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6 02:11:46

아제르바이잔어/문법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아제르바이잔어
1. 아제르바이잔어의 음성
1.1. 문자1.2. 모음
1.2.1. 혀의 위치1.2.2. 입술의 모양1.2.3. 구강의 개폐1.2.4. 모음의 발음
1.3. 자음
1.3.1. 유성자음1.3.2. 무성자음1.3.3. 자음의 발음
1.4. 모음 조화
1.4.1. 2형 변화1.4.2. 4형 변화
1.5. 음절1.6. 강세
2. 명사3. 형용사4. 부사
4.1. 부동사
5. 조사6. 수사7. 동사
7.1. 기본 시제
7.1.1. 현재형
7.1.1.1. 현재시제의 사용7.1.1.2. 현재시제의 변화7.1.1.3. 존재사
7.1.2. 단순과거형
7.1.2.1. 단순과거시제의 사용7.1.2.2. 존재사 과거시제
7.1.3. 불확실 과거형
7.1.3.1. 불확실 과거 시제의 사용
7.1.4. 확실미래형
7.1.4.1. 확실미래 시제의 사용
7.1.5. 불확실미래형
7.1.5.1. 불확실미래 시제의 사용
7.2. 그외 시제
7.2.1. 과거 진행형7.2.2. 대과거7.2.3. 과거소망형
7.3. 가정법
7.3.1. 가정법 종결
7.3.1.1. 불확실 미래7.3.1.2. 확실 미래
7.3.2. 조건형
7.3.2.1. 단순 조건형7.3.2.2. 과거 조건형7.3.2.3. 현재 조건형7.3.2.4. 불확실 과거 조건형7.3.2.5. 확실 미래 조건형7.3.2.6. 필연 조건형7.3.2.7. 서술어 조건형7.3.2.8. 존재사 조건형
7.3.3. 가정법의 사용
7.3.3.1. 단순 가정법7.3.3.2. 과거 가정법
7.4. 분사형
7.4.1. -dik4
7.4.1.1. 형용사적 용법7.4.1.2. 명사적 용법7.4.1.3. 부사적 용법7.4.1.4. 후치사 결합 용법
7.4.1.4.1. görə, üçün7.4.1.4.2. kimi7.4.1.4.3. 용법에 따른 조사 결합의 차이
7.4.2. -(y)ən2
7.4.2.1. 형용사적 용법7.4.2.2. 명사적 용법
7.4.3. -(y)ən2와 -dik4의 차이
8. 후치사
8.1. 동일
8.1.1. İlə
8.2. 직유8.3. 향방8.4. 거리8.5. 시간
8.5.1. Əvvəl, Qabaq
8.6. 분별8.7. 인과
8.7.1. üçün
8.8. 연관8.9. 기반

1. 아제르바이잔어의 음성

아제르바이잔어의 음성을 다룬다. 아제르바이잔어 문법책에서는 'Fonetika'로 표기한다.

1.1. 문자

Əlifba[1]
아제리어에는 32개 문자가 있으며 9개 모음, 23개 자음으로 구성되어 있다.
글자 이름 IPA 발음기호 발음
Aa a [ɑ̞/ɑ̞ː] 한국어 모음 'ㅏ'보다 좀 더 목 뒤에서 발음된다.
Bb be [b] 한국어 자음의 (유성음화된) 'ㅂ'과 동일하다.
Cc ce [d͡ʑ] 한국어 자음의 (유성음화된) 'ㅈ'과 동일하다.
Çç çe [t͡ɕ/t͡ɕʰ] 한국어 자음의 'ㅊ'이나 'ㅉ'와 발음이 비슷하다.
Dd de [d] 한국어 자음의 (유성음화된) 'ㄷ'와 동일하다.
Ee e [e/e̞] 한국어 모음의 'ㅔ'와 동일하다. 영어의 이중모음 없는 순한 발음이다.
Əə ə [æ] 한국어 모음의 'ㅐ'보다 좀 더 뒷 쪽에서 난다. 혀의 중간을 윗쪽 어금니에 붙이고 입을 많이 벌리면서 혀 뒷쪽에서 소리를 낸다고 생각하고 발음하면 비슷한 발음이 나온다. [2]
Ff fe [f] 영어의 'fat'의 'f'. 아랫입술을 윗니 아래에 두고 'ㅍ' 발음을 터뜨리듯 발음한다.
Gg ge [ɟ] 한국어 자음 (유성음화된) 'ㄱ'와 비슷하나 위치에 따라 ‘ㅈ’과 같이 발음되기도 한다. [3]
Ğğ ğe [ɣ/ʁ (ʕ/ʢ)] 한국어에는 없는 발음이다. 'ㄱ'와 비슷하나 많은 차이가 있다. 목구멍 깊은 곳에서 가래를 뱉듯 'ㄱ'를 소리를 내면 비슷하다. 성대를 떨려서 내는 발음이다.
Hh he [h/hˁ] 한국어 자음 'ㅎ'와 동일하다.
Xx xe [x/χ] 한국어에 없는 발음으로 ğ 와 동일하게 목구멍에서 발음되어진다.
ı [ə] 한국어 'ㅡ'와 'ㅣ'의 사이 발음인데 'ㅡ'에 더 가까운 발음이다.
İi i [i/ɪ] 한국어 모음의 'ㅣ'와 동일하다.
Jj je [ʒ] 한국어 자음의 'ㅈ'와 비슷하나 좀 더 부드러운 'ㅈ'로 발음되어진다.
Kk ke [c/cʰ/k (ç)] 아제리어 ‘K’는 두 가지 발음이 있다. 한국어의 ‘ㅋ’로 발음되기도 하지만 ‘ㅊ’과 같이 발음되기도 한다.[4]
Qq qe [g/ɢ] 한국어 자음의 (유성음화된) 'ㄱ'와 동일하다. 유성 자음 앞에 올 때는 [ɣ\] 또는 [ʁ\], 어말에서는 [x\] 또는 [χ\]로 발음된다.
Ll el [l/ɫ] 영어의 'L'과 동일하다.
Mm em [m] 한국어 자음 'ㅁ'과 동일하다.
Nn en [n] 한국어 자음 'ㄴ'과 동일하다.
Oo o [ɔ] 한국어 모음 'ㅗ'와 동일하다.
Öö ö [œ] 한국어에는 없는 발음으로 입술을 동그랗게 말고 ‘ㅔ’발음을 하면 비슷하게 발음 된다.
Pp pe [p/pʰ] 한국어 자음 'ㅍ'와 동일하다.
Rr er [ɾ/r] 한국어에서 어중 모음에 선행하는 자음 'ㄹ'
Ss se [s] 영어의 'summer'의 's'
Şş şe [ʃ/ʂ/ɕ] 영어의 'fish'의 'sh'
Tt te [t/tʰ] 한 국어 자음 'ㅌ'와 동일하다.
Uu u [u] 한국어 모음 'ㅜ'와 동일하다
Üü ü [y] 한국어에 없는 모음으로 입술을 동그랗게 말고 앞으로 내면서 ‘ㅠ’와 ‘ㅜ’의 사이의 발음으로 조음한다.
Vv ve [v] 영어의 'van'의 'v'. 아랫입술을 윗니 밑에 대고 터뜨리듯이 'ㅂ'발음을 하면 된다.
Yy ye [j] 영어의 'Y'와 동일하며 한국어 'ㅣ'로 발음 될 때도 있고 다른 모음과 만나 반모음이 될 때도 있다.
Zz ze [z] 영어의 'z' 발음과 유사하다. 이를 떨게하면서 발음한다.

1.2. 모음

Sait
모음은 혀의 위치와 입술의 모양 구강의 개폐에 따라 구분되며 이 구분에 따라 모음조화가 일어난다.

1.2.1. 혀의 위치

혀의 전후 위치에 따라 조음된다.
후설모음 qalın saitlər
[A], [I], [O], [U]
전설모음 incə saitlər
[Ə], [E], [Ö], [İ], [Ü]

1.2.2. 입술의 모양

입술을 동그라게 하는 원순모음과 입술을 평평하게 하는 평순모음으로 나뉜다.
원순모음 dodaqlanan saitlər
[O], [Ö], [U], [Ü]
평순모음 dodaqlanmayan saitlər
[A], [Ə], [E], [İ], [I]

1.2.3. 구강의 개폐

혀가 밑으로 내려가면서 열리느냐, 혀가 위로 올라가면서 닫히느냐에 따라 구분된다.
폐모음 qapalı saitlər
[I], [İ], [U], [Ü]
개모음 açıq saitlər
[A], [Ə], [O], [Ö], [E]

1.2.4. 모음의 발음

Sait səslərin tələffüzü
1. 같은 모음이 반복될 때는 길게 발음한다.
saat [sa:t], təəssüf [tə:ssüf], bədii [bədi:]
2. 다른 모음과 연결되어 모음이 반복될 때는 [y] 를 추가하여 발음한다.
radio [radiyo], ailə [ayilə], zəif [zəyif]
3. əa, üə, üa 처럼 모음이 연결될 때는 첫번째 모음은 탈락하고 두번째 모음을 길게 발음한다.
fəaliyyət [fa:liyət], müəllim [mə:llim], müavin [ma:vin]
4. ea으로 모음이 연결될 때는 [iya]로 발음한다.
teatr [tiyatr], okean [okiyan], ideal [idiyal]
5. oö 모음 뒤에 [v]가 올 때 [v]는 떨어지고 oö 모음을 길게 발음한다.
dovşan [do:şan]
6. a, ə 모음이 붙은 어절이 세번 반복되는 경우 두번째 어절의 모음이 [ı], [i], [u], [ü] 로 발음한다. 이때는 모음조화 규칙을 따른다.
saxlayın [saxlıyın], nənəyə [nəniyə], babaya [babıya]
7. 아제리어에도 장모음이 있다. 그러나 [ı], [ü]는 장모음화 되지 않는다.
dahi [da:hi], Füzuli [füzuli], vəsiqə [vəsiqə]

1.3. 자음

Samit
자음은 유성자음과 무성자음으로 나뉜다.
자음은 구강에서 생성되는 소리(küy[5])에 따라 짝을 갖는다.
유성자음 [b] [c] [d] [g] [ğ] [j] [q] [l] [m] [n] [r] [v] [y] [z]
무성자음 [p] [ç] [t] [k] [x] [ş] [k'] - - - - - [f] [x'] [s] [h]

1.3.1. 유성자음

Cingiltili samitləri
유성자음은 명확한 소리(səs[6])와 구강에서 생성되는 소리(küy[7])로 구성된다.
[b], [c], [d], [g], [ğ], [j], [q], [l], [m], [n], [r], [v], [y], [z]

1.3.2. 무성자음

Kar samitləri
무성자음은 오직 구강에서 생성되는 소리(küy[8])로 구성된다.
[p], [ç], [t], [k], [x], [ş], [k'], [f], [x'], [s], [h]

