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9 20:27:03

수학자/목록/1931년-1940년 출생

1. 개요

수학자중 1931년부터 1940년까지 출생한 인물 목록을 다룬 문서.

2. 목록

이름 출생 년도 주요 업적 주요 수상 내역[1]
세르게이 이바노비치 아디안 1931 경계 번사이드 문제, 노비코프-아디안 정리, 아디안-라빈 정리
엘리아스 메나헴 스타인 1931 스타인-스트롬베르(Strömberg ) 부등식, 스타인 여급수 표현(Complementary series representation), 코틀러-스타인 보조정리, 페퍼먼-스타인 이론, 스타인 극대 원리, 스타인 보간법, 스타인-토마스 제한 정리, 카케야 문제와 유사한(Analogues) 문제에 대한 추측[2]에 대해서 그러한 모든 집합이 n>3일 때 양의 측도를 가져야 함을 증명 1999년 울프상 수학 부문
장 몰레 1931 웨이블릿
라르스 발테르 회르만데르 1931 회르만데르 조건, 파면 집합(wavefront set), 유사 미분 연산자, 레비 문제 해결 1962년 필즈상, 1988년 울프상 수학 부문
아즈리엘 로젠펠드 1931 디지털 위상(Digital topology)
존 윌러드 밀너[3] 1931 7차원 이국적 초구의 존재 증명, 밀너 환, 페리-밀너 정리, 밀너 추측(매듭 이론), 밀너 추측(대수적 K 이론), 밀너-서스턴 반죽 이론, 밀너 정리, 밀너 사상, microbundle, 슈바르츠-밀너 보조정리, 밀너-우드 부등식, 수술 이론, 끌개(attractor)를 정의, 밀너-무어 정리, 밀너 불변량 1962년 필즈상, 1989년 울프상 수학 부문, 2011년 아벨상
로이 리 아들러 1931 위상 엔트로피, 도로 색칠 추측(road coloring conjecture)
히로나카 헤이스케 1931 표수 0인 체 위의 대수적 다양체의 특이점 해소 및 해석 다양체의 특이점 해소, 켈러 다양체에 관한 히로나카의 예시 1970년 필즈상
안드라스 하즈날[4] 1931 하즈날-세메레디 정리, 바움가트너-하즈날 정리
리처드 셸던 팔레[5] 1931 모스토-팔레 정리, 리(Lie)-팔레 정리, 모스-팔레 보조정리, 팔레-스메일 콤팩트성 조건
허버트 사울 윌프 1931 윌프-자일베르거 쌍, 캘킨-윌프 나무, 제커스-윌프(Szekeres-Wilf) 수
미셸 에농 1931 에농 사상(Hénon map)
로저 펜로즈 1931 트위스터 이론, 펜로즈-호킹 특이점 정리, 스핀 네트워크, 펜로즈 타일링, 바일 곡률 가설 이외의 다수[6] 1988년 울프상 물리학 부문 , 2020년 노벨 물리학상
모턴 브라운 1931 일반화 쇤플리스 정리 1966년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미하엘 오제르 라빈 1931 밀러-라빈 소수판별법, 라빈 암호체계, 아디안-라빈 정리, 확률적 알고리즘, 비결정론적 유한 오토마타 1976년 튜링상
브라이언 존 버치 1931 버치의 정리, 모듈러 기호(Modular symbol), 버치-스위너턴다이어 추측, 버치-테이트 추측, 헤그너 점 정의
해리 케스텐[7] 1931 종순군(amenable group)에 대한 케스텐 판정법, 케스텐 비율 극한(Kesten's ratio limit) 정리, 무리 회전(irrational rotation)의 불일치에 대한 에르되시와 Szűsz의 추측 해결, 케스텐-스티검(kesten-stigum) 정리, 유한 확산 집합체(Diffusion-limited Aggregation)의 d 차원에서 팔의 성장률이 [math(n^{2/(d+1)})] 보다 클 수 없음을 증명
고바야시 쇼시치 1932 고바야시 계량, 고바야시-히친 대응
얀 미치엘스키 1932 결정 공리
잔카를로 로타 1932 근접대수, 12정도, 로타-백스터 대수, 선형 범함수를 사용하여 음계산법을 엄밀하게 유도
