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삼종의 혈맥(三宗의 血脈)은 조선시대 효종, 현종, 숙종 세 임금의 혈통을 의미한다. 조선 후기 경종 연간 최초로 등장한 조선 왕실의 정통성에 관련된 표현이다.2. 배경
본인 | 부모 | 조부모 | 증조부모 |
경종 (景宗) |
<colbgcolor=#fff3e4,#331c00>
숙종 (肅宗) |
<colbgcolor=#ffffe4,#323300>
현종 (顯宗) |
|
효종 (孝宗) |
|||
인선왕후 (仁宣王后) |
|||
명성왕후 (明聖王后) |
|||
청풍부원군 김우명 (淸風府院君 金佑明) |
|||
덕은부부인 은진 송씨 (德恩府夫人 恩津 宋氏) |
|||
옥산부대빈 장씨 (玉山府大嬪 張氏) |
|||
장형 ( |
|||
증 우의정 장응인 (贈 右議政 張應仁) |
|||
증 정경부인 남포 박씨 (贈 貞敬夫人 藍浦 朴氏) |
|||
파평 윤씨 ( |
|||
증 판서 윤성립 (贈 判書 尹誠立) |
|||
증 정부인 밀양변씨 (贈 貞夫人 密陽 卞氏) |
이어 예조 당상관을 불러 거행할 것을 청하고, 여러 신하들은 물러갔다.
임금은 평소에 병이 많아 계사(繼嗣)를 두기가 어렵게 되었으니, 국세(國勢)는 위태하기가 철류(綴旒)[1]와 같았다.
삼종(三宗)의 혈맥으로는 다만 주상과 아우 한 분이 있으니 천명(天命)과 인심의 스스로 귀착(歸着)되는 바가 저군(儲君)[2]이 아니고 누구이겠는가?
이제 종사(宗社)의 대계(大計)가 이미 정해졌으니 명명(明命)이 한 번 내려지자 온 나라 사람이 기뻐하지 않는 이가 없었다.
경종실록 4권 경종1년 8월 20일
임금은 평소에 병이 많아 계사(繼嗣)를 두기가 어렵게 되었으니, 국세(國勢)는 위태하기가 철류(綴旒)[1]와 같았다.
삼종(三宗)의 혈맥으로는 다만 주상과 아우 한 분이 있으니 천명(天命)과 인심의 스스로 귀착(歸着)되는 바가 저군(儲君)[2]이 아니고 누구이겠는가?
이제 종사(宗社)의 대계(大計)가 이미 정해졌으니 명명(明命)이 한 번 내려지자 온 나라 사람이 기뻐하지 않는 이가 없었다.
경종실록 4권 경종1년 8월 20일
인조의 장자 소현세자의 사후 경선군 이석견 등 소현세자의 소생이 아닌 효종 계통이 왕위를 계승하면서, 효종, 현종, 숙종 세 임금의 직계 후손이 왕통을 쥐게 되었다. 경종 연간 왕대비였던 인원왕후는 노론 4대신 김창집, 이이명, 이건명, 조태채 등의 압력으로 즉위한지 얼마되지도 않은 왕의 후계 구도를 연잉군으로 확정하게 되고, 그 논거로 활용된 것이 이른바 삼종의 혈맥론이다.
영조의 즉위 후 삼종의 혈맥은 왕조의 존립 근거로 기능하게 되었고 정조 연간 화완옹주 등을 두고 삼종의 혈맥을 흔들었다는 둥의 기록이 등장하게 된다. 그러나 정작 효종 직계는 철종 연간에 실질적으로 단절되게 되고 인조의 3남 인평대군( 대궁) 계통으로 넘어오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