1.3.3. 자음의 발음

Samit səslərin tələffüzü
1. qq, pp, kk 처럼 자음이 반복 될 때는 무성음화 되어 발음한다.
doqquz [dok'quz], tappıltı [tapbıltı], hətta [hətda], səkkiz [səkgiz]
2. yy가 반복될 때 [y] 하나가 탈락하여 발음된다. 접미사와 연결되어 반복될 때도 적용된다.
ədəbiyyat [ədəbiyat], cəmiyyət [cəmiyət], fəxiyyə [fəxtiyə]
3. 끝이 자음으로 반복되며 끝나는 단어에 자음으로 시작하는 접미사가 붙을 경우 기존 단어의 끝자음이 탈락된다.
xətt + dən [xətdən], sirr + lər [sirlər], hiss + lər [hislər]
4. 단어의 중간에 두개의 무성음이 오게될 때는 두번째 무성음이 유성음화 된다.
Avesta [avesda], istiqamət [isdiqamət]
5. 단어의 중간에 k가 오게 될 때는 x'로 발음된다
Məktəb [məx'təb], məktəbli [məx'təbli]
6. 단어의 마지막에 d, g, c, q, k, zt, k, ç, x, x', s 로 발음하게 된다.
Palıd[Palıt], tüfəng[tüfənk], ağac[ağaç], qonaq[qonax], çiyələk[çiyələx'], almaz[almas]
7. q로 끝나는 단어 뒤에 모음으로 시작되는 접미사가 오게 되면 ğ로 발음된다.
qonaq + a [qonağa]
8. 단어의 중간에 q 뒤에 무성자음이 올 때는 k'로 바뀌게 된다.
iqtisadiyyat [ik'tisadiyat]
9. k로 끝나는 단어에 모음으로 시작되는 접미사가 올 때에는 ky로 변하게 된다.
çiçək; çiçəy-in, çiçəy-ə, çiçəy-i
10. 첫 어절 뒤에 c가 오고 자음이 오면 j 또는 ş로 발음하게 된다.
əcdad [əjdat], ictimaiyət [iştimaiyət]
11. üzv, üzr, hökm, rəhm, sədr 같이 단어의 마지막에 두개의 자음으로 끝나고 자음으로 시작되는 접미사와 결합하게 되어 자음이 세개가 될 때 앞의 두 자음 사이에 모음이 첨가되어 발음된다.
üzrlü [üzürrü], üzrsüz [üzürsüz], rəhmli [rəhimli], rəhmsiz [rəhimsiz], sədrlik [sədrilik]
12. 마지막에 무성자음으로 두개로 끝나고 자음으로 시작하는 접미사와 결합할 때 무성자음 마지막은 탈락되어 발음되어진다.
dostluq [doslux], neftçi [nei], turistlər [turislər], sərbəstlik [sərbəslix], üstdə [üsdə]

1.4. 모음 조화

Ahəng qanunu
단어에서 전설 또는 후설 모음에 따라 서로를 연결되는 것을 모음조화라고 한다.
2형 변화
후설모음: A, I, O, U -> A
전설모음: İ, E, Ə, Ö, Ü -> Ə
4형 변화
평순후설모음: A, I -> I
원순후설모음: O, U -> U
평순전설모음: İ, E, Ə -> Ə
원순전설모음: Ö, Ü -> Ü

1.4.1. 2형 변화

2형 변화는 후설모음과 전설모음 기준으로 두가지의 형태 변화로 나타난다. 후설모음은 뒤에 오는 접미사가 'a'의 형태를 취하고 전설모음은 뒤에 오는 접미사가 'ə'의 형태를 취한다. 아래와 같이 표기한다.

-əm -am(1인칭단수 서술 접미사)
mən telebe yəm(맨 텔레베앰;나는 학생이다) - 전설모음 변화
mən koreyalıyam(맨 카레얄르얌[9];나는 한국인이다) - 후설모음 변화

-sən -san(2인칭단수 서술 접미사)
sən telebesən(샌 텔레베샌;너는 학생이다) - 전설모음 변화
sən koreyalısan(샌 카레얄르산;너는 한국인이다) - 후설모음 변화

-lər -lar(3인칭복수 서술 접미사)
onlar telebelər(온라ㄹ 텔레벨라ㄹ;그들은 학생들이다) - 전설모음 변화
onlar koreyalılar(온라ㄹ 카레얄를라ㄹ;그들은 한국인들이다) - 후설모음 변화

여기서 사용되는 모음은 'ə'과 'a' 두가지다
후모음(a,ı,o,u) + a
전모음(e,ə,i,ö,ü) + ə

2형 접미사를 표기할 때는 '2'를 각주 표시한다. 예: -am2

1.4.2. 4형 변화

4형 접미사는 후설원순모음, 후설평순모음, 전설원순모음, 전설평순모음 네가지의 형태 변화가 있다. 후설원순모음 뒤에는 'u'를 , 후설평순모음 뒤에는 'ı'를, 전설원순모음 뒤에는 'ü'를, 전설평순모음 뒤에는 'i'를 취한다. 예를 들면 아래와 같다


-siz -sız -suz -süz(2인칭 복수 서술 접미사)
Siz telebesiz(시즈 텔레베시즈;너희는 학생이다) - 전설평순모음
Siz ustasız(시즈 우스타스즈;너희는 기술자다) - 후설평순모음
siz professorsuz(시즈 프라페소르수즈[10];너희는 교수다) - 후설원순모음
siz sürücüsüz'(시즈 슈류쥬류슈즈;너희는 운전사다) - 전설원순모음

-dir -dır -dur -dür(3인칭 단수 서술 접미사)
o telebedir(오 텔레베디ㄹ;그는 학생이다) - 전설평순모음
o ustadır(오 우스타드ㄹ:그는 기술자다) - 후설평순모음
o professordur(오 프라페소르두ㄹ;그는 교수다) - 후설원순모음
o sürücüdür(오 슈류쥬듀ㄹ;그는 운전사다) - 전설원순모음

-ik -ıq -uq -ük(1인칭 복수 서술 접미사)
biz telebeyik(비즈 텔레베잌;우리는 학생이다) - 전설평순모음
biz ustayıq(비즈 우스타읙;우리는 기술자다) - 후설평순모음
biz professoruq(비즈 프라페소룩;우리는 교수다) - 후설원순모음
biz sürücüsüyüq(비즈 슈류쥬슈육;우리는 운전사다) - 전설원순모음

여기서 사용되는 모음은 i,ı,u,ü 네가지다.
분류 어미 종결 접미사
전설평순모음 ə,e i
후설평순모음 a,ı ı
후설원순모음 u,o u
전설원순모음 ü,ö ü

4접미사를 표기할 때는 '4'를 각주 표시한다. 예: -dir4

1.5. 음절

Heca
아제르바이잔어에도 음절이 있다.
a-zər-bay-can(아-제-르-바-이-잔)
sə-ya-hət-çi-lər(새-야-햇-치-레르)
qəh-rə-man-lıq(개흐-래-만-륵)
i-yit-mi(이-잇-미)
단어의 음절 수는 발음되는 모음의 수와 동일하다. 음절은 오직 한 모음만으로 구성 된다.
a-i-lə, a-ta, u-şaq-lar
문장을 작성할 경우 단어가 길게 되어 다음 줄로 넘어갈 때 음절과 음절 사이에 - 첨가하여 넘긴다. 이중 자음을 가진 단어의 경우 처음 오는 자음만 남기고 넘기게 된다.
ana səkkiz
a- sək-
na kiz

1.6. 강세

Vurğu
단어의 음절에서 비교적 강하게 발음하는 것을 강세(vurğu)라고 한다. 강세가 있는 음절을 강세음절(vurğulu heca)이라고 한다. 아제리어에서 강세는 가장 끝의 어절에서 많이 일어난다. 그러나 앞에 나오는 어절에서 강세가 되는 단어에서도 적지 않다. : traktor, kombaynçı, kosmos 등

강세를 갖지 않는 접미사:
1. 명사를 서술하는 접미사 : -əm2, -sən2, -dir4, -ik4, -siniz4, -dirlər4
2. 성을 표기하는 접미사 : -ov, -yev, -ova, -yeva
3. 명사를 만드는 접미사 : gil
4. 동사의 부정형 접미사 : '''-ma2
5. 동사 불확실 과거 -miş형, 현재형, 불확실 미래형 뒤에 오는 인칭접미사
6. idi, imiş, isə 같은 소사(동사와 함께 구동사를 이루는 부사나 전치사)의 축약형
7. 동사 접속 접미사 : -madan2, arkan2 접미사의 2번 째 어절
8. 동사의 명령형 2인칭 복수 접미사 : in4
9. 복수를 나타내는 접미사 : lər2
10. 확실 과거형, 명령형, 조건형 접미사에 복수형이 붙을 때
11. 접속사를 만드는 접미사 : 2, cəsinə2
12. 의문 소사 접미사 : -mı4
13. 생각이나 의견을 나타내는 조동사 접미사 '''-ca2

2. 명사

아제르바이잔어 문법책의 설명으로는 아래와 같다.
사물들의 이름을 알려준다. '어디?', '무엇?' '어디?'라는 의문사에 각각 답을 한다.
사물들과 누군가의 이름을 알려주는 단어들이며 'isim'이라 한다.

2.1. 명사의 종류

명사의 종류에는 물질명사와 추상명사, 일반명사와 특수명사( 고유명사), 단수명사( 가산명사)와 복수명사( 불가산명사)가 있다.

2.1.1. 물질명사 추상명사

물질명사(Konkret isimlər): 눈에 보이는 명사들을 말한다.
Dağ(다ㄱ;산), Çiçək(치챜;꽃), Dəniz(대니즈;바다), kitab(키탑;책) 등

추상명사(Mücərrəd isimlər): 물질명사를 제외한 나머지, 눈에 보이지 않는 명사를 말한다.
Arzu(아르주;소망), Xəyal(ㅋ해얄;희망, 꿈), Yuxu(유ㅋ후;꿈) 등

2.1.2. 일반명사 특수명사

일반명사(mücərrəd isimlər): 일반적으로 존재하는 명사를 말한다.
insan(인산;사람), ağac(아가즈;나무), kaqız(카그즈;종이), qız(그즈그지가 아니다;여자) 등

특수명사(Xüsusi isimlər): 고유명사라 할 수 있다. [* ‘Xüsusi’라는 단어가 특별한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아제리어 문법책 정의로는 밑과 같다.
1. 사람에게 지어진 이름
Kamal, Nurlan, Ceyran, Aysu 등
2. 지리적, 천문학적 이름
Ay, Ülker 등
3. 신문, 잡지의 이름
Xəzər, Mehman 등
4. 동물에게 지어진 이름
Alabaş, Qırat, Mərcan 등

특수명사는 반드시 앞글자를 대문자로 적어야 한다.

2.1.3. 단독명사와 집단명사

단독명사(Tək isimlər): lər2를 접미사로 가질 수 있는 명사를 말한다.
Kitab(키탑;책) → Kitablər(키탑레ㄹ;책들), İt(잍;개) → itlər(잍레ㄹ;개들)

집단명사(Cəm isimlər): 셀 수 없이 많게 모아진 명사들을 말한다
Xalq(ㅋ할ㄱ;국민), Camaat(자마아ㅌ;사회) 등

집단명사에 lər2를 못쓰는 것은 아니다
Xalq(ㅋ할ㄱ;국민) → Xalqlar(ㅋ할글라ㄹ;국민들)ㄱ

2.2. 대명사

대명사에는 인칭대명사와 지시대명사가 있다.

