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6 21:08:01

색즉시공(영화)

윤제균 감독 장편 연출 작품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2001 두사부일체 로고.png 파일:2002 색즉시공 로고.png 파일:2003 낭만자객 로고.png
파일:2007 1번가의 기적 로고.png 파일:2009 해운대 로고.png 파일:2014 국제시장 로고.png
파일:2020 영웅 로고.png K-Pop: Lost in America }}}}}}}}}

색즉시공 시리즈
색즉시공
(2002년)
색즉시공 시즌 2
(2007년)
색즉시공 (2002)
Sex Is Zero
파일:attachment/Sex_Is_Zero_1.jpg
장르 코미디
감독 윤제균
각본 윤제균
출연 임창정, 하지원
제작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두사부필름, 필름지
배급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쇼박스
촬영 기간 2002년 8월 21일 ~ 2002년 11월 4일
개봉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2년 12월 13일
상영 시간 96분
총 관객 수 4,082,797명
상영 등급 파일:영등위_18세이상_초기.svg 청소년 관람불가

1. 개요2. 예고편3. 흥행4. 의의5. 기타

[clearfix]

1. 개요

두사부일체를 만든 두사부필름에서 제작한 한국 영화로, 감독도 역시 두사부일체를 연출한 윤제균이다. 임창정 하지원이 주연을 맡았고, 신이 진재영, 유채영도 출연했다. 전체적인 내용 구성은 아메리칸 파이와 유사한 섹스 코미디.[1]

노른자가 없는 정체불명의 계란 프라이라든지, 에어로빅 대회를 관중석에서 구경하고 있던 박준규 엽기적 행각이라든지... 여러모로 과거 영화에서 볼 수 없었던 신선한 장면들이 많았다.

2. 예고편


3. 흥행

개봉하기 한 달 전에 개봉한 영화 반지의 제왕: 두 개의 탑이 연일 매진 사태와 장기 개봉으로 인해 반사이익을 보기도 했다. 인터넷 발권이 대중화 되지 않았던 탓에 "어? 반지의 제왕: 두 개의 탑 매진이네?" → "영화관 왔는데 아무것도 안 볼 수 없고, 그럼 뭐 봐야 하나?" → "그냥 색즉시공이나 보자."는 식이었다. 하지만, 나름대로 좋은 평가를 받고 입소문도 그럭저럭 재미있다고 좋게 퍼지면서 시대를 잘 타고난 영화로 흥행하는 성적을 거두었다.

사실, 2002년 개봉 기준으로 400만 관객이면 손꼽히는 대박이다. 현재 기준으로도 괜찮은 수준의 흥행이지만 심지어 이 영화는 청소년 관람불가 등급을 받은 영화다. 개봉 전 해에 불멸의 명작인 친구[2]가 개봉해서 그렇지 천만 영화는 그 다음해에 실미도가 개봉하면서 생겨났고 한국 청불 영화로 한정지었을때 2017년 범죄도시가 개봉하고 나서 TOP10에서 빠져나왔다.

4. 의의

작품성에 대한 평가와는 별개로, 색즉시공은 대한민국 영화계에서 사실상 본격적인 섹시 코미디 장르의 시초이자 원조격이라고 할 수 있는 기념비적인 작품이다.

그래서 색즉시공의 대성공 이후 성(性)을 주제로 만든 섹시 코미디 장르의 영화들이 우수수 쏟아져 나왔지만, 색즉시공만큼 흥행에 성공한 경우는 정말 드물다. 색즉시공의 흥행 이후 마법의 성, 은장도, 여고생 시집가기, 심지어 색즉시공 2까지… 비슷한 컨셉의 섹시 코미디 영화가 쏟아져 나오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특히, 개봉 당시 성인들만큼 의외로 중고등학생들 사이에서 폭발적인 관심을 끌었다.

사실, 코미디물이면서도 성(性)을 중점으로 다룬 영화 중에서 이 정도로 재미있는 영화가 거의 없었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리고, 코미디를 다룬 작품 중에서도 출연하는 배우들이 역대급으로 연기력이 뛰어났던 코믹연기를 선보인 작품이기도 하다. 게다가 1997년 외환 위기 극복기 이후 시대상을 다룬 2000년대의 대학생들을[3] 비롯한 현대 사회의 대한민국 20대들의 청년문화를 잘 보여준다는 점[4]에서 의미가 큰 작품이기도 하다.[5] 물론, 냉정하게 본다면 1990년대 2000년대~ 2020년대를 비롯한 대한민국 청년들의 문화는 그다지 달라진 부분이 없다고 봐야 된다.

5. 기타



[1] 사실 1편에서 하지원이 맡은 배역은 당초 김희선에게 먼저 제안이 갔었으나 개인 사정으로 고사했다. [2] 818만으로 일반판 영화로는 청불 흥행 1위다. 감독판까지 관객수를 합치면 내부자들이 915만명(707만 + 208만)으로 1위 [3] 대표적으로 선배, 후배 대학생들이 허물없이 잘 어울리지만 그 속에서도 갈등이 조성되고 똥군기와 병폐를 아주 잘 보여준다. [4] 물론, 섹시 코미디라고 해서 무조건 난잡하고 퇴폐한 부분만 다룬 것은 아니었다. 경제가 불안한 시대이기 때문에 대학생들이 도서관에서 공부하는 모습같이 장래를 생각하는 모습도 나온다. 그리고, 군대를 제대한 복학생이 다시 복학하고 적응하는 모습, 돈이 많지 않은 대학생들의 자취 문화, 그리고 원나잇 스탠드, 미팅, 나이트클럽에서 노는 문화라던가 성에 굶주린 남자들의 행동을 잘 묘사했다. [5] 예전이나, 지금이나 한국 영화는 10~20대의 성문화를 중심으로 다룬 작품이 그리 많지가 않다. 하지만, 북미권을 비롯한 유럽권에서는 고등학생이나 대학생을 중심으로 다루는 섹시 코미디가 한국 영화보다 훨씬 많다. [6] 초기에는 한자로 쓰여있었다가 이후 한글로 쓰였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1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1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