에드워드 넬슨 1932 확률적 양자화,내부 집합론
피에르 에밀 장 카르티에 1932 카르티에 연산자, 카르티에 인자
즈보니미르 얀코 1932 얀코 군
아라키 후지히로 1932 위그너-아라키-야나세 정리, 아라키-서처 보정, 폰 노이만 대수의 상태의 상대 엔트로피(relative entropy of states of von Neumann algebras)
엘리엇 허셸 리브[8] 1932 리브 추측[9], 리브-옥스퍼드 부등식, 템퍼리-리브 대수(Temperley–Lieb algebra), 아라키-리브-티링(Araki–Lieb–Thirring) 부등식, AKLT 모델 외 다수[10] 2022년 가우스상
루이 드브랑주 드 부루시아 1932 비버바흐 추측 증명(드 브랑주 정리) 1989년 오스트로우스키상
쿠노 로렌츠 1932 게임 의미론
해롤드 위덤 1932 트레이시-위덤 분포
하이먼 배스 1932 스미스 추측 증명, 사영 덮개, 완전 환, 반완전 환, 준반사 가군, 배스-세르 이론, 배스 수 1975년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케네스 아펠 1932 4색정리[11] 1979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데이나 스콧 1932 SP 집합론, 스콧 계교(Scott's trick), 스콧-몬터규 의미론, 비결정론적 유한 오토마타, 무한 논리 1976년 튜링상
존 그리그스 톰프슨 1932 파이트-톰프슨 정리, 톰프슨 산재군, 톰프슨 순서 공식, 톰프슨 유일성 정리, 톰프슨 부분군 1965년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1970년 필즈상, 1992년 울프상 수학 부문, 2008년 아벨상
앨빈 플랜팅가 1932 가능세계론, 양상 존재론적 논증
제럴드 에녹 색스 1933 색스 강제법, 색스 밀도 정리, 색스 성질
천징룬 1933 천의 정리, 천 소수
윌리엄 벨블 모턴 카한 1933 카한 합계 알고리즘, 데이비스-카한-와인버거 확대(dilation) 정리, IEEE 754 1989년 튜링상
다야난드 베르마 1933 베르마 가군
프레더릭 저스틴 암그렌 주니어 1933 암그렌 정규성 정리, 바리폴드, 암그렌-피츠 최소 극대화 이론
스티븐 호엘 섀뉴얼 1933 섀뉴얼 추측, 섀뉴얼 보조정리
타케사키 마사미치 1933 도미타-타케사키 이론
피에르 가브리엘 1933 가브리엘 정리, 화살집(quiver), 가브리엘-로젠버그 재구성 정리, 비가환 기하학, 가브리엘-지스먼 국소화, 가브리엘-포페스쿠 매장 정리
제프리 골드스톤 1933 골드스톤 보손, 골드스톤 정리
볼프강 슈미트 1933 데이븐포트-슈미트 정리, 부분 공간 정리, log r / log s가 유리수인 경우에만 base r의 모든 정규수(Normal number)가 base s에서 정상(normal)임을 증명 1972년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리처드 고든 스완 1933 세르-스완 정리, 스완 표현, 스톨링스-스완 정리 1970년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로빈 밀너 1934 Logic for Computable Functions, π-calculus, 힌들리-밀너 유형 체계(type system), calculus of communicating systems 1991 튜링상
폴 코언[12] 1934 ZFC 공리계 연속체 가설의 거짓이 무모순함을 증명, 강제법 1964년 보셰 기념상, 1966년 필즈상
잭 에드몬드 1934 에드몬드-카프 알고리즘, 에드몬드 행렬, 꽃(Blossom) 알고리즘, Polymatroid, 에드몬드 알고리즘, 매트로이드 교차 정리, 갈라이-에드몬드 분해