2.2.1. 인칭대명사

아제리어에서의 인칭대명사는 총 여섯가지로 세 개의 인칭과 단수 복수에 따라 구분이 된다.
1인칭 단수 mən(나)
1인칭 복수 biz(우리)
2인칭 단수 sən(너)
2인칭 복수 siz(너희들, 당신)
3인칭 단수 o(그,그녀,그것)
3인칭 복수 onlar(그들, 그녀들, 그것들)

2인칭의 사용에 있어서 복수의 형태 siz는 자신보다 나이가 많거나 또는 사회적 위치가 높거나(선생님, 교수님, 기타 공직자) 또는 처음 만나는 사람에게 사용하는 존칭 표현으로 사용되어지기도 한다. 그와 반대로 sən은 가족, 친구, 자신보다 어린 사람에게 사용한다.

2.2.2. 지시대명사

지시대명사는 obu 두가지가 있으며 복수의 형태로는 복수사 lar를 붙여 onlarbunlar가 된다.
'O'는 '그것' 'bu'는 '이것'이라고 하나 그 쓰임에서 차이는 없다.

2.2.3. 재귀대명사

2.3. 명사의 서술 접미사

(İsimlərdə xəbər əlaməti)
아제리어의 명사는 한국어의 '-다','-이다'의 형태와 같이 명사를 서술하는 역할을 하는 서술 접미사가 있다. 이 서술 접미사는 주어의 인칭와 수에 따라서 그 형태가 변화한다.
1인칭 단수 -əm2(-am)
1인칭 복수 -ik4(-ıq, -uq, -ük)
2인칭 단수 sən2(-san)
2인칭 복수 siz4, siniz4(-sız, -suz, -süz)
3인칭 단수 dir4(-dır, -dür, -dur)
3인칭 복수 dir4(lər2)

2인칭 복수의 경우 siz의 형태는 siniz의 줄임말로 둘 다 사용에 차이가 없다.

명사에서 서술 접미사의 사용의 예:
Mən tələbəyəm(나는 학생이다) Biz tələbəyik(우리는 학생이다)
Sən tələbəsən(너는 학생이다) Siz tələbəsiz(siniz)(너희는 학생이다)
O tələbədir(그는 학생이다) Onlar tələbədir(lər)(그들은 학생들이다)

3. 형용사

4. 부사

4.1. 부동사

feli bağlama
동사와 부사의 역할을 하는 단어들을 부동사라고 한다
부동사는 동사의 상태를 설명하며 의존하는 동사 앞에 온다

부동사의 특징은 아래와 같다
1. 행동을 알려주며 어휘가 가진 의미를 변하게 하지 않는다.
2. 자동사, 타동사 모두에서 사용된다.
3. 긍정, 부정 모두에서 사용된다.
4. 태를 알려준다.
5. 부동사의 경우 접속의 형태를 갖기도 한다.

종류는 아래와 같다.

1. -ıb ~하고
2. -araq ~하면서
3. -madan, -andan (bəri, sonra, əvvəl) ~하기/한(이후로, 후에, 전에)
4. -a -a ~하면서
5. -anda ~할 때
6. -dıqda ~할 때
7. -arkən ~할 때
8. -ınca ~하는 한
9. -dıqca ~하고
10. -ar, -maz ~하기
11. -a (bilmək) ~할 (수 있다)
12. -an (kimi) ~할/하기 (때까지)
13. -ana (qədər, kimi, -acan, dək) ~할/하기 (때까지)

부동사는 동사의 분사에서도 다룬다


5. 조사

(İsmin hallanması)
문장 안에서 명사들을 이어주는 역할을 하며 이것을 격조사(İsmin hallanması)라고 한다. 아제리어 격조사에는 여섯가지의 격조사가 있다. 격조사는 의문사에 의해 결정된다.
조사에는 주격(Adlıq hal), 속격(Yiyəlik hal), 여격(Yönlük hal), 처격(Yerlik hal), 탈격(Çıxışlıq hal), 대격(Tə'sirlik hal)이 있다. 각 조사의 접미사 규칙은 아래와 같다.
주격(主格 Adlıq hal[11]):붙는 접미사 없음
속격(屬格 Yiyəlik hal[12]):-(n)i4
여격(與格 Yönlük hal[13]):-(y)ə2
처격(處格 Yerlik hal[14]):-də2
탈격(奪格 Çıxışlıq hal[15]):-dən2
대격(對格 Tə'sirlik hal[16]):-(n)i4

5.1. 주격조사

Adlıq hal
한국어의 '-은', '-는', '-이', '-가'에 해당하는 격조사 의문사 '누구?(kim?), '무엇?(nə?)에 답한다. 주격조사의 형태는 없다.
Q: Alif kimdir(알리프는 누구입니까?)
A: Mənim solum Alifdir(나의 왼쪽이 알리프입니다)

Q: Sizin adınız dir(당신의 이름은 무엇입니까?)
A: Mənim adım Alifdir(내 이름은 알리프입니다)

5.2. 소유격조사

Yiyəlik hal
한국어의 '-의'에 해당하는 격조사로 이 조사는 두개의 명사 사이에서 소유하는 대상과 소유되는 대상을 표현한다.[17] 의문사 '누구의?(kimin?)', 'nəyin?(무엇의?)'에 답한다. 소유격 조사의 표현으로는 보통 in4이며 수식을 받는 명사에도 소유격 접미사가 붙는다.
Q: bu kitab kimindir?(이 책은 누구의 것입니까?)
A: bu kitab Alifindir(이 책은 알리프의 것입니다)
Alifin kitabı(알리프의 책)

아제리어의 소유격은 수식을 하는 명사의 인칭과 수에 따라서 접미사의 형태가 달라지며 수식되어 지는 명사 또한 함께 변한다.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1인칭 단수 : Mənim(나의) -ım4(-m)
2인칭 단수 : Sənin(너의) -ın4(-n)
3인칭 단수 : Onun(그의) -ı4(-sı)
1인칭 복수 : Bizim(우리의) -ımız4(-mız)
2인칭 복수 : Sizin(너희의) -ınız4(-nız)
3인칭 복수 : Onlar(그들의) -ı4(-sı)
Mənimkitabım(나의 책)
Səninkitabın(너의 책)
Onun kitabı(그의 책)
Bizim kitabımız(우리의 책)
Sizin kitabınız(너희의 책)
Onların kitabı(그들의 책)

그런데 만약 명사의 마지막에 모음이 오게 되면 수식되어지는 명사의 접미사의 형태가 변한다.
Mənim ölkəm(나의 나라)
Sənin ölkən(너의 나라)
Onun ölkə(그의 나라)
Bizim ölkəmız(우리의 나라)
Sizin ölkənız(너희의 나라)
Onların ölkə(그들의 나라)

인칭명사의 소유격은 뒤에 따라오는 수식되는 명사가 소유의 대상을 알려주기 때문에 생략이 가능하다. 인칭명사의 소유격은 강조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Mənim ölkəm = ölkəm(나의 나라)
Mənim ölkəm koreyadır(나의 나라는 한국이다)
Ölkəm koreyadır(나의 나라는 한국이다)
Doqdo adası mənim ölkəminin yeridir.(독도는 내 조국의 땅이다.)

또한 복수의 1,2인칭일 경우에는 수식되어 되어지는 명사의 접미사가 생략이 가능하다. 그러나 사람일 경우에는 생략할 수 없다.
Bizim ölkəmizim(우리의 나라) = Bizim ölkə(가능)
Sizin bibisiniz(너희의 이모) = 불가능

접미사의 변화는 모음조화에 따라 변하는 것이기 때문에 입에 익지 않으면 어렵다.[18] 또한 만약 화자가 앞의 속격인칭명사를 제외하고 뒤의 수식되는 명사만 말할 경우 이해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

5.2.1. 3인칭 소유격조사 접미사와 다른 조사 접미사의 결합

만약 한 어절의 구성이 명사+3인칭 소유격 조사+ 조사 일 때 소유격 조사 조사 사이에 '-n-'을 삽입한다.
그의 집에서
Evində → Ev(집:명사) + i(3인칭 소유격 조사) + n + də( 처격 조사)
그의 형제들에게
Gardaşlarına → gardaşlar(형제들:명사) + ı(3인칭 소유격 조사) + n + a( 여격 조사)

이 형태는 2인칭 단수 소유격 접미사와 같은 형태가 된다.
너의 집에서(2인칭 단수 소유격)
Evində → Ev(집:명사) + in(2인칭 단수 소유격 조사) + də( 처격 조사)
그의 집에서(3인칭 단수 소유격)
Evində → Ev(집:명사) + i(3인칭 소유격 조사) + n + də( 처격 조사)
너의 형제들에게(2인칭 단수 소유격)
Gardaşlarına → gardaşlar(형제들:명사) + ın(2인칭 단수 소유격 조사) + a( 여격 조사)
그의 형제들에게(3인칭 복수 소유격)
Gardaşlarına → gardaşlar(형제들:명사) + ı(3인칭 소유격 조사) + n + a( 여격 조사)

이 때는 구분이 되지 않는다. 해석을 할 때 글과 말의 전체적인 상황을 보고 판단해야 한다. 그러나 모음으로 끝나는 명사와 3인칭 소유격조사의 결합일 때는 '-s-'의 형태가 되기 때문에 구분이 가능하다.
'-n-'은 오직 3인칭 소유격 조사 접미사와 다른 조사 접미사의 결합에서만 붙는다.

5.2.2. 복합명사

명사와 명사의 결합일 때 3인칭 단수 소유격 조사 접미사-(s)i4를 뒤에 오는 명사에 붙인다
사과나무
Alma(사과) + Ağac(나무) → Alma ağacı(사과 나무)
치과의사
Diş(치아) + Həkim(의사) → Diş həkimi(치과 의사)
간호사
Tibb(의료) + Bacı(자매) → Tibb bacısı(간호사)

위에 서술 하였듯이 명사를 강조할 경우에 앞의 명사에 소유격 조사 접미사가 붙는다. 아래 앞의 명사에 조사 접미사를 가졌을 때와 가지지 않았을 때 의미의 차이를 보자.
Ebin pəncərəsi 그 집의 창문
Ev pəncərəsi 가정용 창문
5.2.2.1. 복합명사와 소유격의 비교
화자가 중요하게 여기는 단어에 따라 복합명사 용법을 사용할지 소유격 용법을 사용할지 구분된다.
Alma ağacı(사과 나무)
Almanın ağacı(사과의 나무)
전자는 사과에 강조를 두었고 후자는 나무에 강조를 두었다.

5.3. 대격조사

Tə'sirlik hal
대격은 목적격이라고도 하며동사의 직접목적어를 표시한다.
자음으로 끝날 때는 i4로 모음으로 끝날 때는 ni4를 취한다.

아제리어는 일반적으로 사람, 장소, 물건이 특정될 때 대격 조사를 취한다. 목적어가 불명확하다면 주격을 사용한다.
Mən kinoni gördüm(나는 그 영화를 봤다)
Mən kino görüdüm(나는 영화를 봤다)

여기서 특정되었다는 의미는 1. 사전에 언급이 되었거나 2. 목적어가 소유격에 의해 수식을 받거나 3. 지시 대명사에 의해 특정되어 지거나 4. 목적어가 고유명사, 대명사일 경우를 말한다.

