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8-30 21:33:57

북구 제1선거구(울산)

파일:울산광역시 휘장_White.svg 제8대 울산광역시의회 의원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3px"
중 1 중 2 중 3 중 4 남 1
권태호 김기환 이성룡 김종섭 안수일
남 2 남 3 남 4 남 5 남 6
이장걸 안대룡 방인섭 김동칠 이영해
동 1 동 2 동 3 북 1 북 2
김수종 홍유준 강대길 손근호 문석주
북 3 울주 1 울주 2 울주 3 비례
백현조 공진혁 홍성우 김종훈 천미경
비례 비례
권순용 손명희
* 북 1 정치락 사퇴 (2024.1.10.)
}}}
}}}}}}

파일:울산광역시 휘장_White.svg 울산광역시 의회 선거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008c95><tablebgcolor=#008c95>
북구 제1선거구
농소1동, 송정동
北區 第一選擧區
Buk District 1
}}}
파일:북구_제1선거구(울산)8.png
<colbgcolor=#008c95><colcolor=#ffffff> 선거인 수 58,476명 ( 2022년)
상위 행정구역 울산광역시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북구 일부
농소1동, 송정동
시의원
손근호 (재선)


[clearfix]

1. 개요

울산광역시의회의 선거구로 울산광역시 북구의 농소1동과 송정동 일대를 관할한다. 북울산역 울산공항이 이 지역구에 위치해 있다.

원래 미개발지로 보수 성향이 아주 강했던[1] 강동동도 이 지역구에 포함되어 있어서 그런지 공단 지역임에도 대부분 보수정당이 승리하였다. 다만 민주노동당이 공단 지역에서의 위세가 아주 강했던 5회 지선 때와 역대급으로 더불어민주당의 압승으로 끝이 난 7회 지선 때는 보수정당이 패배하기도 했다. 강동구가 빠져나간 현재는 북구치고 보수세가 있는 농소1동과 송정동이 치고받는 경합지가 되었다.

여담으로 민선 6,8기 박천동 북구청장의 시의원 시절 지역구였다.

2. 역대 선거 결과[2]

대수 당선자 당적 임기 비고
북구 제1,2선거구
제2대 강석구

[[무소속(정치)|
무소속
]]
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 [3]
이상범 1998년 7월 1일 ~ 2000년 2월[4] [5]
이병우
2000년 6월 9일 ~ 2002년 6월 30일
북구 제1선거구
제3대 박천동
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 [6]
제4대

2006년 7월 1일 ~ 2010년 3월 31일[7]
제5대 김진영

[[민주노동당|
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
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제6대 정치락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제7대 박병석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
제8대 정치락

2022년 7월 1일 ~ 2024년 1월 11일[8] [9]
손근호
2024년 4월 11일 ~ [10]

2.1.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북구 제1선거구
농소1동, 농소2동, 농소3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강만기(姜萬基) 9,046 2위

42.40% 낙선
4 강석구(姜錫求) 12,824 1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57.59% 당선
선거인 수 35,455 투표율
62.04%
투표 수 21,997
무효표 수 667
북구 제2선거구
강동동, 진장동, 효문동, 송정동, 양정동, 염포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이병우(李秉雨) 10,068 2위

40.78% 낙선
4 이상범(李象範) 14,028 1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59.21% 당선
선거인 수 37,885 투표율
65.41%
투표 수 24,784
무효표 수 687

2.2.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북구 제1선거구
농소1동, 강동동, 송정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박천동(朴千東) 8,847 1위

58.60% 당선
3 박병우(朴炳佑) 6,249 2위


[[민주노동당|
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
41.39% 낙선
선거인 수 24,109 투표율
64.52%
투표 수 15,557
무효표 수 461

2.3.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북구 제1선거구
농소1동, 강동동, 송정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2 박천동(朴千東) 9,508 1위


58.64% 당선
4 하현숙(河玹淑) 6,704 2위


[[민주노동당|
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
41.35% 낙선
선거인 수 28,915 투표율
57.02%
투표 수 16,490
무효표 수 278

2.4.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북구 제1선거구
농소1동, 강동동, 송정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정치락(鄭致洛) 8,955 2위


47.59% 낙선
5 김진영(金鎭泳) 9,860 1위


[[민주노동당|
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
52.40% 당선
선거인 수 34,084 투표율
56.25%
투표 수 19,173
무효표 수 358

2.5.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북구 제1선거구
농소1동, 강동동, 송정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정치락(鄭致洛) 11,895 1위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49.61% 당선
2 박병석(朴炳錫) 4,387 2위


[[새정치민주연합|
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18.29% 낙선
3 우진호(禹進浩) 3,845 4위


[[통합진보당|
파일:통합진보당 흰색 로고타입.svg
]]
16.03% 낙선
4 김진영(金鎭泳) 3,850 3위

[[정의당|
파일:정의당 로고타입.svg
]]
16.05% 낙선
선거인 수 42,561 투표율
58.46%
투표 수 24,885
무효표 수 908

2.6.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북구 제1선거구
농소1동, 강동동, 송정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박병석(朴炳錫) 18,313 1위

49.33% 당선
2 정치락(鄭致洛) 12,931 2위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34.83% 낙선
6 안승찬(安承贊) 5,872 3위


[[민중당(2017년)|
파일:민중당(2017년) 흰색 로고타입.svg
]]
15.82% 낙선
선거인 수 57,571 투표율
65.94%
투표 수 37,967
무효표 수 851

