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8-15 22:51:57

상진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의 유튜버에 대한 내용은 상진(유튜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이 문서는 토막글입니다.

토막글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colcolor=#f0ad73>
조선 영의정
중종 ~ 광해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60420, #b82642 20%, #b82642 80%, #960420); min-height: calc(1.5em + 9.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48대

류순
제49대

박원종
제50대

김수동
제51대

류순정
제52대

성희안
제53대

송질
제54대

류순
제55대

정광필
제56대

김전
제57대

남곤
제58대

정광필
제59대

장순손
제60대

한효원
제61대

김근사
제62대

윤은보
제63대

홍언필
제64대

윤인경
제64대

윤인경
제65대

홍언필
제66대

이기
제67대

심연원
제68대

상진
제69대

윤원형
제70대

이준경
제70대

이준경
제71대

권철
제72대

이탁
제73대

홍섬
제74대

권철
제75대

홍섬
제76대

권철
제77대

홍섬
제78대

박순
제79대

노수신
제80대

류전
제81대

이산해
제82대

류성룡
제83대

최흥원
제84대

류성룡
제85대

이원익
제86대

윤두수
제87대

이원익
제88대

이산해
제89대

이항복
제90대

이덕형
제91대

이항복
제92대

윤승훈
제93대

유영경
제94대

이원익
제95대

이덕형
제96대

이원익
제97대

이덕형
제98대

기자헌
제99대

정인홍
제100대

박승종
}}}}}}}}}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0ad73> 조선 정승
중종 ~ 광해군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calc(1.5em + 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좌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65대

김수동
제66대

박원종
제67대

류순정
제68대

성희안
제69대

송질
제70대

정광필
제71대

김응기
제72대

신용개
제73대

안당
제74대

남곤
제75대

이유청
제76대

정광필
제77대

심정
제78대

이행
제79대

장순손
제80대

한효원
제81대

김근사
제82대

김안로
제83대

윤은보
제84대

류부
제85대

홍언필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85대

홍언필
제86대

윤인경
제87대

류관
}}}
제88대

성세창
제89대

이기
제90대

홍언필
제91대

윤인경
제92대

황헌
제93대

심연원
제94대

상진
제95대

윤개
제96대

안현
제97대

이준경
제98대

심통원
제99대

이명
제100대

권철
제101대

홍섬
제102대

박순
제103대

이탁
제104대

박순
제105대

홍섬
제106대

노수신
제107대

김귀영
제108대

정유길
제109대

노수신
제110대

정유길
제111대

류전
제112대

이산해
제113대

정철
제114대

류성룡
제115대

최흥원
제116대

윤두수
제117대

유홍
제118대

김응남
제119대

윤두수
제120대

이원익
제121대

이덕형
제122대

이항복
제123대

정탁
제124대

이원익
제125대

이항복
제126대

이헌국
제127대

김명원
제128대

윤승훈
제129대

류영경
제130대

기자헌
제131대

심희수
제132대

허욱
제133대

기자헌
제134대

이항복
제135대

이덕형
제136대

이항복
제137대

정인홍
제138대

한효순
제139대

박승종
제140대

박홍구
<colbgcolor=#c00d45,#94153e> 역대 정승
(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역대 영의정
(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우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78대