1. 사전에 언급된 목적어
Q: O kinonu görüdün?(저 영화봤니?)
A: Hansı kinonu dəmisən?(어떤 영화를 말하니?)

2. 소유격(속격) 명사 접미사를 가지고 있는 목적어
Kamal mənə onun qələmi verdi(캬말이 나에게 그의 펜을 주었다

3. 앞에 지시대명사가 선행되는 목적어
Q: O kinonu görüdün?(저 영화봤니?)
A: Hansı kinonu dəmisən?(어떤 영화를 말하니?)

4. 목적어가 고유명사, 인칭 대명사, 대명사일 때
Biz Kamalı görüdük(우리는 캬말을 보았다)

5.4. 여격조사

Yönlük hal
여격은 무엇을 받는 자리에 있음을 나타내는 간접목적어를 표시한다.
자음으로 끝날 때는 ə2로 모음으로 끝날 때는 2를 취한다.

1. 장소나 사물을 가리킬 때
Mən evə gedirəm(나는 학교에 간다)

2. 명사가 동사 또는 서술 접미사의 간접 목적어일 때
O mənə lazımdır(그것은 나에게 필요하다)

3. 가격을 말할 때
bu nəçeyədir?(이것은 얼마입니까?)
bu 10 mannatadır(이것은 10마낫입니다)

4. 동사를 연결할 때
Bakıya gəzmə gedirəm

5.5. 처소격조사

Yerlik hal
처소격조사은 사람 또는 물건의 위치(현재 그 주체가 있는 곳)를 가리킬 때 사용한다.
2를 취한다.
Stolda alma var(책상에 사과가 있다)

6. 수사

숫자 아제리어 서수
1 bir Birinci
2 iki ikinci
3 üçü üçüncü
4 dörd dördüncü
5 beş beşinci
6 alt altıncı
7 yeddi yeddinci
8 səkkiz səkkizinci
9 doqquz doqquzuncu
10 on onuncu
11 on bir on birinci
12 on iki on ikinci
13 on üç on üçüncü
14 on dörd on dördüncü
15 on beş on beşinci
16 on alt on altıncı
17 on yeddi on yeddinci
18 on sekkiz on səkkizinci
19 on doqquz on doqquzuncu
20 iyirmi iyirminci
30 otuz otuzuncu
40 qırx qırxıncı
50 əli əlinci
60 altmış altımışıncı
70 yetmiş yetmişinci
80 səksən, həştat səksəninci, həştadıncı
90 doxsan doxsannıncı
100 yüz yüzüncü
1,000 min mininci
10,000 on min on mininci
100,000 yüz min yüz mininci
1,000,000 milion milionuncu

6.1. 날짜


년을 표기 할 때 서수임을 표기한다.
읽을 때는 한국어와 마찬가지로 천-백-십-일 순으로 읽는다.
1950년 : 1950-ci : min doqquz yüz əlinci il[19]
2022년 : 2022-ci : iki min iyirmi ikinci il

의 표기는 아래와 같다.[20]
아제리어
1월 yanvar
2월 fevral
3월 mart
4월 aprel
5월 may
6월 iyun
7월 iyul
8월 avqust
9월 sentyabr
10월 oktyabr
11월 noyabr
12월 dekabr

날짜를 표기할 때 일-월-년 순으로 한다. 하지만 읽을 때는 년-월-일 순으로 한다. 일을 읽을 때는 '월의 일'의 형식으로 읽게 된다.
1950년 6월 25일
25 iyun 1950 : min doqquz əlinci il iyunun iyirmi beşi
2022년 2월 2일
2 fevral 2022 : iki min iyirminci il fevralın ikisi

7. 동사

7.1. 기본 시제

아제르바이잔어 동사의 기본 시제는 ‘ 현재’, ’단순 과거’, ‘miş 과거’, ‘확실 미래’, ‘불확실 미래’ 다섯가지가 존재한다.
그 외의 시제들은 기본 시제를 조합하여 표현한다.

7.1.1. 현재형

현재형 또는 현재진행형 어미
ir4

현재형 인칭 접미사
인칭 단수 복수
<colbgcolor=#f5deb3,#4c3509> 1인칭 -əm2 -ik4[A]
2인칭 -sən2 -siniz4 또는 siz4
3인칭 없음 -lər2

현재 시제는 동사 원형 어간 뒤에 현재시제 어미를 첨가하고 그 뒤에 인칭과 모음 조화에 따른 접미사를 첨가한다.
olmaq(있다)
oluram (나는 있다) 1인칭 단수
olursan (너는 있다) 2인칭 단수
olur (그는 있다) 3인칭 단수
oluruq (우리는 있다) 1인칭 복수
olursuz (너희/당신은 있다) 2인칭 복수
olurlar (그들은 있다) 3인칭 복수


현재시제의 부정형은 어간과 현재시제 어미 사이에 '-m-'를 첨가하면 된다.
olmaq(있다) -> ol + ur -> olur(그는 있다)
olmaq -> ol + m + ur -> olmur(그는 없다)
7.1.1.1. 현재시제의 사용

1. 지금 현재 일어나고 있는 일 (현재진행)

Mən evə gedirəm (나는 집에 가고 있다)
İndi çörəyi yeyirsən? (지금 빵을 먹고 있니?)

2. 습관 또는 규칙적으로 일어나는 일 (현재)

O tez-tez bazara gedir (그는 자주 시장에 간다)
Mən bu universitetində oxuyuram (나는 이 대학교에서 공부한다)
7.1.1.2. 현재시제의 변화

동사의 어간이 모음으로 끝나는 경우에는 어간과 시제 어미 사이에 '-y-'를 첨가한다. 이는 불확실 미래시제, 확실 미래시제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oxumaq(읽다/공부하다) -> oxu + (y) + ur -> oxuyur(그는 읽는다/공부한다)

또한 동사의 어간이 't'로 마칠 경우 'd'로 변하게 된다.
eşitmək(듣다) -> eşi + (t->d) + ir -> eşidir(그는 듣는다)

그러나 어간이 1음절로 끝나는 경우는 변하지 않는다. 단, 예외로 'getmək(가다)' 'etmək(하다)' 의 경우 어간이 1음절일지라도 'd'로 변한다. 이는 불확실 미래시제, 확실 미래시제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getmək(가다) -> get + (t->d) + ir -> gedir(그는 간다)
etmək(하다) -> et + (t->d) + ir -> edir(그는 한다)

어떤 동사의 경우 현재시제가 되면 발음이 변하기도 한다.
başlamaq -> başlayır -> başdıyır
işləmək -> işləyir -> işdiyir
7.1.1.3. 존재사

아제르바이잔어에서 존재에 대해 표현할 때, 즉 '-있다'를 표현할 때 존재사 Var를 사용한다.
Stulda alma var (책상 위에 사과가 있다)
Mən evdə var (나는 집에 있었다)

존재, 소유를 표현할 때 Var 존재사를 사용한다. 그러나 존재사 앞에 오는 명사에 소유격을 붙이느냐 처소격을 붙이느냐는 주어와 관계가 대상물인지 소유물인지에 따라 다르게 사용되어진다.
Məndə qələm var (나에게 펜이 있다)
Mənim uşağım var (나에게 아이가 있다)

이 둘의 관계를 보면 첫번째 문장에서 '나'에게 '펜'은 어떤 대상물이다. 소유물처럼 보이더라도 지속성과 영속성이 없기 때문에 단순 대상물이다. 그러나 아래 문장에서 '나'에게 '아이'는 인격이 있어 대상물처럼 보이더라도 그 관계가 지속성 영속성을 가지기 때문에 소유물로 판단한다.
Mənim 28 yaşım var (나는 28살이다)

나이는 지속성과 영속성이 없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나이'라는 것은 '갯수'는 변하지만 내 삶에 계속 함께하기 때문에 지속성과 영속성을 가진 것으로 본다.[22]
존재를 말할 때, 만일 대상물의 존재을 이미 알고 있고 그 대상의 존재를 확인할 때 존재사 Var를 사용하지 않는다. 이 때는 '처소격+dir'를 사용한다.
O alma səndədir? (그 사과가 당신에게(있습니까?))
səndə alma var? (당신에게 사과가 있습니까?)

부정형은 Yoxdur 이다.
Stulda alma var (책상 위에 사과가 있다)
Stulda alma yoxdur (책상 위에 사과가 없다)

7.1.2. 단순과거형[23]

단순과거형 또는 di형 과거형 어미
di4

단순과거형 인칭 접미사
인칭 단수 복수
<colbgcolor=#bd1a56> 1인칭 -m -k2[A]
2인칭 -n -z 또는 -niz4
3인칭 없음 -lər2

단순과거시제는 동사 원형 어간 뒤에 단순과거(di형)시제 어미를 첨가하고 그 뒤에 인칭과 모음 조화에 따른 접미사를 첨가한다.
olmaq(있다)
oldum (나는 있었다) 1인칭 단수
oldun (너는 있었다) 2인칭 단수
oldu (그는 있었다) 3인칭 단수
olduq (우리는 있었다) 1인칭 복수
oldunz 또는 oldunuz (너희/당신은 있었다) 2인칭 복수
oldular (그들은 있었다) 3인칭 복수


단순과거시제의 부정형은 어간과 단순과거시제 어미 사이에 '-mə2-'를 첨가하면 된다.
olmaq(있다) -> ol + du -> oldu(그는 있다)
olmaq -> ol + ma + dı -> olmadı(그는 없다)
이때 어간이 4형 변화[25]일찌라도 부정형이 2형 변화[26]이기 때문에 단순과거시제 어미는 부정형에 따라서 변한다.
7.1.2.1. 단순과거시제의 사용

1. 명확한 상황 속에서 일어난 과거의 사건과 화자가 경험한 사건을 말할 때 사용한다. (확실성)
Mən Koreyada oldum (나는 한국에 있었다.)
1950-ci il Koreayada müharibə oldu (1950년 한국에서 전쟁이 있었다.)

2. 지속되지 않은 사건을 말할 때 사용한다. 과거에 일정한 기간을 두고 일어난 사건이 아니라 한 시점에 일어난 사건을 말할 때 사용한다. (비지속성)
이는 아래 다루게 될 miş형 과거시제와 비교된다.
Mən dünən evə gedəndə Yusifi gördüm (나는 어제 집에 갈 때 유십을 보았다.)