마이클 아틴 1934 아틴 스택, 아틴 근사 정리, 아틴 판정법, 아틴-메이저 제타 함수, 아틴-베르디에 쌍대성, 타원 K3 곡면과 유한체 위의 타원 곡선 다발(pencil)에서 테이트-샤파레비치 추측 해결, 아틴-프로세시(Procesi) 정리 2013년 울프상 수학 부문
도널드 사무엘 오른스타인 1934 오른스타인 동형 정리 1974년 보셰 기념상
사이먼 베른하르트 코헨 1934 엑스-코헨 정리, 코헨-스페커 정리, 자유의지 정리 1967년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이고르 블라디미로비치 기르사노프 1934 기르사노프 정리
대니얼 클라이트먼 1934 그린-클라이트먼 정리
로드니 마티노 버스톨[13] 1934 제도[14], NPL[15]
아놀드 쇤하게 1934 오들리즈코-쇤하게 알고리즘, 쇤하게-스트라센 알고리즘, 원분할 방법
아즈리엘 레비 1934 레비 붕괴, 레비 위계, 붕괴 대수(Collapsing algebra)
하가 카즈오 1934 하가 정리[16]
리처드 매닝 카프 1935 에드먼드-카프 알고리즘, 카프의 21가지 NP 완전 문제[17], 호프크로프트-카프 알고리즘, 카프-립톤 정리, 라빈-카프 알고리즘 1979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1985년 튜링상
로널드 브라운 1935 고차원 대수학(higher-dimensional algebra), 비아벨 대수 위상수학(nonabelian algebraic topology), 자이페르트-판 캄펀 정리를 기본 준군(fundamental groupoid)에 대하여 일반화함
장루이 베르디에 1935 아틴-베르디에 쌍대성, 베르디에 쌍대성, 유도 범주, 삼각 분할 범주
페트르 보펜카 1935 보펜카 기수, 보펜카 원리, semiset[18], 보펜카 강제법
블라디미르 이오시포비치 레벤시테인 1935 레벤시테인 거리, 레벤시테인 코딩, 레벤시테인 자동화
존 로버트 스톨링스 주니어 1935 군의 끝에 관한 스톨링스 정리, 6 이상의 차원에서 푸앵카레 추측 증명[19], 스톨링스-지먼 정리, 스톨링스-스완 정리, 스톨링스 올뭉치(fibration) 정리 1970년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다비드 피에르 뤼엘 1935 이상한 끌개, 뤼엘 제타 함수, 시나이-뤼엘-보웬 측도, 하크-뤼엘 산란 이론, 깁스 측도
야코프 그리고리예비치 시나이 1935 시나이 정리, 시나이 당구, 콜모고로프-시나이 엔트로피, 시나이-뤼엘-보웬 측도, 블레어-시나이 재규격화 이론, 피고로프-시나이 이론 1996년~1997년 울프상 수학 부문, 2014년 아벨상
힐렐 퓌르스텐베르크[20] 1935 소수가 무한함을 위상수학으로 증명[21], 세메레디 정리를 에르고딕 이론으로 증명을, 에르고딕 램지 이론, 퓌르스텐베르크 경계,퓌르스텐베르크-사르코지 정리, 콤팩트 쌍곡 리만 곡면에서 호로사이클 흐름(horocycle flow)의 고유 에르고딕성 증명, 동역학계의 서로소(Disjointness) 2006년 울프상 수학 부문, 2020년 아벨상
예브게니 솔로모노비치 골로드 1935 골로드-샤파레비치 정리, 번사이드 문제
로널드 그레이엄 1935 그레이엄-로스차일드 정리, 그레이엄 수, 그레이엄 스캔, 그레이엄-폴락 정리, 코프먼-그레이엄 알고리즘, 에르되시-그레이엄 문제
아마리 슌이치 1936 정보 기하학의 창시자
장 지로 1936 지로의 정리, 지로의 공리, 제르브
로널드 뵤른 젠슨 1936 NFU[22], 젠슨 피복 정리, 젠슨 위계, 수슬린 가설이 일반화 연속체 가설과 독립임을 증명 2015년 하우스도르프 메달
볼커 스트라센 1936 솔로베이-스트라센 소수 판정법, 쇤하게-스트라센 알고리즘
페르 펠 린드스트롬[23] 1936 린드스트롬 정리, 린드스트롬 양화사
