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08 22:28:02

아빠 힘내세요

아빠 힘내세요
<colbgcolor=#f5f5f5,#1f2023><colcolor=#373a3c,#dddddd> 노래 <colbgcolor=#ffffff,#2d2f34>김원경, 한은정, 이선주, 박계라, 김영지, 박유나( 부산남성초등학교 6학년/교내 수화로 노래하는 합창단)
발표일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1997년 5월 5일
러닝타임 ??:??
장르 동요
작사 권연순[1]
작곡 한수성(당시 부산남성초등학교 교사)[2]
노래방 금영엔터테인먼트 <colbgcolor=#ffffff,#2d2f34>68587
TJ미디어 14199

1. 개요2. 곡 정보
2.1. 역주행 히트의 배경
3. 영상4. 가사5. 매체

[clearfix]

1. 개요

1997년 제15회 MBC 창작동요제 입선곡.[3] 사회 안팎에서 힘들고 지친 아빠들을 응원하는 대표적 동요 MBC 창작동요제를 통해 발표된 곡이지만 정작 동요제에서는 상을 받지 못했음에도 유명해졌고 심지어 초등학교 교과서에 실리게 된 노래[4] 중 하나다.

부산남성초등학교에 재직하던 한수성 교사가 작곡하고 한수성의 아내인 권연순이 노랫말을 지었다. 창작동요제 출품 당시에는 이 학교에 재학하던 어린이 6명이 불렀는데 수화와 함께 이 노래를 불렀다.

후술하겠지만 노래가 유명해진 계기를 알고 나면 사회적으로 상당히 슬픈 사연이 있고 노래가 유명세를 탄 후에도 여러 수난을 겪은 노래이기도 하다.

2. 곡 정보

노래는 이후 상당한 수난에 시달리게 된다. 1996년에는 이 노래를 지었다고 주장하는 작곡가들이 한수성-권연순 부부를 상대로 2000년대 초반 손해배상 소송을 걸었다. 대법원까지 가는 소송 끝에 표절이 아니라는 최종 판결이 나왔다. 표절이 아닌 주된 근거는, 원고들의 주장처럼 원고들이 1996년에 해당 가사를 공표했는지가 분명하지 않을 뿐더러, '아빠 힘내세요 우리가 있잖아요' 라는 말은 1984년부터 일간지 등에서 사용된 말이므로 표절이 될 수 없다는 것이다. 부산지방법원 2014. 3. 28. 선고 2012가단206664, 223713 판결문 전문, 판결문 문서뷰어, 한국저작권위원회 홈페이지, 부산지방법원 2015. 1. 8. 선고 2014나42155, 2014나42315 판결, 대법원 2015. 12. 31. 선고 2015다205222, 2015다205239 판결[5]

2014년에는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아빠 힘내세요>의 가사를 보면 대외적 경제활동은 아버지만 하는 것이라고 연상하게끔 한다"면서 유해가요로 지정할 필요가 있다는 연구 결과를 내놔서 논란[6]이 된 적이 있다. 기사. 세간의 반응은 당연히 황당하다는 의견이 주류였고 작곡가인 한수성은 역시 이 소식을 듣고 어머니에 대한 노래는 기존에도 많이 있기 때문에 아버지를 위한 노래를 하나 만들었을 뿐인데 대체 어떻게 읽어야 그런 결론이 나오는지 모르겠다며 애들 노래는 그냥 그대로 놔두면 좋겠다며 황당하다는 반응을 보였고 문화체육관광부는 이에 대해 "양성 평등 교육에 참고하라고 진행된 연구 결과일 뿐 유해 가요로 지정한 건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그럼에도 아버지들을 응원하는 대표적인 동요로 사랑을 받으며 매년 어버이날이 되면 유치원이나 초등학교에서 어김없이 불려지는 노래[7] 중 하나로 꼽힌다. 현재 그들은 20대 중후반~40세이다.

이 노래를 지은 한수성은 1980년대부터 동요를 작곡했던 음악 교사다. 이 노래 전에는 아내인 권연순이 작사를 하고 한수성이 작곡을 했으며 아들 한지웅이 노래한 곡 연날리기가 1989년 MBC 창작동요제에서 대상을 탔다. 이후에도 줄곧 동요 작곡에 매진한 한 씨는 2017년에 따로 앨범을 낼 정도로 음악에 대한 열의가 깊다. <아빠 힘내세요> 노랫말에도 자신의 경험담이 담겨 있으며 평소 부산시내에서 버스킹 활동을 자주 한다고 한다.

한수성은 이 노래를 지을 당시 집까지 처분하고 녹음실을 장만했으나, 1년만에 건물주가 부도나면서 녹음실도 자연스럽게 처분되고 반지하 단칸방으로 삶의 터전을 옮겼다고 한다. 그렇게 빚을 갚으려고 쉼 없이 일하면서 저녁에 귀가할 때, 자신과 비슷한 처지에 있던 가장들이 생각나서 이 노래를 만들었다고 한다. 이 사연은 KBS의 황금연못 2022년 2월 12일 방송분에서 직접 출연해 밝혔다.

