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6 21:28:50

캠 알드레드

알드레드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ea0029>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 KIA 타이거즈
2024 시즌 투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군
0 곽도규 · 13 윤영철 · 17 임기영 · 21 김사윤
24 김승현 · 39 최지민 · 40 네일 · 41 황동하
43 김건국 · 50 장현식 · 51 전상현 · 60 김도현
64 알드레드 · 69 김대유
2군
4 유지성 · 10 유승철 · 12 크로우 · 19 윤중현
20 이준영 · 28 김민재 · 31 박준표 · 32 김현수
33 이형범 · 36 강이준 · 38 김찬민 · 45 김민주
46 장민기 · 48 이의리 · 49 김유신 · 53 김기훈
54 양현종 · 62 정해영 · 63 이송찬 · 67 조대현
03 박건우 · 08 장재혁 · 014 이승재 · 015 이도현
016 박시온 · 021 홍원빈 · 022 오규석 · 033 김태윤
034 강동훈 · 035 최지웅 · 039 성영탁
최종 편집: 2024년 6월 24일
프런트 코칭스태프투수 포수 내야수 외야수 군 입대 선수 등록 선수
타 KBO 리그 구단 명단 보기 }}}}}}}}}
캠 알드레드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002561>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KBO 리그
외국인 선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 파일:kt wiz 엠블럼.svg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 파일:NC 다이노스 홈 엠블럼.svg 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
로하스
벤자민
쿠에바스
kt wiz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svg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svg 파일:키움 히어로즈 엠블럼.svg

[1] 엘리아스 내복사근 부상 임시 대체 선수 [2] 크로우 팔꿈치 부상 임시 대체 선수 [3] 산체스 옆구리 부상 임시 대체 선수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ea0029>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 KIA 타이거즈
역대 외국인 선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000>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숀헤어 파일:미국 국기.svg 브릭스 파일:미국 국기.svg
샌더스 파일:미국 국기.svg
피어슨 (1) 파일:미국 국기.svg
배스 (3) (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미첼 (3) 파일:미국 국기.svg
말레브 (1)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포조 (3)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타바레스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산토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타바레스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젠슨 (3) (2) 파일:미국 국기.svg
리치 (3) 파일:미국 국기.svg
루이스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레스 (3) 파일:미국 국기.svg
리오스 파일:미국 국기.svg
키퍼 파일:미국 국기.svg
뉴선 (2) 파일:미국 국기.svg
펨버튼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rowcolor=#fff>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리오스 파일:미국 국기.svg
키퍼 (2) 파일:미국 국기.svg
존슨 (3) 파일:캐나다 국기.svg
리오스 파일:미국 국기.svg
마뇽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리오스 (2) 파일:미국 국기.svg
그레이싱어 (3) 파일:미국 국기.svg
존슨 (2) 파일:미국 국기.svg
블랭크 (3) 파일:미국 국기.svg
그레이싱어 파일:미국 국기.svg
서브넥 (2) 파일:미국 국기.svg
스캇 (3) 파일:미국 국기.svg
서튼 (2) 파일:미국 국기.svg
스코비 (3) 파일:미국 국기.svg
에터톤 (2) 파일:미국 국기.svg
로드리게스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rowcolor=#091231>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리마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데이비스 (3) 파일:미국 국기.svg
발데스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디아즈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페즈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구톰슨 파일:미국 국기.svg
로페즈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드리게스 (1)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라이트 (3) (2) 파일:미국 국기.svg
콜론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페즈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트레비스 파일:호주 국기.svg
알렉스 (1) 파일:미국 국기.svg
라미레즈 (3) (2) 파일:미국 국기.svg
소사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앤서니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091231>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소사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앤서니 (2) 파일:미국 국기.svg
빌로우 (3)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어센시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홀튼 (2) 파일:미국 국기.svg
토마스 (3)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험버 (2) 파일:미국 국기.svg
에반 (3) 파일:미국 국기.svg
스틴슨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헥터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지크 파일:미국 국기.svg
버나디나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헥터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팻딘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1e376d>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버나디나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헥터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팻딘 파일:미국 국기.svg
해즐베이커 (2) 파일:미국 국기.svg
터커 (3) 파일:미국 국기.svg
터너 파일:미국 국기.svg
윌랜드 파일:미국 국기.svg
브룩스 파일:미국 국기.svg
가뇽 파일:미국 국기.svg
터커 파일:미국 국기.svg
브룩스 (2) 파일:미국 국기.svg
다카하시 (3) 파일:브라질 국기.svg
멩덴 파일:미국 국기.svg
터커 파일:미국 국기.svg
로니 (2) 파일:미국 국기.svg
파노니 (3) 파일:미국 국기.svg
놀린 파일:미국 국기.svg
소크라테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rowcolor=#06141f>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앤더슨 (2) 파일:미국 국기.svg
파노니 (3) 파일:미국 국기.svg
메디나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산체스 (3)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소크라테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크로우 파일:미국 국기.svg
알드레드 (4) 파일:미국 국기.svg
네일 파일:미국 국기.svg
소크라테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1) 시즌 전 방출/계약 취소
(2) 시즌 중 이적/방출
(3) 대체 영입
(4) 일시 대체 영입
* 등록명을 우선적으로 기재했다.
}}}}}}}}}