알렉산드르 알렉산드로비치 키릴로프 1936 키릴로프 궤도 방법, 키릴로프 모델, 키릴로프 지표 공식
로버트 윌러비 플로이드 1936 비결정적 알고리즘을 정의함, 플로이드-워셜 알고리즘, 플로이드-스타인버그 디더링, 플로이드 주기 찾기 알고리즘 1978년 튜링상
리처드 에드윈 스턴스 1936 계산 복잡도 이론, 시간 복잡도와 공간 복잡도를 정의, 시간 계층 정리 1993년 튜링상
유디 펄 1936 베이지안 네트워크, 신뢰전파(Belief Propagation), causal calculus 2011년 튜링상
로버트 필런 랭글랜즈[24] 1936 랭글랜즈 프로그램, 랭글랜즈 쌍대군, 자케-랭글랜즈 대응, L-패킷 1982년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1995~1996 울프상 수학 부문, 2007년 쇼상 수학부문, 2018년 아벨상
조람 린덴스트라우스[25] 1936 존슨-린덴스트라우스 보조정리
프레데릭 윌리엄 갤빈 1936 디니츠(Dinitz) 추측 증명, 모든 보렐 집합이 램지 속성을 가짐을 증명, 선택 공리가 모든 그래프에 색칠수가 있다는 진술과 동일하다는 것을 보임
로힛 지반랄 파리크 1936 파리크 정리, Bounded arithmetic
드미트리 빅토로비치 아노소프 1936 아노소프 미분동형사상, 아노소프 사상, 아노소프 흐름
올렉산드르 미콜라요비치 샤르코우스키 1936 샤르코우스키 정리
찰스 테런스 클레그 월 1936 L 이론, 브라우어-월 군
베른트 피셔 1936 피셔 군, 괴물 군
이사야 칸토르 1936 칸토르-코이쳐-티츠 구성, 칸토르 더블
나움 주셀레비치 쇼어[26] 1937 타원체 방법(Ellipsoid method), Subgradient method[27]
제임스 버튼 엑스 1937 엑스-그로텐디크 정리, 엑스-코헨 정리, 형식적 멱급수에 관한 샤누엘 추측 증명 1967년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아나톨리 알렉세예비치 카라추바 1937 카라추바 알고리즘, 카라추바 현상[28]
프랜시스 윌리엄 로비어 1937 토포스, 로비어 공간, 쉼표 범주, 로비어-티어니 위상, 로비어 이론(Lawvere theory)
유리 이바노비치 마닌 1937 ADHM 작도, 마닌-드린펠트 정리, 마닌 행렬, 가우스-마닌 접속, 양자 컴퓨터 개념 제안, 디외도네-마닌 분류 정리, 마닌-멈퍼드 추측, CH 유사군
시드니 리처드 콜먼 1937 콜먼-맨듈라 정리, 콜먼 정리, 콜먼-와인버그 모형
찰스 코핀 심스 1937 히그먼-심스 군, 히그먼-심스 그래프, 리옹 군, 오낸 군, 슈라이어-심스 알고리즘, 심스 추측
프란시스 부켄하우트 1937 Buekenhout 기하학, Quadratic set
조나단 라자르 알페린 1937 알페린-브라우어-고렌스타인 정리
데이비드 브라이언트 멈퍼드 1937 기하 불변량 이론, 들리뉴-멈퍼드 스택, 멈퍼드 곡면, 멈퍼드-샤 함수, 안정점, 준안정점, 힐베르트-멈퍼드 판정법, 멈퍼드 콤팩트성 정리, 멈퍼드 소멸 정리, 호록스-멈퍼드 다발, 카스텔누오보-멈퍼드 정규성(regularity), 마닌-멈퍼드 추측 1974년 필즈상, 2006년 쇼상 수학부문, 2008년 울프상 수학부문
블라디미르 이고레비치 아르놀트[29] 1937 KAM 정리, 아르놀트 확산, 구드코프 추측, 힐베르트 13번 문제 해결, 아르놀트 스펙트럼 열, 리우빌-아르놀트 정리, 위상 갈루아 이론, 아르놀트-벨트라미-차일드리스 흐름, 아르놀트의 혀 2001년 울프상 수학 부문, 2008년 쇼상 수학부문
리처드 앨런 헌트 1937 칼레손-헌트 정리[30] 1968년 살렘상
에르네스트 보리소비치 빈베르크 1937 코이쳐-빈베르크 정리, 빈베르크 알고리즘
