 제주특별자치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