캠 알드레드의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피츠버그 파이리츠 등번호 63번
태너 앤더슨
(2021)
캠 알드레드
(2022)
헌터 스트래튼
(2023~)
KIA 타이거즈 등번호 64번
앤더슨
(2023)
알드레드
(2024~)
현역
}}} ||
}}} ||
파일:캠 알드레드 2024 정면 프로필.png
<colbgcolor=#ea0029><colcolor=#ffffff> KIA 타이거즈 No.64
캠 알드레드
Cam Alldred
본명 캐머런 미첼 앨드리드
Cameron Mitchell Alldred
출생 1996년 7월 25일 ([age(1996-07-25)]세)
오하이오 주 바타비아
국적
[[미국|]][[틀:국기|]][[틀:국기|]]
학력 신시내티 대학교
신체 190cm / 92kg
포지션 투수
투타 좌투좌타
프로 입단 2018년 드래프트 24라운드 (전체 714번, PIT)
소속팀 피츠버그 파이리츠 (2022)
KIA 타이거즈 (2024~)[1]
계약 1yr / $325,000
연봉 2024 / $300,000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3. 피칭 스타일4. 연도별 성적5. 여담

[clearfix]

1. 개요

KIA 타이거즈 소속 좌완 투수.

2. 선수 경력

2.1. 피츠버그 파이리츠

파일:파이리츠알드레드.jpg

2018년 드래프트 24라운드 전체 714순위로 피츠버그 파이리츠에 지명되어 프로에 입단했다.

2021 시즌에는 AA와 AAA에서 66이닝 동안 ERA 2.18로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다.

2022년 5월 11일 메이저 리그로 콜업되었으며[2] 다음 날 등판해 1이닝 1탈삼진 무실점을 기록했다. 그러나 5월 13일, 웨이버 클레임으로 영입한 타일러 비디를 26인 로스터에 포함시키기 위해 마이너로 옵션되었다.

2.2. KIA 타이거즈

2024년 5월 29일, 윌 크로우의 팔꿈치 부상으로 인한 일시 대체 외국인 선수 자격으로 KIA 타이거즈에 입단했다. 계약 규모는 계약금 2만 5,000 달러, 연봉 30만 달러 등 총액 32만 5,000 달러. SSG 랜더스 시라카와 케이쇼에 이은 KBO 리그 2호 일시 대체 외국인 선수다. 등번호는 숀 앤더슨 웨이버 공시된 후 1년 가까이 결번이었던 64번을 사용한다.

단기 대체 선수로 쓰기에는 비교적 체급이 높은 선수이기도 하고 계약 규모도 꽤 되는 만큼 영입 당시부터 여차하면 크로우의 부상이 심할 경우 교체 카드를 써서 정식 외국인 선수로 채용할 것을 염두에 두고 데려왔다는 추측이 곳곳에서 나왔다. 그리고 계약 이틀 후인 5월 31일, 크로우가 토미 존 수술을 받으면서 시즌 아웃이 확정됨에 따라 최대 6주간 활약에 따라 정식 채용 가능성이 커졌다.