3. 어떤 사건이 다른 사건에 영향을 줄 때 원인이 된 사건과 그로 인해 발생한 결과에 사용한다.(인과성)
Bu gün qrip deydimş ona görə məktəbə gedə bilmədim. (오늘 독감에 걸렸다. 그래서 학교에 가지 못했다.)
7.1.2.2. 존재사 과거시제

존재사 Var의 과거시제는 뒤에 'idi+단순과거시제 어미'를 첨가하면 된다.
Stulda alma var (책상 위에 사과가 있다)
Stulda alma var idi (책상 위에 사과가 있었다)
Mən evdə var idim (나는 집에 있었다)
Sən evdə var idin (너는 집에 있었다)
O evdə var idi (그는 집에 있었다)
Biz evdə var idik (우리는 집에 있었다)
Siz evdə var idiz (너희/당신은 집에 있었다/있었습니다)
Onlar evdə var idilər (그들은 집에 있었다)

부정형은 yox idi 이다.
Mən evdə yox idim (나는 집에 없었다)
Sən evdə yox idin (너는 집에 없었다)
O evdə var yox (그는 집에 없었다)
Biz evdə yox idik (우리는 집에 없었다)
Siz evdə yox idiz (너희/당신은 집에 없었다/없었습니다)
Onlar evdə yox idilər (그들은 집에 없었다)

7.1.3. 불확실 과거형[27]

불확실 과거형은 '-miş'와 '-(y)ib 두가지가 있다. 둘은 같은 의미다.
불확실 과거형은 현재완료형이라고도 한다.
-miş4 -(y)ib4


불확실 과거형 miş형 인칭 접미사
인칭 단수 복수
<colbgcolor=#f21145> 1인칭 -əm -ik4[A]
2인칭 -sən2 -siniz4 또는 -siz4[29]
3인칭 -dir4 -dirlər2

불확실 과거형 ib형 인칭 접미사
인칭 단수 복수
<colbgcolor=#f21145> 1인칭[30] 존재하지 않음 존재하지 않음
2인칭 -sən2 -siniz4 또는 -siz4
3인칭 없음 -lər2

불확실 과거형 시제는 동사 원형 어간 뒤에 시제 어미를 첨가하고 그 뒤에 인칭과 모음 조화에 따른 접미사를 첨가한다.
olmaq(있다)
olmuşam (나는 있어왔다) 1인칭 단수
olmuşsan[31] (너는 있어왔다) 2인칭 단수
olmuş (그는 있어왔다) 3인칭 단수
olmuşuq (우리는 있어왔다) 1인칭 복수
olmuşsuz[32] 또는 olmuşsunuz[33] (너희/당신은 있어왔다/있어오셨다) 2인칭 복수
olmuşlar (그들은 있어왔다) 3인칭 복수
olmaq(있다)
olubsan (너는 있어왔다) 2인칭 단수
olub (그는 있어왔다) 3인칭 단수
olubsunuz 또는 olubsunuz (너희/당신은 있어왔다/있어오셨다) 2인칭 복수
olublar (그들은 있어왔다) 3인칭 복수


불확실 과거시제의 부정형은 어간과 불확실 과거시제 어미 사이에 '-mə2-'를 첨가하면 된다.
olmaq(있다) -> ol + muş -> olmuş(그는 있다)
olmaq -> ol + ma + muş -> olmamuş(그는 없다)
olmaq -> ol + ma + (y)ıb -> olmayıb(그는 없다)
이때 어간이 4형 변화[34]일찌라도 부정형이 2형 변화[35]이기 때문에 불확실 과거시제 어미는 부정형에 따라서 변한다.
7.1.3.1. 불확실 과거 시제의 사용

1. 어떤 상태가 그대로 존재하는 상황 (지속성)
Sevinc keçən həftə Gəncəyə getmiş
세빈즈는 저번 주 갠재에 갔다.(그리고 다시 돌아오지 않음)

2. 과거의 사건이 현재의 일의 원인이 될 때 (인과성)
Dünən haba çox soyuq idi. amma dostumu görüşmək üçün Bulvara getmişəm. ona görə də özümü pis hiss eləyirəm
어제 날씨가 너무 추웠다. 그러나 친구를 만나기 위해 불바르[36]에 갔었다. 그래서 몸이 안좋다.(과거의 행동이 현재의 상태에 영향을 주었다.)

이는 어떤 지'점'이 아니라 '선'으로 생각해야 한다. 이는 사건의 영향이 계속 되거나, 어느 기간 동안 반복적으로 일어날 때 사용한다. 이는 단순과거와 비교된다. 단순과거는 이지만, 현재완료는 이다.
Koreyadan gəldim
(나는 한국에서 왔다) : 일시적으로 한국에서 왔다는 것이다.
Korayadan gəlmişəm
(나는 한국에서 왔다) : 한국에서 와서 지금 와있는 곳에서 계속 살고 있다는 것이다.

3. 아제리어는 현재진행을 사용해야 할 것 같은 상황에 현재 완료형을 사용한다. 여기에 모든 동사가 사용되어지는 것이 아니다. dayanmaq(서다, 멈추다), durmaq(서다), oturmaq(앉다), geyinmək(입다), yatmaq(자다), uzanmaq(눕다), söykənmək(기대다), tutmaq(잡다)이다.
Səni gözləyərək kənarda oturmuşam
너를 기다리면서 밖에 앉아있었다.

4. 화자가 목격하지 않은 사건을 이야기할 때 사용한다. (추측성)
화자가 다른 누군가에게 정보를 듣고 이야기할 때도 사용한다.
Dünən Kamal rayona gedib
어제 캬말은 지방에 갔다(고 들었다.)

7.1.4. 확실미래형

확실미래형 어미
-(y)əcək2

확실미래형 인칭 접미사
인칭 단수 복수
<colbgcolor=#8FBC8F> 1인칭 -əm2 -ik4[A]
2인칭 -sən2 -siniz4 또는 -siz4
3인칭 없음 -lər2
1인칭 단수의 경우 -əc2로 변하기도 한다.

확실미래형 시제는 동사 원형 어간 뒤에 시제 어미를 첨가하고 그 뒤에 인칭과 모음 조화에 따른 접미사를 첨가한다.
olmaq(있다)
olacağam / olacam (나는 있을 것이다) 1인칭 단수
olacaqsan (너는 있을 것이다) 2인칭 단수
olacaq (그는 있을 것이다) 3인칭 단수
olacağıq (우리는 있을 것이다) 1인칭 복수
olacaqsız 또는 olacaqsınız (너희/당신은 있을 것이다/있으실 것이다) 2인칭 복수
olacaqlar (그들은 있을 것이다) 3인칭 복수

확실미래시제의 부정형은 어간과 현재완료시제 어미 사이에 '-mə2-'를 첨가하면 된다.
olmaq(있다) -> ol + acaq -> olacaq(그는 있을 것이다)
olmaq -> ol + ma + acaq -> olmayacaq(그는 없을 것이다)
이때 어간이 4형 변화[38]일찌라도 부정형이 2형 변화[39]이기 때문에 현재완료시제 어미는 부정형에 따라서 변한다.
7.1.4.1. 확실미래 시제의 사용

어떤 확실한 계획이나 사건에 대해 이야기 할 때 사용한다. 정말 간단하다.
Bu gün yağış yağacaq (오늘 비가 올 것이다.)
Sən evə nə vaxt gedəcəksən? (너 집에 언제 갈거니?)

7.1.5. 불확실미래형

불확실미래형 어미
-(y)ər2

불확실미래형 인칭 접미사
인칭 단수 복수
<colbgcolor=#48D1CC> 1인칭 -əm2 -ik4[A]
2인칭 -sən2 -siniz4 또는 -siz4
3인칭 -4 또는 없음 -lər2

불확실미래형 시제는 동사 원형 어간 뒤에 시제 어미를 첨가하고 그 뒤에 인칭과 모음 조화에 따른 접미사를 첨가한다.
olmaq(있다)
olaram (나는 있을 것이다) 1인칭 단수
olarasan (너는 있을 것이다) 2인칭 단수
olar (그는 있을 것이다) 3인칭 단수
olarıq (우리는 있을 것이다) 1인칭 복수
olarsız 또는 olarsınız (너희/당신은 있을 것이다/있으실 것이다) 2인칭 복수
olarlar (그들은 있을 것이다) 3인칭 복수

불확실미래시제의 부정형은 불규칙적이다.

불확실미래형 인칭 접미사
인칭 단수 복수
<colbgcolor=#48D1CC> 1인칭 -mərəm2 -mərik4[A]
2인칭 -məzsən2 -məzsiniz4 또는 -məzsiz4
3인칭 -məz4 -məzlər2

7.1.5.1. 불확실미래 시제의 사용

어떤 계획이나 사건이 불확실 할 때 사용되어진다.

1. 순간 갖게 되는 약속과 책임 또는 결정
Sənə gedərəm! (너한테 갈게!)
Qayıdanda yaxşı əşyaları alaram (돌아갈 때 좋은 물건 사갈게)

2. 요구할 때
Mənə çörəyi verərsən? (나한테 빵 좀 줄 수 있어?)
Məni apararsan? (나를 데려가줄 수 있어?)

3. 명령/금지 명령
içərsən! (마셔!)
olmaz! (안되!)

4. 예언
Bir gün sənə məni lazım olarsan (언젠가 너한테 나를 필요로 할거야)
diqqət ol! yıxılaran (조심해! 넘어져)

5. 불확실한 계획
Qubaya gedərəm (구바에 갈 것이다)
Əvvəlcə Bakıya gedərəm, sonra Sumqayıta (먼저 바쿠에 가고 후에 숨가이트로(갈거야))

6. 특정시간과 관계없는 것에 대해 말할 때, 속담, 개념, 어떤 나열
Axtaran tapar (구하는 자는 얻는다)
Qonağa gedəndə siriniyatı alar, yaxşı paltar geyinər.. (손님으로 갈 때 간식을 사고, 좋은 옷을 입고..)

7.2. 그외 시제

7.2.1. 과거 진행형

과거 진행형 어미
-(y)ırdı4

과거 진행형 인칭 접미사
인칭 단수 복수
<colbgcolor=#6080c3> 1인칭 -m -k2[A]
2인칭 -n -z 또는 -niz4
3인칭 없음 -lər2

7.2.2. 대과거

대과거형 어미
mişdi4

대과거형 인칭 접미사
인칭 단수 복수
<colbgcolor=#c63304> 1인칭 -m -k2[A]
2인칭 -n -z 또는 -niz4
3인칭 없음 -lər2

7.2.3. 과거소망형

7.3. 가정법

7.3.1. 가정법 종결

7.3.1.1. 불확실 미래

불확실 미래 가정법 접미사
-(y)ərdi2

불확실 미래 가정법 인칭 접미사
인칭 단수 복수
<colbgcolor=#48D1CC,#bd1a56> 1인칭 -m -k2[A]
2인칭 -n -z 또는 -niz4
3인칭 없음 -lər2

불확실 미래 가정법은 동사 원형 어간 뒤에 불확실 미래 가정법 접미사를 첨가하고 그 뒤에 인칭과 모음 조화에 따른 접미사를 첨가한다.
olmaq(있다)
olardım (내가 있었을 것이다) 1인칭 단수
olardın (너가 있었을 것이다) 2인칭 단수
olardı (그가 있었을 것이다) 3인칭 단수
olardıq (우리가 있었을 것이다) 1인칭 복수
olardız (너희가/당신이 있었을 것이다) 2인칭 복수
olardılar (그들이 있었을 것이다) 3인칭 복수

불확실 미래 가정법의 부정은 불확실 미래형 부정의 규칙대로 일어난다.
olmaq(있다) -> ol + ardı -> olur(그가 있었을텐데)
olmaq -> ol + m + az + dı -> olmazdı(그가 없었을텐데)
7.3.1.2. 확실 미래