베리 찰스 메이저 1937 메이저 꼬임 정리, s-보충 경계 정리, 메이저 다양체, 일반화 쇤플리스 정리, 메이저 제어 정리, 메이저 다양체, 메이저-와일스 정리 1966년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1982년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2022년 천 메달
존 호튼 콘웨이 1937 가공할 헛소리(Monstrous moonshine), 초현실수[31], 콘웨이 다면체 표기법, 콘웨이 군, 마티외 준군, 알렉산더-콘웨이 다항식, 콘웨이 매듭, 읽고 말하기 수열, 콘웨이 판정법, 콘웨이 표기법, 자유의지 정리, 유한군의 아틀라스, 이코시안[32], 15 정리[33]
도널드 어빈 커누스 1938 커누스 윗화살표 표기법, 커누스-모리스-프랫 알고리즘, 커누스-벤딕스 완성 알고리즘, 로빈슨-셴스테드-커누스 대응, 상승 계승과 하강 계승, TeX 1974년 튜링상
피셔 셰피 블랙 1938 블랙-숄즈-머튼 모형, 블랙-숄즈 방정식, 블랙-76 모형, 블랙 근사,블랙-더만-토이 모형, 트레이너-블랙 모형, 블랙-카라신스키 모형, 블랙-리터만 모형
이아니스 니콜라스 모스코바키스[34] 1938 모스코바키스 코딩 보조정리, 효과적인 기술적 집합론(Effective descriptive set theory)
존 마이클 보드먼 1938 오퍼라드, 준 범주(Quasi-category)
윌리엄 버나드 레이몬드 리코리쉬[35] 1938 리코리쉬-월리스 정리
로비언 크롬웰 커비 1938 커비 계산, Torus trick, 커비-시벤만 클레스, 이국적 R4 발견, 커비 다이어그램 1971년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세르게이 페트로비치 노비코프 1938 유리 폰트랴긴 특성류가 위상 불변량임을 증명, 애덤스 스펙트럼 열을 일반화(애덤스-노비코프 스펙트럼 열), 노비코프 환, 노비코프-슈빈 불변량, 노비코프 추측, 크리치에버(Krichever)-노비코프 대수, 모스-노비코프 이론, 노비코프-베젤로프 방정식, 베스-추미노-노비코프-위튼 모형 1970년 필즈상, 2005년 울프상 수학 부문
제임스 해리스 사이먼스[36] 1938 천-사이먼스 이론 1976년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매뉴얼 블럼 1938 블럼의 복잡도 공리, 블럼의 속도 향상 정리, 블럼-골드바서 암호체계 1995년 튜링상
데틀레프 그로몰 1938 분할(Splitting) 정리, 영혼 정리, 영혼 추측
브래들리 에프론 1938 부트스트래핑(통계학) 2019년 국제 통계학상
미셸 레노 1938 마닌-멈퍼드 추측 증명, 아비안카(abhyankar)추측 증명, 레노 아이소제니 정리 1995년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디트리히 브라에스 1938 브라에스 역설
알렉산더 조엘 초린 1938 투영법[37], 무작위 소용돌이 방법(Random Vortex Method), 인공 압축률 방법(Artificial Compressibility Method), Implicit 샘플링
필립 오거스터스 그리피스 4세 1938 그리피스 횡단성(transversality), 일반적으로 삼차 삼차원 다양체(cubic three-fold)가 유리 다양체(rational variety)가 아님을 증명, 호지 구조의 변동(variation of Hodge structure) 도입, 그리피스 유수 정리 2008년 울프상 수학 부문, 2014년 천 메달
마리나 에브시브나 래트너 1938 래트너의 정리 1993년 오스트로우스키 상
피터 폴 니콜라스 올리크 1938 올리크-솔로몬 대수, 초평면 배열의 선구자
조지 닐 로버트슨 1938 로버트슨-시모어 정리, 로버트슨 그래프, 강한 완벽 그래프 추측 증명, k=6일 때 하트비거(Hadwige) 추측 증명 1994년, 2006년, 2009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알프레드 워싱턴 헤일스 1938 헤일스-주에트 정리
