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25 16:24:53

신혜숙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FFF)"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table bordercolor=#ffffff,#1f2023>
파일:대한빙상경기연맹 심볼.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50회(1996년)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1955 1955 화천 홍용명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1956 1956 연천 홍용명
1958 1958 철원 조정근 1959 1959 연천 조정근
15회 1960 서울 김정자 16회 1961 서울 김정자
18회 1963 서울 정남옥 19회 1964 서울 정남옥
1965 1965 서울 김혜경 22회 1967 서울 이현주
23회 1968 서울 이현주 24회 1969 서울 이현주
26회 1971 서울 장명수 27회 1972 서울 장명수
28회 1974 서울 장명수 29회 1975 서울 윤효진
30회 1976 서울 윤효진 31회 1977 서울 이현주
32회 1978 서울 주영순 33회 1979 서울 신혜숙
34회 1980 서울 신혜숙 35회 1981 서울 임혜경
36회 1982 서울 임혜경 37회 1983 서울 임혜경
38회 1983 서울 임혜경 40회 1986 서울 변성진
41회 1987 서울 변성진 42회 1988 서울 변성진
43회 1989 서울 변성진 44회 1990 서울 이은희
46회 1992 서울 이은희 48회 1994 서울 박분선
49회 1995 서울 박분선, 최형경(공동 우승) 50회 1996 서울 여자 싱글 부문 미개최 }}}}}}}}}
51회(1997년)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51회 1997 서울 정민주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52회 1998 서울 신예지
53회 1999 서울 신예지 54회 2000 서울 박빛나
55회 2001 서울 박빛나 56회 2002 서울 신예지
57회 2003 서울 김연아 58회 2004 서울 김연아
59회 2005 서울 김연아 60회 2006 서울 김연아
61회 2007 서울 김채화 62회 2008 고양 김나영
63회 2009 고양 김나영 64회 2010 서울 김해진
65회 2011 서울 김해진 66회 2012 서울 김해진
67회 2013 서울 김연아 68회 2014 고양 김연아
69회 2015 서울 박소연 70회 2016 서울 유영
71회 2017 강릉 임은수 72회 2018 서울 유영
73회 2019 서울 유영 74회 2020 의정부 유영
75회 2021 의정부 김예림 76회 2022 의정부 유영
77회 2023 의정부 신지아 78회 2024 의정부 신지아 }}}}}}}}}
피겨 스케이팅 내셔널 역대 챔피언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c3b6e; font-size: 1em;"
}}}}}}}}}
<colbgcolor=#428ce8><colcolor=#ffffff>
파일:신혜숙.jpg
이름 신혜숙(Shin Haesook)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출생 1957년 11월 29일 ([age(1957-11-29)]세)
학력 센슈대학
종목 피겨 스케이팅
1. 개요2. 생애3. 커리어4. 코칭 스킬5. 주요 코칭 선수
5.1. 은퇴/이적 선수
6. 코칭 선수 수상 기록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前 피겨 스케이팅 선수이다.

2. 생애

파일:피겨 신혜숙.jpg
피겨 스케이팅 선수 시절
1969년 동대문 빙상장에서 처음으로 피겨 스케이팅을 접했으나 한국에서는 배울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일본으로 유학을 다녀온 1세대 유학파 선수이다. 이후에 미국으로 훈련 거점을 옮겨 선수생활을 하기도 하였다. 1980 레이크플래시드 동계올림픽에도 참가해 20위를 기록했으며, 은퇴한 이후로는 코칭을 통해 제자들을 양성하고 있다.

3. 커리어

국제대회
대회 78-79 79-80
올림픽 20th
세계선수권 30th 28th
NHK 트로피 15th
국내대회
종합선수권 1st 1st
동계체전 1st 1st

4. 코칭 스킬

국내 피겨 스케이팅 선수 코치계의 1세대로, 대모라고 볼 수 있을 만큼 국내에서 저명한 선수중 이 코치의 코칭을 받지 않은 선수는 없다고 볼 수 있다. 현재 국내 피겨스케이팅 국가대표들을 코칭하고 있는 지현정, 최형경, 박빛나 코치 모두 선수시절 신혜숙 코치에게 코칭을 받았으며 김연아 선수 역시 예외는 아니다. 국내에 피겨 해설위원으로 많이 알려진 방상아 또한 신혜숙의 코칭을 받았다. 현재는 일선에서 물러나 국가대표가 아닌 선수들을 위주로 가르치고 있으며 그녀의 제자들이 코치로써 활약하고 있다.

기술적인 면에선 여타 국내 코치들과 마찬가지로 비점프 요소의 트레이닝 및 구성에 있어서 아쉽다는 평가가 있다. 특히 스핀에 있어서 스핀 룰이 개정됨에 따라 기존 레벨 4-레벨 4 구성이던 신혜숙 코치의 기존 스핀 구성이 레벨 5[1]-레벨 3 구성이 되었음에도 수정이 되지 않았던 사례 등 점수에 손해를 보는 비효율적인 구성에 대한 국내 피겨 팬들의 비판이 있다.

5. 주요 코칭 선수

5.1. 은퇴/이적 선수

6. 코칭 선수 수상 기록

<colcolor=#000000,#fff> 대회
올림픽 <colbgcolor=#ffe970,#c3a100> 0 <colbgcolor=#c0c0c0,#555555> 1 <colbgcolor=#d7995b,#6d441a> 0
세계선수권 1 0 0
사대륙선수권 0 1 1
세계대학경기대회 0 0 1
합계 1 2 2

올림픽
은메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연아 2014 소치 여자 싱글
세계선수권
금메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연아 2013 런던 여자 싱글
사대륙선수권
은메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예림 2023 콜로라도 스프링스 여자 싱글
동메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예림 2022 탈린 여자 싱글
세계대학경기대회
동메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예림 2023 레이크플래시드 여자 싱글


[1] 피겨 규정 상 스핀의 최고 레벨은 레벨 4이다. 레벨 업 요소를 추가로 더 넣으면 약간의 가산점 정도는 얻을 수 있다. [2] 1997년생. 한때 유망주 였으나 부상으로 시니어로 데뷔하지 못하고 은퇴하였다. 은퇴 후 국내 경기 해설을 맡았으며, 2023년 5월 27일에 농구선수와 결혼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