확실 미래 가정법 접미사
-(y)əcəkdi2

확실 미래 가정형 인칭 접미사
인칭 단수 복수
<colbgcolor=#f5deb3,#4c3509> 1인칭 -m -k2[A]
2인칭 -n -z 또는 -niz4
3인칭 없음 -lər2

확실 미래 가정법은 동사 원형 어간 뒤에 확실 미래 가정법 접미사를 첨가하고 그 뒤에 인칭과 모음 조화에 따른 접미사를 첨가한다.
olmaq(있다)
olacaqdım (내가 있었을 것이다) 1인칭 단수
olacaqdın (너가 있었을 것이다) 2인칭 단수
olacaqdı (그가 있었을 것이다) 3인칭 단수
olacaqdıq (우리가 있었을 것이다) 1인칭 복수
olacaqdız (너희가/당신이 있었을 것이다) 2인칭 복수
olacaqdılar (그들이 있었을 것이다) 3인칭 복수

확실 미래 가정법의 부정은 확실 미래형 부정의 규칙대로 일어난다.
olmaq(있다) -> ol + acaqdı -> olur(그가 있었을 것이다)
olmaq -> ol + ma + acaqdı -> olmayacaqdı(그가 없었을 것이다)

7.3.2. 조건형

7.3.2.1. 단순 조건형

단순 조건형 접미사
-sə2

단순 조건형 인칭 접미사
인칭 단수 복수
<colbgcolor=#f5deb3,#4c3509> 1인칭 -m -k2[A]
2인칭 -n -z 또는 -niz4
3인칭 없음 -lər2

단순 조건형은 동사 원형 어간 뒤에 단순 조건형 접미사를 첨가하고 그 뒤에 인칭과 모음 조화에 따른 접미사를 첨가한다.
olmaq(있다)
olsam (내가 있으면) 1인칭 단수
olsan (너가 있으면) 2인칭 단수
olsa (그가 있으면) 3인칭 단수
olsaq (우리가 있으면) 1인칭 복수
olsaz (너희가/당신이 있으면) 2인칭 복수
olsalar (그들이 있으면) 3인칭 복수

단순 조건형의 부정형은 어간과 조건형 접미사 사이에 '-mə2'를 첨가하면 된다.
olmaq(있다) -> ol + sa -> olsa(그가 있으면)
olmaq -> ol + ma + sa -> olmasa(그가 없으면)
7.3.2.2. 과거 조건형

과거 조건형 접미사
-səydi2

과거 조건형 인칭 접미사
인칭 단수 복수
<colbgcolor=#f5deb3,#4c3509> 1인칭 -m -k2[A]
2인칭 -n -z 또는 -niz4
3인칭 없음 -lər2

과거 조건형은 동사 원형 어간 뒤에 과거 조건형 접미사를 첨가하고 그 뒤에 인칭과 모음 조화에 따른 접미사를 첨가한다.
olmaq(있다)
olsaydım (내가 있었으면) 1인칭 단수
olsaydın (너가 있었으면) 2인칭 단수
olsaydı (그가 있었으면) 3인칭 단수
olsaydıq (우리가 있었으면) 1인칭 복수
olsaydız (너희가/당신이 있었으면) 2인칭 복수
olsaydılar (그들이 있었으면) 3인칭 복수

과거 조건형의 부정형은 어간과 과거 조건형 접미사 사이에 '-mə2'를 첨가하면 된다.
olmaq(있다) -> ol + saydı -> olsaydı(그가 있으면)
olmaq -> ol + ma + saydı -> olmasaydı(그가 없으면)

7.3.2.3. 현재 조건형
위의 조건형 가정법들은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책이나 공식적인 자리에서 사용된다. 이후 가정법은 앞의 가정법보다 쉽고 자주 사용된다.

현재 가정법은 단순현재[48] 뒤에 단순 조건형 '-sə2'를 첨가하여 만든다. '~하면'로 해석되어진다.
사용은 아래와 같다.

1. 상황이나 행동이 지금 발생했을 때
Əgər gəlirsənsə, məni apara bilərsən (만일 너가 온다면, 나를 데려갈 수 있을 것이다.)
Bilirsənsə, mənə de (너가 안다면, 나에게 말해)

2. 상황이나 행동이 진행중일 때
Oxuyursansa, nə görə imatahan balı pisdir? (너가 공부했다면, 왜 시험 성적이 나쁘니?)
O evdə olursa, nəce burda gəcə bilər? (그가 집에 있다면, 어떻게 여기에서 돌아다닐 수 있나?)

3. 시간과 관계없이 어떻게 된 것인지에 대해 설명할 때
İki dəne alırsansa, bir dəne daha verərəm (두개 사면, 한 개 더 드릴게요)
Bakıda qar yağırsa, heç kim kənara çıxa bilmir (바쿠에 눈이 오면, 아무도 밖에 나갈 수 없다)
7.3.2.4. 불확실 과거 조건형

불확실 과거 가정법은 불확실 과거 시제[49] 뒤에 '-sə2'를 첨가하여 만든다.
과거에 무슨 일이 발생했는지 안했는지 모를 때 '-miş4'형과 과거시제와 함께 쓰인다. '~했다면'로 해석되어진다.
Əgər o gedmişsə, məni görüb (만일 그가 갔다면, 나를 보았을 것이다.)
O hələ nahar etməyib, bizə gəlsin (그가 아직 식사를 안했다면, 우리에게 오게 해라)
7.3.2.5. 확실 미래 조건형

확실 미래 가정법은 확실 미래시제 뒤에 '-sə2'를 첨가하여 만든다.
'~하려고 한다면'으로 해석되어진다. 어떤 계획이나 결정을 가지고 있다는 의미를 표현할 때 사용되어진다.
Təyyarə biləti alacaqsansa, indi almalısan (비행기 표를 사려고 (너가)한다면, 지금 사야한다)
Nahar edəcəksənsə, indi bişirməlisən (
7.3.2.6. 필연 조건형

필연 조건형은 필연형[50] 뒤에 '-sə2'를 첨가하여 만든다.
'~해야만 한다면'으로 해석되어진다. 의지나 의무, 충고의 의미를 표현할 때 사용되어진다.
Mən getməliyəmsə, gedəcəm
Səni gözləməliyəmsə, çıxmayacam
7.3.2.7. 서술어 조건형
명사 또는 형용사의 서술어에 사용되는 조건형은 의미에 따라 명사 서술어 접미사 또는 'olmaq' 동사에 '-sə2'를 첨가한다.

1. 지금 당장의 사실을 언급할 때 명사, 형용사 서술어 접미사에 조건형 접미사를 붙인다.
Hava soyuqdursa, palto geyin
Həkimsənsə, məni şəfa ver

2. 사건의 상황 또는 일반적인 사실을 언급할 때는 olmaq 존재동사의 현재형에 조건형 접미사를 붙인다.
Hava soyuq olursa, palto geyin
O hər gen orda olursa, bir gün onun yanına gələrəm

3. 미래의 무엇인가를 언급할 때는 olmaq의 어간에 조건형 접미사를 붙인다.
Hava soyuq olsa, palto geyin
O orda olursa, bunu ona verərsən

4. 과거에 일어난 사건을 언급할 때는 과거형 idi에 조건형 접미사를 붙인다.
Dünən evdə idisə, mənə zəng eləməliydi
Əgər xəstə idisə, gərək gəlməyəydi

5. 명확하지 않는 과거의 사건을 언급할 때, olmaq의 불확실 미래형의 뒤에 조건형 접미사를 붙인다.
Uşaq olanda xəstə olubsa, gələcəkdə ola bilər
Sən kənddə olmusansa, həyvanları görə bilər
7.3.2.8. 존재사 조건형

존재사 'var' 또는 존재동사 'olmaq'의 조건형은 상황에 따라 사용이 다르다.

1. 지금 사실이 될 무엇인가를 언급할 때 'var + sə2'로 표현한다.
Ofisdə kağız varsa, kopya edərsən
kağır yoxdursa, maqazinə al

2. 미래의 존재할 무엇인가를 언급할 때는 존재동사 'olmaq'의 어간에 'sə2'를 붙여 표현한다.
Əgər gələm olmasa, alarsan
İstədiyəim universitetin balı olsa, mütləq bu universitetə gədəcəm

3. 과거에 존재했을 무엇인가를 언급할 때는 'var idi'의 형태에 'sə2'를 붙여 표현한다.
Pulun var idisə, niyə avtobusa minmədin?
Bu gün o evdə var idisə, niyə evinə getmədin?

4. 명확하지 않은 과거에 존재했을 무엇인가를 언급할 때는 존재동사 'olmaq'에 불확실 과거형 '-mış' 조건형 '-sə2'을 연결하여 표현한다.
Boş olubsa, niyə gəlmədin?
O mağazada sök olubsa, başqa mağazaya getməmişəm

7.3.3. 가정법의 사용

7.3.3.1. 단순 가정법

단순 가정법은 '조건형 + 미래형/의무형/명령형'으로 표현된다. 이 가정법은 실재 상황에서 일어날 수 있는 사건에 사용되어진다. 이 때 무엇을 희망하느냐에 따라 불확실 미래형[51], 확실 미래형[52], 의무형[53], 명령형[54]이 오게 된다.
Sən tortu görəsən, yeyərsən (너가 케이크를 보면, 먹을 것이다.)
Sən tortu görəsən, yeyəcəksən (너가 케이크를 보면, 먹을 것이다.)
Sən tortu görəsən, yeməlisən (너가 케이크를 보면, 먹어야만 한다.)
Sən tortu görəsən, ye (너가 케이크를 보면, 먹어)
7.3.3.2. 과거 가정법

과거 가정법은 '과거 조건형 + 미래 가정형'으로 표현된다. 이 가정법은 불가능한 상황에서 일어날 수 있는 사건[55] 또는 어떤 상황이 가까스로 무효화된 상황[56]에 사용되어진다.

1. 과거 가정법은 정반대의 일을 표현할 때 사용된다. 형태는 '미래 + 과거'이지만, 과거 또는 현재의 의미를 나타낸다.
<과거 의미>
Əgər dünən məktəbə getsəydim, onu görərdim ((내가)만약 어제 학교에 왔다면, 그를 봤었을 것이다.)
Sən bu kitabları oxusaydın, dərsi başa düşərdin (너가 이 책을 읽으면, 수업을 이해했을 것이다.)
<현재 의미>
Əgər mən məktəbdə olsaydım, onlarnan danışardım (만일 내가 학교에 있었다면, 그들과 이야기했을 텐데)
Yaponca bilsəydim, yapona gedərdim (일본어를 안다면, (내가)일본에 갔을 텐데)

2. 매우 불가능한 가정을 표현할 때 사용된다.
Əgər aya getsəydin, nə edərdiz? (만일 달에 가면, 무엇을 하실 건가요?)
Sənin hərəktini Youtube-də paylaşsaydı, nə edərdin? (너의 행동이 유튜브에 올려진다면, 넌 뭘 할거니?)

3. 일어날 것 같이 않은 상황속에서 실망감을 표현할 때 사용된다.
O sataşmasaydı, vurmazdım (그가 놀리지 않았다면, 때리지 않았을 것이다.)
Mənə cin atına minməsəydi, onun ödürməzdim (나를 빡치게 하지 않았다면[57] 그를 죽이지 않았을텐데)

7.4. 분사형

동사 어간 뒤에 분사 어미를 첨가함으로 동사를 명사, 형용사, 부사의 형태로 변화시킨다.