한편 계약 이후 KIA가 알드레드와의 대체 선수 계약 중 꼼수를 썼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 대체 선수 계약이 6주 이상 부상 시인데, KIA는 사실상 잔여 시즌에 대한 연봉 지급 계약을 체결한 것 때문에 일부 구단에서 반발이 나왔다. 사실 규정을 보면 애초에 임시 대체 선수 기간이 "계약 체결일부터 11월 30일까지 기재"라고 되어 있으며, 임시 대체 선수의 기간 하한선만 정해져 있지, 기간 상한선은 따로 정해져 있지 않다. 즉, 해당 규정상 크로우 같은 시즌 아웃급 부상일 경우 임시 대체 선수를 교체 카드를 쓰지 않고도 시즌 끝까지 쓸 수 있다.[3]

하지만 [KBO 리그 규정 제45조 한국시리즈 출장자격]에 의하면, (8월 15일까지 등록된 외국인 선수에 한하여 출장 가능)이라고 명시되어 있다. 가을 야구 탈락이 8월 15일 이내 결정되지 않는 이상, 대체 선수로 시즌 끝까지 가는 것이 아닌, 무조건 교체 카드를 소모해야 한다는 뜻이다.

이에 KBO 측에서는 꼼수가 아니라는 입장을 밝혔다. # SSG의 사례처럼 너무 시즌 극초반에 외국인의 단기 부상이 발생하면 기간제 대체자를 쓰며 시간을 벌 수도 있는 것이고[4] KIA의 사례처럼 잔여 시즌을 누구로 갈지 확정을 했다면 부상 대체 외국인 선수의 기간 상한이 없기에 풀 계약을 주고 교체 카드를 소모하지 않은 채로 시즌을 마칠 수 있는 방법도 있게 된 것이다. 이 경우 알드레드가 부상을 입어 문제가 생기면 알드레드의 부상 대체 외국인 선수는 쓸 수 없고[5] 그냥 기다리거나, 알드레드를 웨이버하고 새 외국인을 구해야 한다.

2.2.1. 2024 시즌

6월 8일 두산전 선발 등판해 2회까지 실점하지 않았다. 3회말 주자 2루 상황에서 헨리 라모스에게 1타점 적시타를 맞고, 4회말 볼을 엄청 던져 만루를 만들고 2점을 실점해 5대3 상황에서 임기영과 교체되었다. 이후 책임주자가 싹 다 들어오면서 3이닝 6피안타 3볼넷 6실점을 기록하며 수준 미달의 피칭을 선보인 대가로 패전투수가 되었다.

6월 14일 kt전에서는 언제 그랬냐는 듯 5이닝 5피안타 무실점 4사구 1개 탈삼진 7개 투구수 86개를 기록하면서 첫 경기와는 다른 수준 이상의 피칭을 보여주었다. 윌 크로우[6] 제임스 네일과 달리[7] 마이너에서 선발로 뛰던 투수라 체력에서는 강점을 보였고 첫 경기와는 다르게 볼넷 비율도 적었고 점차 적응하고 있다. 이 후 불펜 투수들이 잘 막아내면서 KBO 리그 첫승을 올리게 되었다.[8] 다만 1회의 불안한 모습은 옥의 티.

6월 20일 LG전에서는 6이닝 2피안타 2실점(비자책) 4사구 2개 탈삼진 6개를 기록하며 호투를 보여줬다. 첫 경기였던 두산전에서의 부진은 시차적응의 문제였던 걸로 보인다. 승리 투수는 불펜진의 방화로 인해 불발됐지만, 꾸준히 이 정도의 투구를 보여준다면 6주 대체 용병에 그치지 않고 정식계약에 성공해 시즌을 끝까지 함께할 것으로 전망된다.

6월 26일 롯데전에서는 6이닝 8피안타 3볼넷 2실점을 기록하며 호투했지만, 김승현과 곽도규의 방화로 두 경기 연속으로 승리 투수가 불발되었다.

3. 피칭 스타일

파일:알드레드패스트볼.gif
알드레드의 패스트볼
KIA 구단은 '알드레드는 평균 시속 145.4km의 속구와 투심, 슬라이더[9], 체인지업 등 다양한 구종과 좋은 디셉션이 장점인 선수'라며 '또한 트리플A 통산 9이닝 당 8.4개의 높은 삼진율을 기록하며 뛰어난 탈삼진 능력도 보유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아쉬운 점은 제구력에 기복이 심하다는 것이다. 투구 외적으로 또 다른 장점이 하나 있는데 베이스커버가 좋다. KBO 와서 2경기를 했는데 두산, KT전 모두 베이스커버를 잘 보여줬다.

