ㅎㅎ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초성체 이모티콘에 대한 내용은 ㅎ 문서
, 비디오 게임 용어인 GG에 대한 내용은
GG
문서
참고하십시오.한글 기본 자모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45%;" {{{#!folding [ 현대 한글 ] {{{#!wiki style="margin:-6px -1px -10px" |
<colbgcolor=#eee,#000> 기본 자모 | ||||||||
자음(14개) | ㄱ · ㄴ · ㄷ · ㄹ · ㅁ · ㅂ · ㅅ · ㅇ · ㅈ · ㅊ · ㅋ · ㅌ · ㅍ · ㅎ | ||||||||
모음(10개) | ㅏ · ㅑ · ㅓ · ㅕ · ㅗ · ㅛ · ㅜ · ㅠ · ㅡ · ㅣ | ||||||||
기타 자모 | |||||||||
자음 | 겹자음(5개) | ㄲ · ㄸ · ㅃ · ㅆ · ㅉ | |||||||
겹받침(11개) | ㄳ · ㄵ · ㄶ · ㄺ · ㄻ · ㄼ · ㄽ · ㄾ · ㄿ · ㅀ · ㅄ | ||||||||
겹모음(11개) | ㅐ · ㅒ · ㅔ · ㅖ · ㅘ · ㅙ · ㅚ · ㅝ · ㅞ · ㅟ · ㅢ |
- [ 옛한글 ]
- ||<tablewidth=100%><-3><width=1000> · 개별 문서가 없는 옛한글은 옛한글/자모 문서 참고
· 일부 자모는 옛한글 글꼴이 필요함 ||기본 자모 ㅿ · ㆁ · ㆆ · ㆍ 중국어 표기용 훈민정음의 치두음과 정치음(ᄼ · ᄾ · ᅎ · ᅐ · ᅔ · ᅕ) 기타 한글 초성 채움 문자 겹자모 초
성각자
병서ㅥ · ᄴ · 훈민정음의 치두음과 정치음(ᄽ · ᄿ · ᅏ · ᅑ) · ㆀ · ㆅ · ꥼ 합용
병서ㅂ계 합용병서(ㅲ · ㅳ · ㅄ · ㅶ · ㅷ)
ㅅ계 합용병서(ㅺ · ㅼ · ㅽ · ㅾ)
ㅄ계 합용병서(ㅴ · ㅵ · ᄤ · ᄥ · ᄦ · ꥲ)연서 ᄛ · 훈민정음의 순경음(ㆄ · ㅸ · ㅹ · ㅱ) 중성 ힱ · ᆃ · ㆉ · ᆍ · ㆌ · ᆜ(ᆖ) · ᆝ(ᆢ) · ㆎ 종성 ᇑ · ㅭ · ᇚ
<colbgcolor=#ddd,#222> ㆅ | |
이름 | 쌍히읗 |
분류 | 자음 |
음성 | [ç], [ʝ], [ɦ], [h͈][1] |
1. 개요
ㆅ은 이제는 쓰이지 않는 옛한글로 '쌍히읗'이라고 부른다. ㆆ, ㆀ과 한가지로 세조 뒤로는 쓰이지 않는다.2. 발음
추정되는 음가는 다음 세 가지가 있다.3. 사용례
'불을 켜다'의 '켜다'가 중세 한국어에서는 'ᅘᅧ다'로 발음된다. 이 쌍히읗은 근대 시기에 ㅎ으로 변하고 결국 ㅋ으로 변화했지만 '불현듯'에 이 ㅎ의 영향이 남아 있다. 동남방언에서는 ‘켜다’를 ‘쓰다/써다’라고 하는데[3], 후술할 쌍히읗이 ㅆ으로 변화한 썰물과 비슷한 경우로 보인다.비슷하게 '치키다'의 '키'가 '켜다'처럼 'ᅘᅧ'였는데 '켜다'와 달리 '키'로 바뀐 형태가 표준이 됐다. '켜다'도 '치키다'처럼 비표준인 '키다'로 쓰는 경우가 많다.
써다도 과거 'ᅘᅧ다'로 써는데 '밀다'의 반대말로 밀물, 썰물도 여기서 왔다. 현대에는 썰물이 나간다는 동사의 의미만 남았다.
동국정운에서 갑모(匣母)/ɣ/를 나타내기 위해 썼다. 예를 들면 洪이 훈민정음 해례본에서는 'ᅘᅩᇰ'으로 나오는데 반절이 광운에서 戸公切(ᅘㅗ+ㄱ ᅟᅩᆼ), 집운 및 정운에서 胡公切(ᅘㅗ+ㄱ ᅟᅩᆼ)이기 때문이다. 기타 동국정운에서 초성이 ㆅ으로 나타나는 한자들은 대부분 ㄱ이나 ㅎ으로 흡수되었다.
월인천강지곡나 월인석보에서 나오는 '내ᅘᅧ다'가 '끄집어내다'의 옛말이라고 한다.
[1]
모두 추정되는 음가이머 아직 확실하게는 밝혀지지 않았다.
[2]
현대 한국어에선 이 소리를 없다고 간주한다. 한편 이 발음은
중세 한국어에서 '
ㅇ'의 유성음으로 추측하기도 했다. 자세한 건
문서 참조.
[3]
현재로서는 동남방언이 심한 어르신들에게서나 간간이 들을 수 있다. 해당 방언권에서는 /ㅆ/와 /ㅅ/도 변별되지 않는 경우가 있으므로, '불 서라(←스- + -어라).'는 '불 켜라.'라는 의미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