7.4.1. -dik4


형용사적 용법과 명사적 용법으로 나뉜다.

-dik4분사는 인칭접미사를 갖는다. 소유격 조사와 동일하다.
인칭 단수 복수
<colbgcolor=#f5deb3,#4c3509> 1인칭 -im4 -imiz4
2인칭 -in4 -iniz4
3인칭 -i4 -ilər2

이 때 'k'는 'y'로 변하게 된다.
동사 어간 + (dik -> diy) + 인칭접미사
yemək (먹다)
yediyim :1인칭 단수 (내가 먹던/먹은 또는 먹던 것)
yediyin :2인칭 단수 (너가 먹던/먹은 또는 먹던 것)
yediyi :3인칭 단수 (그가 먹던/먹은 또는 먹던 것)
yediyimiz :1인칭 복수 (우리가 먹던/먹은 또는 먹던 것)
yediyiniz :2인칭 복수 (너희가 먹던/먹은 또는 먹던 것)
yediyilər :3인칭 복수 (그들이 먹던/먹은 또는 먹던 것)
7.4.1.1. 형용사적 용법

1. 행위를 받는 대상을 가리킬 때
Qadının yediyi almaı getirin. (여자가 먹고 있는 사과를 가져가세요.)
O kişi oturduğu stolun yanında oturun (남자가 앉아있는 책상 옆에 앉으세요.)

2. 과거에 행위를 받았던 대상물을 가리킬 때
Dünən oturduğum parkda görən adamı bu gün də gördüm. (어제 앉아있던 공원에서 보았던 사람을 오늘도 보았다.)
Dünən sənə verdiyim kitab haradadır? (어제 너에게 준 책은 어디있니?)
7.4.1.2. 명사적 용법

행위를 하는 사람 또는 어떤 상태의 물건을 가리킬 때, 뒤에 특정 명사가 오지 않더라도 '-했던/하는 것','-했던/하는 사람' 등으로 표현된다. 이 때 앞에 오는 조사는 주격이 아닌 소유격이 온다.
(Mənim) Bişirdiyim. (내가 만든/만들었던 음식.)
(Mənim) Tanıdığım. (내가 아는/알던 사람.)
7.4.1.3. 부사적 용법

탈격(-dan2)과 결합함으로 '-때문에' 의미를 갖는다.
Su gəlmədiyidən çimə bilmədim (물이 나오지 않았기 때문에 씻지 못했다)
Pul olmaduğundan evə ayaqnan getdim (돈이 없어서 집에 걸거 갔다)
7.4.1.4. 후치사 결합 용법

dik 분사는 후치사와 결합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 '-때문에', '-의하면' 등을 표현할 수 있다. 부사적 용법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dik 분사가 후치사와 결합 될 경우 앞에 오는 명사의 형태에 따라 의미가 달라진다.
7.4.1.4.1. görə, üçün

분사와 görə, üçün이 결합하여 '-때문에'의 의미를 갖는다. 이 때 görə의 경우 여격이 오며, üçün의 경우 대격이 온다.
Evə gecikdiyinə görə mən çıxa bilmədim (너가 집에 늦게 왔기 때문에 내가 나가지 못했다.)
Tez evə qayıtdığını üçün görüşə bilmədim (그가 빨리 집에 돌아갔기 때문에 만나지 못했다.)

이 때 분사 앞에는 주격이 온다.
Sən evə gecikdiyinə görə çıxa bilmədim (너가 집에 늦게 왔기 때문에 내가 나가지 못했다.)
O tez evə qayıtdığını üçün görüşə bilmədim (그가 빨리 집에 돌아갔기 때문에 만나지 못했다.)

그러나 분사 앞에 소유격이 오게 된다면 '-의하면'이라는 의미를 갖게 된다.
Ounu yazdığına görə, o bu gün gecikəcək. (그가 적은 것에 의하면, 그는 오늘 오지 못한다.)
Ounu dediyiə görə, mən 1 aydan sonra öləcəm. (그가 말한 것에 의하면, 나는 1달 뒤 죽을 것이다.)
7.4.1.4.2. kimi

분사와 kimi가 결합하여 '-같이', '-처럼'의 의미를 갖는다. 이 때 대격이 온다.
Sən danışdığını kimi (너가 말한 것같이)
Mən sənə dediyimi kimi, atam gəldi (내가 너에게 말한대로 아버지가 왔다.

이 때 분사 앞에는 주격이 온다.
7.4.1.4.3. 용법에 따른 조사 결합의 차이

분사 앞의 명사가 분사의 행위를 하느냐 아님 분사 뒤의 동사의 행위를 하느냐에 따라 주격조사 또는 소유격 조사가 온다. 전자는 소유격, 후자는 주격 조사가 오게 된다.

명사, 형용사용법에서는 소유격 조사가 오게 된다.
명사적 용법: Mənim Tanıdığım. (내가 아는/알던 사람.)
내가 알고 있는 사람이다. 동사의 행위를 내가 하기 때문에 '나'는 소유격이 된다.

형용사적 용법: Qadının yediyi almaı getirin. (여자가 먹고 있는 사과를 가져가세요.)
여자가 동사의 행위를 소유하고 있기 때문에 주어로 보일지라도 소유격이 된다.

명사, 형용사용법은 행위를 소유하고 있음을 표현하는 것이다. 행위를 소유하고 있기 때문에 소유격을 사용하는 것이다. 동사 뒤에 dik4분사를 붙이게 되면 명사 또는 형용사가 된다. 그 명사 또는 형용사를 소유하고 있다는 것.

부사적 용법에서는 주격이 온다.
Su gəlmədiyidən çimə bilmədim (물이 나오지 않았기 때문에 씻지 못했다)

위의 문장은 두 문장이 연결된 문장이다. Su gəlmədi.와 Mən çimə bilmədim. 두 문장의 결합이다. 전자의 주어는 'Su'[58]이며 후자의 주어는 'Mən'[59]이다. 이 두 문장이 결합되더라도 'gəlməmək'[60]의 주어가 'Su'이기 때문에 주어로 남게 된다.

görə, üçün을 취할 때는 대부분 주어를 취하게 된다. 따로 주어를 가진 두 개의 문장이 결합하기 때문에 주어가 남게 된다. 그러나 문장의 의미에 따라 görə를 취하는 문장에서 소유격을 취하게 된다.
a) Ounu dediyiə görə, mən 1 aydan sonra öləcəm. (그가 말한 것에 의하면, 나는 1달 뒤 죽을 것이다.)
b) O (mənə) dediyiə görə mən 1 aydan sonra öləcəm. (그가 나에게 말했기 때문에 나는 1달 뒤 죽을 것이다.)

a 의 문장의 경우 부사구와 절의 결합이라 볼 수 있다. '~görə,'가 부사구가 되고 그 출처를 나타내기 위해 행위의 소유를 나타냈다. 이 문장의 부사구의 소유는 O 이다.
그러나 b의 문장의 경우 절과 절의 결합니다. '그가 나에게 말했다. 그래서 나는 1달 뒤에 죽는다'의 결합이다. 그러기에 주격조사가 올 수 있는 것이다.

동사를 갖는 -dik4 분사의 경우 주어를 취하기도 한다. 형용사 용법과 결합할 때 취한다.
Mən sənin gəldiyini eşitdim (나는 너가 온 것을 들었다.)
Sənin gəldiyini (mən) eşitdim (너가 온 것을 (나는) 들었다.)[61]

감각 동사[62]의 경우에 이런 형태를 많이 사용한다. '~의 상태'를 주어가 받아드리는 것이기 때문에 주어가 오는 것이다.

7.4.2. -(y)ən2


형용사적 용법과 명사적 용법으로 나뉜다.
7.4.2.1. 형용사적 용법

1. 행위를 하는 사람 또는 어떤 상태의 물건을 가리킬 때
Alma yeyən qadın mənim həyat yoldaşımdır. (사과를 먹고 있는 여자는 내 아내이다.)
Stulda oturan adama gedərsiz. (책상에 있는 사람에게 가세요.)

2. 과거 또는 미래에 어떤 행위를 하고 있는 사람, 어떤 상태의 물건을 가리킬 때
Dünən parkda oturan bir adamı gördüm. (어제 공원에 앉아있던 어떤 사람을 보았다.)
Gələn ay Koreyadan gələn qadınnan görüşəcəm. (다음 달 한국에서 올 여자와 만날 것이다.)
7.4.2.2. 명사적 용법

행위를 하는 사람 또는 어떤 상태의 물건을 가리킬 때, 뒤에 특정 명사가 오지 않더라도 '-하는 것','-하는 사람' 등으로 표현된다.
Stulda oturan adama gedərsiz. (책상에 있는 사람에게 가세요.)
Stulda oturana gedərsiz. (책상에 있는 사람에게 가세요.)

7.4.3. -(y)ən2와 -dik4의 차이

~하고 있는, ~하는 의미를 표현할 때 사용되어진다. 그러나 -(y)ən2와 -dik4의 차이가 있다. 아래 예문을 보라.
-(y)ən2
alma yeyən oğlan
사과를 먹고 있는 소년
-dik4
oğlan yediyi alma
소년이 먹고 있는 사과

둘의 차이를 보면 행위자의 위치가 다르다. 행위자를 강조할 때 -(y)ən2를 사용하고, 대상자를 강조할 때 -dik4를 사용한다.

8. 후치사

후치사는 격조사와 접속하여 특정 의미를 나타낸다.
종류 아제리어
한국어 아제리어
동일 birgəlik ilə ~같이
직유 bənzətmə kimi, tək, qədər ~처럼
향방 istiqamət sarı, doğru, qarşı, tərəf ~쪽으로
거리 məsafə qədər, kim, -dək, -can ~까지
시간 zaman əvvəl, sonra, qabaq, bəri ~이전, 이후 등
분별 fərqləndirmə qeyri, savayı, başqa, ayrı, özgə 다른 등
인과 səbəb-məqsəd üçün, görə, ötrü 위해서
연관 aidlik aid, dair, haqqında, barəsində 관해서
기반 istinad əsasən 따르면

후치사마다 결합되는 조사가 다르다
조사 후치사
주격 üçün, kimi, tək, qədər, ilə
소유격 qədər, kimi, tək, üçün, ilə(la)
여격 -dək, -can, -cən, tərəf, doğru, qarşı, sarı, görə, əsasən, qədər, dair, aid, kimi
탈격 sonra, əvvəl, qabaq, bəri, başqa, qeyri, savayı, ayrı, özgə, ötrü, əlavə

몇몇 후치사는 후치사 이외 다른 품사를 갖기도 한다.
품사 후치사
명사 tərəf(방향, 옆), qarşı(반대편, 대면)
형용사, 부사 tək(홀수, 유일한, 고독한 등), doğru(정확한, 옳은 등), yaxın(가까운), sarı(노란)
부사 sonra(후에), qabaq(전에), əvvəl(전에)

8.1. 동일

동일 후치사에는 ilə 하나만 존재한다.

