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겉으로는 밝게 늘 웃고 있지만 속으로는 우울감이 심한 상태를 말한다. 주로 감정노동이 심각한 서비스업 노동자들이나, 인기에 대한 압박을 가진 연예인, 고객을 많이 상대하는 영업사원 등에게 자주 발생한다.[1]밝은 웃음 뒤에 우울감이 가리어져 있다는 뜻에서 가면성 우울증이라고도 불린다. 고기능성 우울증도 이와 흡사하나 스마일의 경우는 '웃는 얼굴'과 '표정과 감정의 불일치'를 강조하는 면이 크다.
2. 증상
식욕 감퇴를 겪기도 하고, 매사에 의욕을 잃기도 한다. 감정을 억누르거나 감출 경우 면역체계와 호르몬 분비에 이상이 생겨 감기·생리불순·불면증·두통·근육통·소화불량 등의 증세를 겪을 수 있다.장기적으로 스트레스를 표출하지 못하고 쌓아두면 뇌의 시상하부가 영향을 받아 우울증으로 이어지며, 자살 충동까지 발생할 수 있다.
3. 치료
증후군이 있는 사람들은 상담치료·인지행동 치료·항우울제 복용 등이 도움이 된다. 부정적인 감정을 적절하게 표현하는 법만 익혀도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된다. 친구나 가족, 직장 동료들간의 원활한 대화를 통해 스트레스를 표출하거나, 줄넘기 조깅 등의 활동적인 운동을 하면 우울감이 완화되기도 한다.4. 대중매체에서
4.1. 이 증후군에 해당하는 인물
- 사이코지만 괜찮아 - 문강태
- 싸우자귀신아 - 한혜림
- 두근두근 문예부! - 사요리
- 디지몬 테이머즈 - 황주연
- 바람의 검심 -메이지 검객 낭만기- - 세타 소지로
- 와글와글 친구들 - 행복씨
-
오소마츠 상 - 마츠노 쥬시마츠 -
암살교실 - 살생님: 감정표현도 잘 하고 우울증 같은 것도 없다. 단지 얼굴 형태가 기본적으로 웃고 있는 얼굴로 고정되었을 뿐이다. -
배우 정일우가 연기하는 대다수의 캐릭터들: 마음 속에 깊은 슬픔을 숨기고 있지만 겉으로는 능글맞을 정도로 활발한 캐릭터를 주로 연기해서 '스마일 마스크 증후군 환자' 전문배우라는 드립이 생겼다. - 카게로우 프로젝트 - 카노 슈우야
- 라이프(만화) - 시이바 아유무
- 원피스(만화) - 코알라(원피스) : 천룡인의 노예시절 최대한 덜 맞기 위해 늘 웃고 있던 습관이 굳어 피셔 타이거를 만나기 전까지 폭언이나 폭력에도 방글거리는 표정을 지우지 못했다.
-
조커 - 아서 플렉: 사실 아서의 웃음은 병리적 웃음 유발(혹은 감정 실금)이라는 증상으로 자기 의지에 상관없이 웃음이 터지는 정신질환이다. 하지만 아서는 초반부까지는 어머니의 조언[2]과 존경하는 코미디언의 영향으로, 억지로 웃어보이는 모습을 보이곤 했다. - 쿠베라(웹툰) - 쿠베라 리즈
- 쿠키런: 오븐브레이크 - 생일케이크맛 쿠키
- 단편 영화 The Dolls with Attitude - 에리 : 작품 자체가 스마일 마스크 증후군을 풍자하여 다루고 있다.
- 유희왕 아크파이브 - 사카키 유우야
- 김지우(가수)
- 로블록스 - 기미던
- 틱톡커-홀로그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