박원종
제79대

류순정
제80대

성희안
제81대

송질
제82대

정광필
제83대

김응기
제84대

신용개
제85대

안당
제86대

김전
제87대

이유청
제88대

권균
제89대

심정
제90대

이행
제91대

장순손
제92대

한효원
제93대

김근사
제94대

김안로
제95대

윤은보
제96대

류부
제97대

홍언필
제98대

김극성
제99대

윤인경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99대

윤인경
제100대

류관
제101대

성세창
}}}
제102대

이기
제103대

정순붕
제104대

황헌
제105대

심연원
제106대

상진
제107대

윤개
제108대

윤원형
제109대

안현
제110대

이준경
제111대

심통원
제112대

이명
제113대

권철
제114대

민기
제115대

홍섬
제116대

이탁
제117대

박순
제118대

노수신
제119대

강사상
제120대

정유길
제121대

김귀영
제122대

정지연
제123대

정유길
제124대

노수신
제125대

정유길
제126대

류전
제127대

이산해
제128대

정언신
제129대

정철
제130대

심수경
제131대

류성룡
제132대

이양원
제133대

윤두수
제134대

유홍
제135대

김응남
제136대

정탁
제137대

이원익
제138대

이덕형
제139대

이항복
제140대

이헌국
제141대

이항복
제142대

이헌국
제143대

김명원
제144대

윤승훈
제145대

류영경
제146대

기자헌
제147대

심희수
제148대

허욱
제149대

한응인
제150대

심희수
제151대

이항복
제152·153대

정인홍
제154대

정창연
제155대

정인홍
제156대

한효순
제157대

민몽룡
제158대

박승종
제159대

박홍구
제160대

조정
<colbgcolor=#c00d45,#94153e> 역대 정승
(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역대 영의정
(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colbgcolor=#b82642><colcolor=#f0ad73>
조선 영의정
성안공(成安公)
상진
尙震
<nopad> 파일:상진.jpg 상상화
출생 1493년( 성종 24)
사망 1564년 4월 15일[1] (향년 70 ~ 71세)
(음력 명종 19년 윤2월 24일)
재임기간 제68대 영의정
1558년 6월 25일[2] ~ 1563년 2월 19일[3]
(음력 명종 13년 5월 29일 ~ 명종 18년 1월 17일)
시호 성안(成安)
본관 목천 상씨
기부(起夫)
송현(松峴), 범허정(泛虛亭)
부모 부친 - 상보(尙甫)
모친 - 연안 김씨 김휘(金徽)의 딸
부인 정경부인(貞敬夫人) 전주 이씨[4]
자녀 장남 - 상붕남(尙鵬南, 1511 ~ ?)[5]
서자 - 상존성(尙存省)

1. 개요

[clearfix]

1. 개요

조선 중기의 문신.

증조부 상영부(尙英孚)는 호군(護軍), 조부 상효충(尙孝忠)은 수군우후, 부친 상보(尙甫)는 찰방[6]을 지낸 한미한 가문[7]의 출신으로 말타기와 활쏘기에 바빠 17~20살까지 글을 몰랐다는 입지전적인 인물. 명종 시대 소윤 정권의 대표적 재상이었으나 청렴하였고 온건하였다는 평가를 받는다.

1493년 아버지 상보와 어머니 연안 김씨[8] 사이에서 태어나 24세 되던 1516년( 중종 11) 식년 생원시에 2등 22위로 입격했다. 이후 성균관에 입학했는데, "상진은 성균관에서 공부할 때 일부러 관(冠)을 쓰지 않고 다리도 뻗고 앉아서 동료들을 조롱하고 업신여기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얼마 뒤 기묘사화가 일어났으니 오히려 처세라고 볼 여지도 있다.

이후 1519년(중종 14) 별시 문과에 병과 3위로 급제했다. 급제 때 인사를 받은 정광필에게 게으른(...) 재상이 될 것이란 평가를 받았고 과연 적중했다.[9]

정쟁에서 한 발을 뺀 순탄한 관직 생활으로 소윤에 아첨하였다는 부정적 기록도 있으며 악명이 없어서라도 인지도는 높지 않지만, 몇몇 미담이 남아 있다. 창고에 채울 것이 없다며 고치지 말라고 했다거나, 윤원형이 트집잡으려 했으나 통밀죽을 쑤어먹는다는 말에 명종이 왕후와 함께 울었다는 등이다.[10]

"정승 상진은 인품과 도량이 넓고 커서 일찍이 남의 장단점을 말하는 일이 없었다"[11]는 평에 걸맞게 친구였다는 송순과의 대화가 흥미롭다. "내가 자네처럼 목을 움츠리고 바른말을 하지 않았다면 벌써 정승의 지위를 얻었을 것"이란 말에 "자네가 나를 비난하는 것은 참으로 옳지만, 불평스러운 말을 해서 귀양만 다니는 것은 무슨 재미인가"라고 받은 것.

과연 상진은 그 엄혹한 시대에 한번도 귀양살이 하지 않았다(...) 인종 시대에 대윤의 견제를 받아 우찬성, 형조판서에서 경상도관찰사로 좌천 당한게 전부. 그러나 인종이 요절하면서 지중추부사로 바로 복직했다. 그럼에도 권간이나 소인이란 평을 듣지 않았으니, 정쟁의 시시비비보단 현실의 실무를 해결하는데 더 가까운 상이었다는 평가도 가능하다.

"묘비는 세우지 말고 짤막한 표석(갈,碣)을 세워 '공은 늦게 거문고를 배워 일찍이 임금의 은혜에 감사하다는 한 곡조를 연주하였다'라고만 쓰면 족하다."라고 유언했다.


[1] 율리우스력 4월 5일 [2] 율리우스력 6월 15일 [3] 율리우스력 2월 9일 [4] 태종의 차남 효령대군의 증손녀. 효령대군 → 안강도정 이낭 → 개산부수 이효‎지 → 정경부인 이씨 [5] 부인은 환조의 서자 의안대군의 현손자 이형순의 딸이다. 2대에 걸쳐 종실과 혼인한 셈. [6] 역참을 관리하는 종6품 [7] 다만 증조부가 빚문서를 죄다 태워버린 이후 집안이 번성했다니, 문벌이 아니었다는 것이지 부유한 평민에 속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과거 시험도 결국 고조부까지 벼슬을 적게 하는 등 문벌에게 절대적인 유리한 것은 현실이라, 이 정도의 출신도 조선 500년에 손꼽게 충분히 입지전적이라고 할 수 있다. [8] 김휘(金徽)의 딸이다. [9] 갓 관직에 오르는 신참에게 게으른 재상이란 건 욕이 아니라 오히려 "똑똑하고 게으른 리더감"이란 칭찬이 아닐 수 없다. [10] 명종으로서는 그나마 드물게 믿을만한 노신이었을 것이고 실제로 사직을 만류하는 적이 많았다. [11] 성호 이익 지봉유설. 성호사설에도 한미한 가문 출신이나 도량이 넓다고 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