로버트 마틴 솔로베이 1938 솔로베이 정리, 솔로베이-스트라센 소수판별법, 반복 강제법, 마틴 공리, 증명 가능성 논리(Provability logic)
프리트헬름 발트하우젠 1938 order가 2인 미분동형사상의 특수한 경우에 대해서 스미스 추측을 증명, 발트하우젠 범주, 발트하우젠 S-구성, 발트하우젠 정리
게오르기 페트로비치 예고리체프 1938 모든 항목이 동일한 행렬이 이중 확률 행렬 중 가장 작은 퍼미넌트(Permanent)을 갖는다는 판데르바르던 추측 증명 1982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난바 칸지[38] 1939 난바 강제법
바실리 이소코프스키[39] 1939 3차원 매끄러운 파노공간의 17가지 기본형 분류, 3차원 4차 초곡면의 비유리성 증명
레이몬드 라이터 1939 비단조 논리(Non-monotonic logic), 기본 논리(Default logic)[40], 닫힌 세계 가정[41], 상황 계산(Situation calculus)[42]
이브 메예르[43] 1939 다중 해상도 분석, 메예르 집합, 메예르 웨이블릿, harmonious 집합 1970년 살렘상, 2010년 가우스상, 2017년 아벨상
해롤드 미드 스타크 1939 스타크-헤그너 정리, 가우스 유수 문제
앨런 베이커 1939 초월수론의 대가, 베이커 정리, 가우스 유수 문제 1970년 필즈상
윌리엄 에드거 풀턴[44] 1939 풀턴-한센 연결성 정리[45]
존 피터 메이 1939 메이 스펙트럼 열, 오퍼라드
존 에드워드 호프크로프트 1939 호프크로프트-카프 알고리즘, 선형시간 평면성 테스트 알고리즘 1986년 튜링상
스티븐 아서 쿡 1939 NP-완전 개념 제시, 쿡-레빈 정리, P-NP 문제, 증명 복잡도 이론 1982년 튜링상
장루이 크리빈 1939 바나흐 공간 이론에 초곱을 도입(Ultraproduct), stable Banach spaces 도입, 크리빈 머신
로랑 칼 시벤만 1939 커비-시벤만 클레스
에르브 자케 1939 자케-랭글랜즈 대응, 자케 가군
로버트 리시 1939 리시 방법
윌리엄 넬슨 라인하르트 1939 라인하르트 기수[46]
스리니바사 바라단 1940 큰 편차 이론(Large deviations theory), 바라단 보조정리, 위너 소시지, 스트록-바라단 받침(Support) 정리 2007년 아벨상
로버트 스톨네이커 1940 2차원주의[47], 가능세계론
미겔 안헬 비라소로 1940 비라소로 대수
킵 스티븐 손 1940 중력파 관측, 블랙홀 정보 역설, 후프 추측 2016년 브레이크스루상 물리학 부문(특별상), 2016년 쇼상 천문학 부문, 2017년 노벨 물리학상
니콜라스 테오도르 바로풀로스[48] 1940 바로풀로스 정리 1968년 살렘상
대니얼 그레이 퀼런 1940 퀼런 플러스 구성, 퀼런 Q 구성, 퀼런 완전 범주, 유리수 호모토피 이론, 모형 범주, 애덤스 추측 증명, 세르 추측 증명(퀼런-수슬린 정리) 1975년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1978년 필즈상
윌리엄 하워드 버스 자코 1940 JSJ 분해(toral 분해)
세메레디 엔드레 1940 세메레디 정리, 세메레디 정규성 보조정리, 에르되시-세메레디 정리, 하즈날-세메레디 정리, 세메레디-트로터 정리 2012년 아벨상
조지 스티븐 불로스 1940 증명 가능성 논리(Provability logic), S(불로스가 제시한 공리적 집합론), 가장 어려운 논리 퍼즐
스틸리아노스 피초리데스[49] 1940 지수 합에 관한 리틀우드의 추측을 증명에 기여 1980년 살렘상
플로리스 타켄스[50] 1940 이상한 끌개, 타켄스의 정리[51], 보그다노프-타켄스 분기(Bogdanov–Takens bifurcation)
