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1 22:18:55

빅 히스토리

파일:oq2dSHt.jpg


1. 설명2. 비판적 시각3. 한국 내 상황4. 관련 인물5. 관련 문서

1. 설명

우주는 큽니다. 정말 크지요. 그리고 오래되기도 했고요. 한 138억 년 전에 생겨났는데, 너무나도 오래 전이라 우리가 이 숫자를 이해할 방도가 없을 정도로 오래 되었습니다. 그러니 우리의 작고 보잘것 없는 뇌가 이를 이해할 수 있도록 13년으로 줄여봅시다. 이렇게 줄인다면 우주는 2001년 즈음에[1] 탄생했겠군요. 조지 W. 부시가 막 대통령에 취임했고, 대부분의 미국인들이 모뎀을 이용해 인터넷에 접속하기 시작한 시간 말입니다.

이렇게 놓는다면 첫 항성 은하는 12년 전에 형성되었습니다. 하지만 지구가 생기려면 7년 하고도 반년을 더 기다려서 약 4.5년 전에야 지구가 출현합니다. 조금 더 시간을 당겨 4년 전에 지구에 단세포 생물이 생겼고, 한참 더 시간을 달려 6개월 전쯤으로 넘겨서야 캄브리아기 대폭발을 기해 다세포 생물들이 탄생합니다.

제가 하고자 하는 말은 고등 생물들의 탄생은 굉장히 최근의 일이라는 겁니다. 이 연표에서는 공룡들이 고작 3주 전에야 멸종하게 됩니다. 제가 마지막으로 페이스북을 업데이트한 시간이군요. 인간 침팬지가 공동조상으로부터 떨어져 나온 것은 3일 전입니다. 첫 호모 사피엔스가 출현한 것은 50분 전입니다. 제가 마지막으로 이메일을 확인한 시간이네요. 우리가 아프리카에서부터 이주한 것은 26분 전이며, 아메리카 원주민들이 아메리카 대륙에 도달한 것은 6분 전입니다. 제가 마지막으로 트위터 타임라인을 확인한 시간이지요. 우리가 농업을 발명한 것은 5분 전입니다! 고대 이집트? 3분 전입니다. 흑사병? 24초 전입니다. 산업 혁명은 6초 전이고, 제1차 세계 대전은 2초 전입니다. 냉전, 인류의 달 착륙, 당신의 탄생, 인터넷, 그리고 빅맥, 전부 지난 1초 안에 일어난 일입니다.

하지만 여러 측면에서 봤을 때, 복잡한 형태의 생물들의 탄생, 그리고 인류의 탄생은 아주 멋진 일입니다.
- 존 그린, Crash Course 빅 히스토리 - 빅뱅 에피소드에서

역사의 범위를 빅뱅으로 확장시킨 역사관. 거대사라고도 불린다. 참고로 '과학사'적 접근법이지, 절대 교육/ 자연과학계의 접근법은 아니다. 그러나 한때 국내에서는 이 역사학계 관점이 과학과 교육과정 개편에 적용된 사례가 있어서 논란이 되었다.

과학 인문학을 하나의 틀에서 다루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 기원을 따지자면 19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19세기 유럽에서는 지질학의 발전에 따라 지구가 성경보다 오래되었다는 사실이 받아들여졌다. 그에 따라서 성경 대신에 학술적으로 세상의 역사를 기록하자는 시도가 생겨났다. 알렉산더 폰 훔볼트(Alexander von Humboldt)는 1845년 코스모스(Kosmos)라는 책을 통해서 그때까지 이루어진 발견들을 종합하여 자연을 서술하였다. 그 후 다윈 진화론을 발표 하였고 생물학자 줄리언 헉슬리(Julian Huxley)는 진화론적 인본주의(evolutionary humanism)를 통한 자연의 종합적 이해를 추구했다. 그리고 1980년대 말부터 본격적으로 몇몇 학자를 중심으로 자연의 역사를 교육하자는 교육운동이 이루어진다. 대표적인 학자로는 칼 세이건, 허버트 리브스, 프레스톤 클라우드, 유발 하라리가 있다. 빅 히스토리를 주장하는 역사학자 데이비드 크리스천의 TED 강연에 의하면 빅 히스토리에서 논의되는 주제는 다음과 같다.

이렇듯 빅 히스토리는 물리학, 천문학, 화학, 지질학, 생물학, 인문학을 아우를 수 있는 학제간 연구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맛을 보고 싶다면 빌 브라이슨이 쓴 '거의 모든 것의 역사'라는 책을 읽어보자. 저술가인 저자가 과학을 다루기 위해 역사를 통하고, 결과적으로 빅 히스토리에서 목표하는 과학과 인문학을 하나의 틀에서 다루는 책이 되었다. 재미없는 교과서들에 대한 반발로 저술한 책이라 쉽게 읽을 수도 있다. 본격적으로 관심이 생긴다면 분량은 조금 있지만 데이비드 크리스천의 '시간의 지도'라는 책도 좋은 편. 데이비드 크리스천의 2004년 세계사학회 최고 도서상 수상한 것에서 알겠지만 역사학적으로는 완성도를 높게 평가받는다.

2. 비판적 시각

3. 한국 내 상황

한 화학과 교수[2]가 이 방식을 적용해 고등학교 과학 교육을 개편시키는 것을 주도했다. 그 교수가 주도한 교육과정안대로 탄생한 것이 바로 2009 개정 교육과정 당시의 과학이다. 그리고 이 방식은 가장 큰 문제로 지적되었다. 그러나 2015 개정 교육과정 2015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통합과학에서도 이 구성 방식이 유지되었다.

이 경우는 빅 히스토리 자체보다 고등학교 교육에 개편시킨 교수를 문제 삼아야한다. 빅 히스토리는 역사학계에서 나온 개념이지 자연과학계에서 나온 개념이 아닌데 과학 교과서에 구성한 것이 문제다.

4. 관련 인물

5. 관련 문서



[1] 존 그린이 이 말을 한 시점은 2014년이었다. [2] 현 서울대학교 화학과 명예교수 김희준.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