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6 11:03:48

부산 버스 강서11

부산 버스 114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6ebf46> }}}
[[틀:부산광역시의 급행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58220; font-size: 16px; color:#fff"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A] 2[A] 3[A][B] 5
6 7[A] 7-2[A] 8
9[A] 9-1[A] 9-2[A][B] 11[A]
12[A] 13 14[A][B] 15[A]
15-1[A][B] 16[A] 17[A][B] 19
20 20-1[A][B] 21 22
[A]: 환승 대기시간 60분 적용 노선
[B]: 2024년 6월 29일 폐선 예정 노선
}}}}}}}}} ||

파일:부산 버스 강서11.jpg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4. 특징
4.1. 시간표4.2. 노선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마을버스 강서11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부산 강서11 노선도.png
기점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구포시장) 종점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2동(신평마을)
종점
첫차 05:50 기점
첫차 06:40
막차 22:05 막차 21:15
평일배차 60분 주말배차 120분
운수사명 대일교통 인가대수 2대[1]
노선 구포시장 - 구포역 - (← 북구청 ←) - 구포대교 - 강서구청역 - 대저119안전센터 - 신덕삼거리 - 등구마을 - 덕두역 - 김해국제공항(1층 출발층) - 덕두새동네 - 순서 - 정관도마을 - 설만마을 - 입소마을 - 신평마을 - 신평종점
* 밑줄 친 구간은 양방향 모두 정차하므로 행선지를 확인하고 탑승바람.

2. 개요

대일교통이 운행 중인 마을버스 노선.

3. 역사

1978년, 화진여객이 울만 - 김해공항 - 구포 - 모라 - 사상역 - 주례 - 개금 - 가야 - 서면 - 부산진시장으로 개통한 114번이 전신이다. 형제 노선으로 124번[2]도 있었는데 124번은 종점이 제도(중곡)쪽이었다는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114번의 경우 수요가 적어 1985년에 폐선됨과 동시에 강서 11번으로 신설되었다. 다만 124번도 약 10년 후 폐지되고 강서15번으로 대체되었다.

과거엔 강서교통[3]이 운행했으며 부산에서는 시내버스로도 보기 힘들던 에어로시티 540 SL 차량으로 운행했다. 1992~3년식이었으며 무냉방차량이었다.

이후 1990년대 후반 냉방초기형 에어로시티 540L을 중고로 도입했다.

2000년대 초반에 무냉방 540SL을 중고 에어로시티로 대체하고, 구도색이었던 냉방초기형 에어로시티 중 일부를 신도색으로 재도색한다.

2000년대 중반에 에어로시티가 카운티로 교체되었다.

2006년 4월 3일에 개통한 강서3-1번(구포시장 - 김해공항)[4]을 흡수하면서 김해공항 경유로 바뀌었다. 강서3-1번 운행당시 모습

여러모로 사정이 어려웠는지 타 노선보다 200원씩 더 받았지만 경영난을 버티지 못하고 2008년에 회사와 노선이 대일교통으로 흡수되었다.

2024년 6월 29일 부터 공항후문과 공항활주로 정류장을 미경유하며, 서부산유통지구역과 폐선예정인 강서3의 단독구간이었던 금호마을 내부와 월포마을을 경유한다. 차량은 1대 증차하여 3대로 운행하며, 기존의 신평종점에서 소폭 연장하여 득천사거리까지 운행 후 회차하게 된다. 관련 공문

4. 특징

사진에 적힌 울만이라는 지명은 입소, 설만마을을 지칭한다. 이들 마을과 종점인 신평마을 일대의 유일한 교통수단이며 이 쪽 수요가 대부분이다.

배차간격이 길어서 환승대기시간이 60분으로 설정되어 있다.

과거에는 대형차량인 현대 에어로시티로 운행했지만, 점차 인구가 줄면서 수요도 줄어 현재는 현대 카운티로 운행 중이다.

김해국제공항의 경계를 크게 도는 노선이다. 그래서 로드뷰로 보면 모자이크 투성이다. 심지어 정류소 이름 중에는 공항 활주로도 있으니 말 다한 셈. 동남권 항덕들의 영원한 친구 공항활주로 정류장 근처에 36번 활주로 포인트들이 포진해 있다

월포마을을 경유하는 부산 버스 강서3의 배차간격이 1일 7회, 공휴일 미운행으로 심히 좋지 못한데다 대수요처인 구포시장을 가지 않고 노선이 덕두에서 끊어졌기 때문에 월포마을 주민들도 대부분 '순서' 또는 '공항활주로' 정류장까지 걸어나와 이 노선을 이용하는 편이었고, 2024년 6월 29일 강서3번이 폐선되며 월포마을 구간을 계승하여 운행하게 되었다.

종점에서 서쪽으로 500여 미터 걸어가면 부산 버스 강서15, 부산 버스 강서7-1이 정차하고 마트, 편의점 등 편의시설들이 있는 득천사거리 정류소가 연계된다. 때문에 주민편의 및 환승연계를 위해 득천사거리까지 노선을 소폭 연장시켜달라는 논의가 꾸준히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종점에서 득천까지 가는 입소신평길과 득천2길이라는 도로가 교행이 불가능한 1차선 농로 수준이라 카운티의 교행이 불가능해 노선 연장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었으나, 2024년 6월 29일 마을버스 개편으로 득천사거리 연장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4.1. 시간표

파일:1676638505418.jpg
김해국제공항 항공기 이착륙이 제한되는 22시 이후 출발하는 막차는 이미지에 나온 대로 김해공항으로 들어가지 않는다.

4.2. 노선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마을버스 강서11번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입소신평길
성심정미소 ▼ ▲ 입소마을회관
울만로25번길
정관도새집 ▼ ▲ 설만마을회관
정관길
도도본리 ▼ ▲ 정관도삼거리
울만로
덕두새동네 ▼ ▲ 철우정밀
공항앞길
국제선청사 ▼ ▲ 덕두새동네
공항진입로
대저농협 ▼ ▲ 공항파출소 덕두역
공항로811번길
등구마을 ▼ ▲ 덕두시장
공항로
강서체육공원복지회관 ▼ ▲ 신덕삼거리
체육공원로
대저119안전센터 ▼ ▲ 강서체육공원복지회관
대저로
강서구청역 ▼ ▲ 부산은행대저지점
낙동북로
구포삼거리 ▼ ▲ 강서구청역
낙동대로
▲ 구포시장
만덕대로
}}}}}}}}} ||

5. 연계 철도역


==# 둘러보기 #==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구포시장환승센터 경유 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급행
1004[단]
1009-1[단]
일반
15[단]
59[단]
127[단]
강서구
북구
김해시
8-1[단]
911[단]
912[단]
913[단]
[단] 단방향 경유 노선
}}}}}}}}} ||

파일:한국공항공사 세로형 로고.svg 김해국제공항 경유 시내버스
인천 · 김포 · 제주 · 김해 · 대구 · 청주 · 무안 · 광주 · 양양 · 울산 · 여수 · 포항경주 · 군산 · 원주


[1] 일요일과 공휴일은 1대 운행 [2] 현 124번과는 무관하다 [3] 2024년 현재의 강서교통(구.경마버스)과 전혀 관련없는 회사이다. [4] 당시 같은 구간을 운행하던 307번의 요금이 비싸 공항 직원들과 항공사 객실 승무원들이 주로 이용하였고 항공기 이용객들의 수요는 저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