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숙종의 장인 | 희빈 장씨의 부친 옥산부원군 장형 玉山府院君 張炯 |
||
시호 | <colbgcolor=#fff,#1f2023>안헌(安憲) | |
품계 |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 | |
본관 | 인동(仁同) | |
본명 | 형(炯) | |
자 | 백야(伯夜) | |
부친 | 장응인(張應仁) | |
모친 | 증 정경부인 남포 박씨 | |
부인 |
제주 고씨 파평 윤씨 |
|
자녀 | 2남 2녀 | |
묘소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중산동 산 96-2 | |
생몰 기간 |
출생 | <colbgcolor=#fff,#1f2023> 1623년( 인조 1년) |
사망 | 1669년( 현종 10년) 1월 12일 |
[clearfix]
1. 개요
조선 숙종의 장인이자 희빈 장씨의 아버지이다. 더불어 경종의 외조부가 된다. 본래 중인 신분의 역관이었으나 국구(國舅: 왕의 장인)가 되어 사후 영의정에 추증되는 영광까지 누렸다.그러나 1701년(숙종 27) 무고의 옥으로 희빈 장씨가 몰락하면서 부원군과 부부인의 작호를 폐하고 교지를 불에 태웠으므로 엄밀히 말하면 잠시 국구가 되었을 뿐이다.[1]
2. 생애
장형은 일찍이 역관이 되어 품계가 통정대부(通政大夫)에까지 이르렀던 장응인(張應仁)의 아들이다. 장응인은 중국말을 잘해서 탐욕스러운 명나라 사람이라도 함부로 토색질을 못하게 하였다는 기록이 있다.《역과방목(譯科榜目)》[2]에 따르면, 장형은 생전에 사역원 종8품 봉사(奉事)였으나 신도비에는 정9품 부봉사(副奉事)로 기재되어 있다. 당시 그의 형제들은 모두 역관이었는데, 사촌 형제인 장현의 경우 '국중(國中)의 거부'라는 말까지 들었다.[3] 하지만 상대적으로 장형은 재산 축적에는 신경쓰지 않았는지, 신도비에는 '청빈한 생활을 하며 재산에 마음을 두지 않고 분수에 자족하며 부러워하지 않았다'고 하고 있다.[4]
장형의 생전에 딸이 궁녀로 입궁하였는지 알 수 없다. 다만, 딸이 궁녀가 되었다가 숙종의 눈에 띄어 후궁이 되면서 1689년(숙종 15) 조선 최초로 중인 신분의 부원군이 나오게 된다.[5] 이듬해 숙종은 그의 묘소에 신도비를 세우게 하고, 사당까지 짓게 하였다.[6]
전교(傳敎)하기를, "옥산 부원군(玉山府院君)의 사당을 내사(內司)에서 이제 지어 줄 것인데, 요미(料米)와 전화(錢貨)도 해조(該曹)로 하여금 넉넉히 실어 보내게 하라." 하였다.
【이 역사는 굉장하고 사치하기를 극진하게 하였는데, 이렇게 비용이 많은 것은 전에 듣지 못하던 것이었다.】
《 숙종실록》 숙종 17년 3월 22일
【이 역사는 굉장하고 사치하기를 극진하게 하였는데, 이렇게 비용이 많은 것은 전에 듣지 못하던 것이었다.】
《 숙종실록》 숙종 17년 3월 22일
그러나 1694년(숙종 20) 갑술환국과 1701년(숙종 27) 무고의 옥으로 희빈 장씨와 장씨 일가가 몰락하자 더이상 왕의 장인으로서 예우받지 못했다.
[1]
그런데 비석을 깨트리는 일은 어려웠는지 현재
경기도
고양시에 옥산부원군 신도비가 남아있다.
[2]
조선시대 역과(譯科) 시험에 합격한 사람들의 명단을 수록한 방목.
[3]
숙종실록 17권, 숙종 12년 12월 10일 경신 4번째기사.
#
[4]
장형의 두번째 혼인을 보면 꼭 그렇지는 않았을 듯. 그가 첫번째 부인이 죽고 새로 맞이한 계실 파평 윤씨는 사역원 종4품 첨정 윤성립(尹誠立)의 딸이었다. 특히 윤씨의 친정 어머니 변씨는
허생전에도 등장하는 조선 최고의 갑부 '변부자 가문'의 딸로 바로 변승업의 당고모였다.
[5]
숙종실록 21권, 숙종 15년 5월 6일 신축 3번째기사.
#
[6]
신도비의 비명은 민암이 짓고, 오시복이 글씨를 쓰고, 권규가 전액을 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