2.1. 역주행 히트의 배경

발매 후 대중에 대한 파급효과가 즉각적인 대중가요와 달리 동요는 노래의 수요층이 어린이들로 한정돼 있고 과거의 경우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거나 음악 교과서 또는 광고 음악 등을 통해 한정적으로 전파되기 때문에 노래가 유명세를 타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렸다. 실제로 이 노래도 1997년 어린이날에 처음 공개됐고 출품된 동요제에서 상도 받지 못한 노래였기 때문에 바로 유명해지지는 못했다.[8]

정작 이 노래가 유명해진 것은 1998년부터였다. 1997년 11월 찾아온 외환위기로 인해 대기업과 중소기업 할 것 없이 여러 기업이 부도를 맞으며 쓰러졌고 설령 살아남은 기업이라고 해도 대규모 구조조정이 이뤄지면서 실직자를 양산하게 됐다. 이 당시만 해도 가정 내 경제활동의 절대적인 주축은 30~50대 남성이었다. 이 시기에 활발한 경제활동을 하던 이들은 대부분 베이비 붐 세대 n86세대였는데 특히 베이비 붐 세대 중 여러 사람은 외환위기 당시 대규모 실직의 피해를 당하게 됐다.

실직을 당했거나 실직 위기에 처한 남성들 중 다수는 당시 유치원생이나 초등학생 자녀를 두고 있었고[9] 노래 가사처럼 저녁 무렵 집에 들어서면 우울감에 사로잡혀 있는 경우가 많았다. 회사에서 불안한 앞날을 걱정하는 사람도 있었지만 회사를 떠나고 적적함을 달래기 위해 혼자 산에 오르던 아빠들도 적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 사연을 정확히 모르는 가정의 자녀들은 "아빠가 회사에서 힘들었나보다"하는 마음에 힘든 아빠를 위해 재롱을 부리기도 했는데 이 노랫말이 딱 그 상황이다.

비록 MBC 창작동요제에서는 상을 받지 못했지만 외환위기로 인해 실의에 빠진 대한민국 아버지들에게 희망과 위로를 준 노래라는 점[10][11]에서 상당한 센세이션을 일으켰고[12] 여러 유치원과 초등학교에서 카세트 테이프를 통해 유명해졌다. 가장 결정적으로 유명해진 계기는 2004년에 방영된 BC카드 광고 덕분이다. 당시 남자 아이와 여자 아이가 이 노래의 하이라이트인 "아빠 힘내세요~ 우리가 있잖아요~" 대목을 부르는데 이 짧은 광고가 시청자들에게 큰 울림을 줬고[13] 엄청난 인기를 얻게 된다.

동해고속도로 오천5터널에서는 노래하는 고속도로의 노래로 이 노래가 나온다.

3. 영상

1997년 제 15회 MBC 창작동요제[14]

4. 가사

가사
딩동댕 초인종 소리에 얼른 문을 열었더니
그토록 기다리던 아빠가 문 앞에 서 계셨죠
너무나 반가워 웃으며 아빠하고 불렀는데
어쩐지 오늘 아빠의 얼굴이 우울해 보이네요
무슨 일이 생겼나요 무슨 걱정 있나요
마음대로 안 되는 일, 오늘 있었나요?
아빠 힘내세요 우리가 있잖아요
아빠 힘내세요 우리가 있어요
힘내세요 아빠

5. 매체



[1] 작곡가 한수성의 부인. 그 유명한 연날리기의 작사가다. [2] 작사가 권연순의 남편. 연날리기의 작곡가다. [3] 대상은 반딧불, 금상은 들판으로 달려가자, 동상은 돌하르방. [4] 음악 교과서라고 생각하겠지만 이채롭게도 도덕 교과서에 이 노래가 실렸다. [5] 기사 [6] 문서명과는 달리 여성가족부에서 이 일을 한 것이 아니다. 링크에서 알 수 있듯이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이 일을 했다. [7] "낳으실 제 괴로움 다 잊으시고~"로 시작하는 <어머니의 마음> 노래도 있지만 이 노래는 보통 학교보다 군대에서 자주 불린다.(중1 음악교과서에 실려있다) 재미있는 것은 초등학생 시절이었던 1980년대 중반~1990년대생들이 아버지에게 <아빠 힘내세요> 노래를 불러주고 그들이 군대에 입대하기 전에 어머니한테 <어머니의 마음> 노래를 울면서 불렀고 결혼 후 아이를 낳았더니 그 아이가 우연히 배운 <아빠 힘내세요> 노래를 불러주는 모습에 만감이 교차한다는 이들이 많다. [8] 이 해 MBC 창작동요제 대상 수상곡은 ' 반딧불'이라는 노래지만 정작 이 노래를 알고 있는 사람은 매우 드물다. [9] 이 당시부터 아이를 적게 낳는 풍조가 본격화됐지만 그래도 한 집에 적어도 1~2명의 아이는 꼭 있던 시절이었다. 이 당시에 태어나서 외환위기 시절 유년기를 보낸 아이들이 바로 에코세대(80년대에서 90년대 초반생들)다. 에코세대는 92년생까지지만 93년생들도 유치원에 막 다니기 시작했다. [10] 실제로 자녀가 이 노래를 부르자 감동의 눈물을 흘렸다는 아버지들의 이야기가 매우 많다. 가족을 위해 사회 곳곳에서 자신을 희생했던 아버지들의 감정을 생각한다면 눈물이 안 나올 수 없는 노래다. [11] 1박 2일에선 김C가 아침에 조업나간다 하니 딸 우주가 이 노래를 불러줬다는 일화가 있다. [12] 비슷한 이유로 유명세를 탄 소설이 김정현 작가가 1997년에 펴낸 소설 < 아버지>. [13] 신용카드를 쓰는 주요 계층이 경제활동에 적극적인 아버지들이라는 점을 정확히 공략한 것으로 볼 수 있다. [14] 영상 중간에 참가번호 3번 명찰을 달고 객석에서 박자를 타는 사람이 이 노래의 작곡자이자 당시 부산남성초등학교 교사였던 한수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