KBO에 와서는 알려진대로 슬라이더와 투심을 많이 쓰고 있고, 윌 크로우와는 달리 볼넷 비율이 적고 체력이 좋은데 아무래도 선발과 불펜을 오간 크로우와 달리 마이너에서 선발로만 뛰었던 선수였기에 체력적인 부분을 앞세워 좋은 피칭을 하고 있다.

다만 기복이 심하고 이닝 당 투구수가 많아서 이닝 소화력이 떨어진다는 약점을 가지고 있다. 5이닝 정도는 몰라도 꾸준히 6~7이닝 이상을 먹어주기는 어렵다는 게 중론.

총합적으로는 이닝 소화력이 좀 떨어지는 땅볼 유도형 기교파 투수로 땅볼 유도형 버전 토마스 파노니의 하위호환으로 봐도 무방하다.[10]

4. 연도별 성적

파일:MLB 로고.svg 캠 알드레드의 역대 MLB 기록
<rowcolor=#fdb827> 연도 G W L S HLD IP ERA H HR BB HBP SO WHIP ERA+ fWAR bWAR
2022 PIT 1 0 0 0 0 1 0.00 1 0 0 0 1 1.000 - 0.0 0.0
MLB 통산
(1시즌)
1 0 0 0 0 1 0.00 1 0 0 0 1 1.000 - 0.0 0.0

5. 여담



[1] 윌 크로우 일시 대체 외국인 계약. 다만 실력에 따라 정식으로 입단할 가능성이 있다. [2] 여담으로, 이때 마이너로 옵션된 선수는 kt wiz에서 용병으로 뛰었던 보 슐서다. [3] 즉, 알드레드가 잘 던진다면 KIA는 크로우 교체 카드를 소모하지 않고 제임스 네일이나 소크라테스 브리토의 혹시라도 모를 교체 카드로 전부 소모할 수 있기 때문에 이론상 세 명 모두 교체가 가능하다. [4] 일반적으로 5월 1일 이후부터는 25~40인 로스터 집착을 버린 일부 외국인이 매물로 나올 수 있었다. 그래서 4월에 6주짜리 부상을 입을 경우 일단 시간을 버는 전략도 필요할 수 있고 마이너 리그 연봉 상승과 메이저 리그의 투수 저장 강박증 때문에 5월까지도 KBO 구단들이 리스트업을 해 둔 대체 외국인을 데려올 수가 없다면 여전히 기간제 대체자를 구해 와서 시간을 벌 수 있다. [5] 규정상 부상 대체 외국인 선수는 기존 선수에 종속되어 있고 기존 선수 1인당 1회만 쓸 수 있다. 따라서 대체 선수의 대체 선수는 없고 문제가 생기면 그냥 방출하든지 기다려야 한다. [6] 한계 투구수 70~75개 [7] 아무리 잘하는 네일도 한계 투구수는 70개 후반이지만 알드레드는 90개에 다다라도 안정적인 피칭을 선보였다. [8] 경기는 11대1로 이겨 1위를 유지했다. [9] 이순철 해설위원의 말에 따르면 스위퍼성 슬라이더라고 한다. [10] 파노니도 이닝 소화력이 떨어진다는 약점을 가지고 있으나 기본적으로 알드레드보다 제구력이 뛰어나며 둘 다 느린 구속을 가진 기교파 투수라는 공통점이 있다. [11] 알프레드, 알포인트, 킨드레드 등등등.... [12] 알프레드, 알투비트, 알보칠, 알파메일, 알드홍, 알레르기, 알외힙GOAT, 알헤어스타일GOAT, 알루미늄, 알리스타, 알드색깔GOAT, 알바천국, 알다리스, 알뜰살뜰, 알파인스키, 알뜰폰요금제, 알프스산맥, 알바몬, 알배추샐러드, 알드리지, 알바따리, 알쉬헤이더, 알바천국, 알리스타, 알빠노, 알칸타라, 알카포네, 알바레이, 알새우칩, 알라딘, 알카에다, 알라후아크바르, 알나스르,알리익스프레스, 알리오올리오, 알춘식, 알라너자신을, 불알, 알자지라, 알몸댄스, 알림설정, 알카포네, 알레리꼴레리, 알랑방구, 알스테파노, 알붕이, 알통구보, 알탕, 알후세인, 알파치노, 알록달록, 알레르망, 알밥튀김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