솔 크립키 1940 KP 집합론, 크립키 구조, 가능세계론, 크립키-주얄 의미론
엔리코 봄비에리 1940 번스타인 문제가 8차원 까지만 참이 됨을 증명, 봄비에리-비노그라도프 정리, 봄비에리 부등식, 봄비에리 노름, 점근 체(asymptotic sieve) 1974년 필즈상
한스 폴커 니마이어 1940 니마이어 격자
도널드 앤서니 마틴 1940 마틴 공리, 마틴 측도, 모든 보렐 집합이 결정 집합임을 증명, 큰 기수 공리를 이용하여 사영 결정(projective determinacy)을 증명 1988년 카프상
나시르 아메드 1940 이산 코사인 변환, 이산 사인 변환
유진 마이클 룩스[52] 1940 그래프 동형성이 제한된 최대 차수를 갖는 그래프에 대해 다항식 시간에 테스트 될 수 있음을 보여줌[53] 1985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971
, 6.3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971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필즈상, 아벨상, 울프상, 노벨상, 튜링상, 가우스상, 천 메달, 쇼상, 브레이크스루 상,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보셰 기념상,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오스트로우스키(Ostrowski) 상, 국제 통계학상, 살렘상, 카프(Karp)상, 하우스도르프 메달 [2] 모든 측도가 0인 점 주위에 구를 포함하는 집합이 존재한다는 추측이다 [3] 학부생 시절 지금은 페리-밀너 정리라고 부르는 당시에 풀리지 않은 문제를 해결한 일화가 있다. [4] András Hajnal [5] Richard Sheldon Palais [6] 등각순환우주론, 펜로즈 과정, 조명 문제(Illumination problems)의 반례 발견, 리만-펜로즈 부등식, 갇힌 곡면(Trapped surface), 안드로메다 역설, 뉴먼-펜로즈 형식, 펜로즈 삼각형, 디오시-펜로즈(Diósi –Penrose) 모델 [7] Harry Kesten [8] Elliott Hershel Lieb [9] https://en.wikipedia.org/wiki/Lieb_conjecture [10] 이외에 업적은 https://en.wikipedia.org/wiki/Elliott_H._Lieb를 참고 바람 [11] 볼프강 하켄과 함께 컴퓨터를 사용하여 증명 [12] 현재까지 유일한 수학 기초론 분야 필즈 메달리스트 [13] Rodney Martineau "Rod" Burstall [14] https://ko.wikipedia.org/wiki/%EC%A0%9C%EB%8F%84_(%EB%85%BC%EB%A6%AC%ED%95%99) [15] https://en.wikipedia.org/wiki/NPL_(programming_language) [16] https://en.wikipedia.org/wiki/Mathematics_of_paper_folding [17] https://en.wikipedia.org/wiki/Karp%27s_21_NP-complete_problems [18] https://en.wikipedia.org/wiki/Semiset [19] 4 이상의 차원에서 증명한 스티븐 스메일과는 독자적으로 증명 [20] 힐렐 퓌르스텐베르크의 업적을 소개하는 글 https://horizon.kias.re.kr/15046/ [21] 소수가 무한하다는건 고대부터 알려져 있었지만 퓌르스텐베르크는 위상수학을 이용한 새로운 증명을 보였다 [22] 새 기초론(New Foundations)에 원초(urelement)의 존재를 허용한 기초론이다. [23] Per "Pelle" Lindström [24] 로버트 랭글랜즈의 업적을 소개하는 글 https://horizon.kias.re.kr/6772/ [25] 그의 아내 나오미 린덴스트라우스는 이론 컴퓨터 과학자이고 아들 엘론 린덴스트라우스는 2010년에 필즈상을 받았으며 그의 딸 아예렛 린덴스트라우스 또한 수학자이고 가족 모두 수학 리뷰에 논문이 기록 되어있다. [26] Naum Zuselevich Shor [27] https://en.wikipedia.org/wiki/Subgradient_method [28] https://en.m.wikipedia.org/wiki/Parity_problem_(sieve_theory) [29] 1974년 필즈상 후보에 올랐지만, 소련 정부의 간섭으로 인해 필즈 메달은 철회되었다. [30] 칼레손 정리를 p ∈ (1, ∞)일 때 Lp 함수에 대해서도 성립하는 일반적인 경우로 확장하였다. [31] 바둑을 연구하던 중 영감을 받아 새로운 수의 구성방식을 만든 결과물이 초현실수이다, 도널드 커누스가 쓴 초현실수를 주제로한 단편소설 "Surreal Numbers: How Two Ex-Students Turned on to Pure Mathematics and Found Total Happiness"에서 초현실수라는 명칭이 처음 사용되었다 [32] 윌리엄 로원 해밀턴이 만든것과는 다름 https://en.wikipedia.org/wiki/Icosian [33] https://en.wikipedia.org/wiki/15_and_290_theorems [34] Yiannis Nicholas Moschovakis [35] William Bernard Raymond Lickorish [36] 르네상스 테크놀로지라는 헤지 펀드 회사를 설립했고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수학자이다, 그의 자산은 약 125억 달러(약 12조 원)에 이른다 [37] https://en.wikipedia.org/wiki/Projection_method_(fluid_dynamics) [38] Kanji Namba [39] Vasily Iskovskikh [40] https://en.wikipedia.org/wiki/Default_logic [41] https://en.wikipedia.org/wiki/Closed-world_assumption [42] https://en.wikipedia.org/wiki/Situation_calculus [43] 이브 메예르의 업적을 소개한 글 https://horizon.kias.re.kr/5586/ [44] William Edgar Fulton [45] https://en.wikipedia.org/wiki/Fulton%E2%80%93Hansen_connectedness_theorem [46] https://en.wikipedia.org/wiki/Reinhardt_cardinal [47] https://en.wikipedia.org/wiki/Two-dimensionalism [48] Nicholas Theodore Varopoulos [49] Stylianos Pichorides [50] Floris Takens [51] https://en.wikipedia.org/wiki/Takens%27s_theorem [52] Eugene Michael Luks [53] Luks, Eugene M. (1982), "Isomorphism of graphs of bounded valence can be tested in polynomial time", Journal of Computer and System Sciences, 25 (1): 42–65, doi:10.1016/0022-0000(82)90009-5, S2CID 2572728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