8.1.1. İlə

İlə는 '-함께'라는 의미를 가진 후치사다.
Mən atam ilə evə qayıtdım (나는 아버지와 함께 집에 돌아갔다)
Qələmlə imza yazdım ((나는) 펜으로 서명했다)

소유격을 취하나 보통은 격조사를 취하지 않는다. 소유격을 취하는 명사는 아래와 같다.

1. 인칭 대명사 mən, sən, o, biz, siz
mənim ilə (나와 함께)
sənin ilə (너와 함께)
onun ilə (그와 함께)
bizim ilə (우리와 함께)
sizin ilə (너희/당신과 함께) ||

2. 지시 대명사 bu, o
bunun ilə (이것과 함께)
onun ilə (그것과 함께[63])

3. 의문 대명사 kim
kimin ilə (누구와 함께)

onlar와 bunlar와 함께 명사들은 주격의 형태를 갖는다.
onlar ilə (그들과 함께)
Kamal ilə (캬말과 함께)

앞에 나오는 명사가 자음으로 끝날 때 ilə는 lə2로 변한다. 그러나 모음으로 끝날 때는 변하지 않는다.
Səninlə danışma istəyirəm ((나는) 너와 대화하고 싶다)
Taksi ilə evə qayıtdım ((나는) 택시를 (타고) 집에 돌아갔다)

구어체에서 ilə가 -(y)nən2로 변한다.
Onunan gələcəksən? (그와 함께 갈거야?)
Taksiynən evə qayıdacam (택시를 타고 집에 갈거야)

8.2. 직유

8.3. 향방

8.4. 거리

8.5. 시간

시간 후치사에는 əvvəl, sonra, qabaq, bəri 네개가 존재한다. 그러나 시간 후치사는 사전의 이전, 이후의 시간 뿐 아니라 위치를 나타내기도 한다.

8.5.1. Əvvəl, Qabaq


Əvvəl, Qabaq는 '-이전', '-앞'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Mirzə Adıgözəl bəyə kapitan rütbəsi 1830-cu ildən əvvəl(Qabaq) verilmişdir.
1830년 이전에 Mirzə Adıgözəl 씨에게 대위 계급이 주어졌다

Döyüşdən əvvəl(Qabaq) keçirilən hərbi şurada Məhəmməd Ustaclı və Nurəli Xəlifə gecə hücuma keçib türklərin toplarını
zərərsizləşdirməyi təklif etdilər
전쟁에 앞서 열린 군사회의에서 Məhəmməd Ustaclı와 Nurəli Xəlifə는 야습을 감행해 터키인들의 대포를 무력화할 것을 제안했다

O məndən əvvəl gəldi
그가 내 앞에 왔다

이 후치사는 탈격(-dən2)를 취한다.
bir ay bundan Əvvəl
한 달 전
Axşam yeməyindən sonra Sayrus Smit ilə yoldaşları, yatmaqdan qabaq təmiz hava almaq üçün sahilə çıxdılar.
저녁 식사 후 Sayrus Smit와 동료들은 잠들기 전 바람을 쐬기 위해 해안으로 나갔다.

8.6. 분별

8.7. 인과

인과 후치사에는 üçün, görə, ötrü가 있다. '-때문에','-위해서' 등의 의미가 있다.

8.7.1. üçün

üçün은 '-위해'라는 의미를 가진 후치사다.
Bunu bıçağa çevirmək üçün yaxşıca itiləmək lazımdı.
그것을 칼로 만들기 위해서는 잘 갈아야 했다.

소유격을 취하나 보통은 격조사를 취하지 않는다. 소유격을 취하는 명사는 아래와 같다. [64]

1. 인칭 대명사 mən, sən, o, biz, siz
mənim üçün (나를 위해)
sənin üçün (너를 위해)
onun üçün (그를 위해)
bizim üçün (우리를 위해)
sizin üçün (너희/당신을 위해) ||

2. 지시 대명사 bu, o
bunun üçün (이것을 위해)
onun üçün (그것을 위해[65])

3. 의문 대명사 kim
kimin üçün (누구를 위해)

onlar와 bunlar와 함께 명사들은 주격의 형태를 갖는다.
onlar üçün (그들을 위해)
Kamal üçün (캬말을 위해)

동사와 결합할 경우 '-하기 위해서','-을 목적으로'의 의미가 된다.
Yaş kərpicləri qurutmaq üçün cərgə ilə düzdülər.
그들은 덜 마른 벽돌을 건조시키기 위해 줄을 섰다.
Tıxac problemini kökündən həll etmək üçün
정체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

8.8. 연관

8.9. 기반



[1] 이 이름은 본래 아랍 문자의 처음 두 글자의 명칭에서 따온 이름이다. [2] ㅐ와 ㅔ차이가 거의 사라진 한국인에게는 이 발음이 위의 'E'발음과 거의 차이가 없는것처럼 들릴 수 있지만 두 발음을 각각 원어민에게 발음하게 해보면 분명한 차이가 존재하는 것을 볼 수 있다. [3] gavalı 같은 경우 ‘가발르’가 아니라 ‘ㅈ갸발르’로 발음된다. ‘ㅈ’과 ‘ㄱ’의 그 사이 발음이다. [4] 아제리어 발음 규칙에도 이 알파벳은 두가지 음가를 가지고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5] 소음(嘯音) [6] 소리 [7] 소음(嘯音) [8] 소음(嘯音) [9] 모음과 모음이 충돌할 경우 그 사이에 'y'를 넣는다. 한국어에서 초성을 비워두고 모음만 쓰지않는 것처럼 아제리어도 모음과 모음 사이를 'y'로 채운다. [10] 러시아어에서 차용한 단어의 'o'는 'ㅏ'발음을 사용한다. 예:koreya(카레야;한국) [11] '이름하는' [12] '소유하는' [13] '~향하는' [14] '존재하는' [15] '나가는' [16] '영향을 주는' [17] bu hal iki şey arasında sahiblik, yiyəlik məzmunnunu bildirir. [18] 아제리인들은 모음조화가 입에 철저하게 베어있다. 한국어를 처음 배우는 아제리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것 중에 하나가 모음조화가 없는 한국어 단어다. 모음조화가 없는 한국어 단어들을 모음조화화하여 읽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예를 들면 야채를 야챠라고 읽는 것. 그러나 아국어와 한국어의 어순이 비슷하고 같은 교착어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쉽게 배우기도 한다. [19] [20] 기본적으로 러시아어 달 이름을 음차한 것인데, 아제르바이잔계 이란인들이 일상생활에서 쓰는 페르시아력의 달 이름을 부르는 아제르바이잔어 이름은 따로 있다. 페르시아력 달 이름은 해당 문서를 참고할 것. [A] 모음 조화에 따라 'k'가 붙기도 하고 'q'가 붙기도 한다. 원술전모음(ü, ö)은 ük, 비원술전모음(i, e, ə)은 ik, 원술후모음(o, u)은 uq, 비원술후모음(a, ı)은 ıq [22] 나이를 뜻하는 yaş 는 yaşmaq(살다)에서 나왔다. [23] di형 과거형 [A] 모음 조화에 따라 'k'가 붙기도 하고 'q'가 붙기도 한다. 원술전모음(ü, ö)은 ük, 비원술전모음(i, e, ə)은 ik, 원술후모음(o, u)은 uq, 비원술후모음(a, ı)은 ıq [25] ü, u, ı, i 변화 [26] a, ə 변화 [27] 현재완료형이라고 한다. 현재완료의 성격이 강하나 아제르바이잔 국어 교과서에서는 과거로 보고 있다. [A] 모음 조화에 따라 'k'가 붙기도 하고 'q'가 붙기도 한다. 원술전모음(ü, ö)은 ük, 비원술전모음(i, e, ə)은 ik, 원술후모음(o, u)은 uq, 비원술후모음(a, ı)은 ıq [29] -miş와 연결되면서 'ş'가 생략되기도 한다. [30] -(y)ib 형의 1인칭 접미사는 존재하지 않는다. [31] olmusan [32] olmusuz [33] olmusunuz [34] ü, u, ı, i 변화 [35] a, ə 변화 [36] 바쿠 해변에 있는 공원. 겨울에 바람이 많이 분다 [A] 모음 조화에 따라 'k'가 붙기도 하고 'q'가 붙기도 한다. 원술전모음(ü, ö)은 ük, 비원술전모음(i, e, ə)은 ik, 원술후모음(o, u)은 uq, 비원술후모음(a, ı)은 ıq [38] ü, u, ı, i 변화 [39] a, ə 변화 [A] 모음 조화에 따라 'k'가 붙기도 하고 'q'가 붙기도 한다. 원술전모음(ü, ö)은 ük, 비원술전모음(i, e, ə)은 ik, 원술후모음(o, u)은 uq, 비원술후모음(a, ı)은 ıq [A] 모음 조화에 따라 'k'가 붙기도 하고 'q'가 붙기도 한다. 원술전모음(ü, ö)은 ük, 비원술전모음(i, e, ə)은 ik, 원술후모음(o, u)은 uq, 비원술후모음(a, ı)은 ıq [A] 모음 조화에 따라 'k'가 붙기도 하고 'q'가 붙기도 한다. 원술전모음(ü, ö)은 ük, 비원술전모음(i, e, ə)은 ik, 원술후모음(o, u)은 uq, 비원술후모음(a, ı)은 ıq [A] 모음 조화에 따라 'k'가 붙기도 하고 'q'가 붙기도 한다. 원술전모음(ü, ö)은 ük, 비원술전모음(i, e, ə)은 ik, 원술후모음(o, u)은 uq, 비원술후모음(a, ı)은 ıq [A] 모음 조화에 따라 'k'가 붙기도 하고 'q'가 붙기도 한다. 원술전모음(ü, ö)과 비원술전모음(i, e, ə)은 k, 원술후모음(o, u)과 비원술후모음(a, ı)은 q [A] 모음 조화에 따라 'k'가 붙기도 하고 'q'가 붙기도 한다. 원술전모음(ü, ö)과 비원술전모음(i, e, ə)은 k, 원술후모음(o, u)과 비원술후모음(a, ı)은 q [A] 모음 조화에 따라 'k'가 붙기도 하고 'q'가 붙기도 한다. 원술전모음(ü, ö)과 비원술전모음(i, e, ə)은 k, 원술후모음(o, u)과 비원술후모음(a, ı)은 q [A] 모음 조화에 따라 'k'가 붙기도 하고 'q'가 붙기도 한다. 원술전모음(ü, ö)과 비원술전모음(i, e, ə)은 k, 원술후모음(o, u)과 비원술후모음(a, ı)은 q [48] 현재진행 [49] 현재완료시제 [50] -məli2 [51] -(y)ər2 [52] -(y)əcək2 [53] -məli2 [54] 어간 + in4/sin4 [55] -(y)ərdi2 [56] -(y)əcəkdi2 [57] cin atına minmək 직해하면 '귀신이 말을 타다'이다. 그 정도로 화가 났다는 것 [58] [59] '나' 1인칭 단수 [60] '오다'의 부정형; 오지 않다, 나오지 않다. [61] 주어의 생략 [62] görmək(보다), eşitmək(듣다), hiss etmək(느끼다) [63] 3인칭 단수 인칭 대명사와 동일 [64] ilə와 동일하다 [65] 3인칭 단수 인칭 대명사와 동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