2.7.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북구 제1선거구
농소1동, 송정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이주언(李周彦) 10,801 2위

36.49% 낙선
2 정치락(鄭致洛) 14,731 1위


49.77% 당선
4 안승찬(安承贊) 4,061 3위


13.72% 낙선
선거인 수 58,476 투표율
51.78%
투표 수 30,281
무효표 수 688
강동동의 도시 개발로 인해 이 선거구의 인구가 9만명에 근접하는 수준으로 늘어나자 강동동을 북구 제3선거구로 넘기면서 인구 균형을 맞췄다. 비록 도시 개발이 진행 중이지만 강동동은 얼마 전 대선 기준으로 유일하게 윤석열 후보가 50%를 넘는 북구 최고의 보수세를 자랑하는 곳이므로 비교적 보수정당에게 불리해졌다.

더불어민주당에서는 현역 시의원인 박병석 의장이 북구청장에 도전하는 관계로 새 후보를 찾아야 한다.[11] 구의원을 역임 중인 이주언 전 구의회 의장이 단수공천을 받았다.

국민의힘에서는 2년 전 보궐선거를 통해 구의원에 복직하기도 한[12] 정치락 전 시의원이 다시 단수공천을 받으며 재선에 도전한다.

진보진영에서는 지난 선거에도 출마했고 이 곳에서 재선 구의원을 역임했던 진보당 소속 안승찬 전 구의회 의장이 단일 후보로 출마한다.[13]

개표 결과 국민의힘 정치락 후보가 과반에 살짝 미달하는 득표율로 시의회에 복귀하게 되었다. 2년 전 보궐선거와 마찬가지로 민주당+진보당 후보 합산 득표율이 정치락 후보가 높았으나, 표가 갈리며 당선되는 행운을 맞이했다.[14] 그 선거와 비교해보면 정치락 후보의 득표율이 8% 정도 증가한 반면, 민주당 후보의 득표율은 5%, 안승찬 후보의 득표율은 3% 정도 감소하였다. 세부적으로 보면 송정동에서 정치락 후보 46.1%, 이주언 후보 36.95%, 안승찬 후보 16.9%로 비교적 접전이었으며, 농소1동에서 정치락 후보 53.85%, 이주언 후보 35.1%, 안승찬 후보 11.1%로 정치락 후보가 단독 과반 득표율을 얻으며 거의 과반에 근접하게 만들었다. 관외사전투표에서도 정치락 후보에게 50.2%로 과반을 줬으며 이주언 후보 39.6%, 안승찬 10.2%로 비교적 야권 표심이 이주언 후보에게 결집된 결과가 나왔다.

2.8. 2024년 상반기 재보궐선거

북구 제1선거구
농소1동, 송정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손근호(孫根鎬) 21,189 1위

55.48% 당선
2 최병협(崔炳協) 17,000 2위


44.51% 낙선
선거인 수 57,904 투표율
00.00%
투표 수 39,167
무효표 수 978
현역 시의원이었던 정치락 의원이 22대 총선 출마를 위해 사직하면서 치러졌으며, 더불어민주당의 민선 7기 북구 제3선거구의 현역 시의원이었던 손근호 의원이 이 지역구로 옮겨와 국민의힘 최병협 후보를 큰 표차로 누르고 당선되었다. 게다가 사퇴한 정치락 전 시의원은 박대동 전 의원에게 밀려 공천받지 못한데다, 기껏 되찾은 지역구를 다시 더불어민주당에 내어주고 말았다.


[1] 현재는 개발이 어느정도 되어 보수세가 막강한 편은 아니다. [2] 울산광역시가 출범한 것은 1997년 7월 15일로, 1대 시의회의 경우 임기가 1년도 채 남지 않은 관계로 경상남도의원 중 울산 지역구 의원들과 경상남도 울산시의원들이 그대로 계승하여 울산광역시의원을 역임했으므로 기술하지 않음. [3] 북구 제1선거구 (농소1동, 농소2동, 농소3동) [4] 16대 총선 출마를 위해 사직. [5] 북구 제2선거구 (강동동, 진장동, 효문동, 송정동, 양정동, 염포동) [6] 농소1동, 강동동, 송정동 [7] 5회 지선 북구청장 선거 출마를 위해 사직. [8] 22대 총선 출마를 위해 사직. [9] 농소1동, 송정동 [10] 2024년 상반기 재보궐선거 당선. [11] 막상 이동권 구청장이 단수공천받아 컷오프 됐다. 그 이동권 후보도 본선에서 박천동 전 구청장에게 패했다. [12] 미래통합당에서 하도 후보 물색이 되지 않자 시의원 체급인 정치락 후보를 후보등록일 전날에 부랴부랴 소방수로 투입시켰으며,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민중당 후보가 표를 갈라먹으며 단 7표차로 승리하였다. [13] 여담으로 그 2년 전 정치락 후보가 당선되게 해준 민중당 후보였다. [14] 다만 단 7표차로 진땀승한 그때와 달리 지금은 두자릿수차인데다 거의 50%에 가까운 득표율이라 양자구도로 치러졌다해도 안승찬 후보를 찍은 표심이 이탈표 없이 전부 이주언 후보에게 고스란히 간다는 보장이 없어 무작정 어부지리로 보기에는 애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