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12 11:59:25

백암청년역

백암청년역
역명 표기
백두산청년선 백암청년
Paegam Chŏngnyŏn
白岩靑年 / 白岩青年 /
ペガムチョンニョン
백무선
주소
량강도 백암군 백암로동자구
관리역 등급
불명
(청진철도총국)
운영 기관
백두산청년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백무선
개업일
혜산선 1934년 8월 1일
백무선 1934년 9월 1일
철도거리표
길주청년 방면
남 계
← 7.1 ㎞
백두산청년선
백암청년
혜산청년 방면
령 하
11.2 ㎞ →
기점
백무선
백암청년
무산 방면
대 택
6.6 ㎞ →


1. 개요2. 역 정보
2.1. 유래 및 행정구역2.2. 특징
3. 역 주변 정보4. 기타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백두산청년선 백무선의 철도역. 량강도 백암군 백암로동자구 소재.

백두산청년선이 간선 철도이고 백무선은 지선 철도인 관계로 백무선의 기점은 이 역이다.

2. 역 정보

2.1. 유래 및 행정구역

원래 길주군 양사면 서부 지역이다. 이 지역의 별칭이 바로 군명의 유래가 된 '백암'인데 일제강점기에 길주와 혜산을 잇는 길혜선(백두산청년선의 원 명칭)을 뚫다가 흰 바위가 마구 나와서 이런 지명이 붙었다. 현 백암군의 중심지인 백암읍은 원래 연암이라고 불리던 곳으로 그곳에는 연암역이 있다.

주의해야 할 것은 백암군에는 백암읍과 백암로동자구가 둘 다 있는데, 이 둘이 무슨 탁구치듯 왔다갔다했다는 것. 처음 백암군이 생겼을 때는 삼사(三社)[1]군이라고 하여 연암리가 삼사읍으로 개칭되었고, 그 이듬해 량강도를 신설하면서 삼사군을 백암군으로 개칭하면서 백암로동자구로 백암읍을 옮겨왔고, 그로부터 다시 8년 후 백암읍을 연암리 쪽으로 옮기고 이쪽을 백암로동자구로 강등했던 것.

2.2. 특징

전체 백두산청년선의 길이가 140km 정도 되므로 대략 중간쯤에 위치하는 중요 기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도 그럴 것이 이미 일제강점기부터 백암, 무산 지역에 널린 광물 자원을 수송하기 위해서 중요 물류 기지를 세울 필요가 있었는데, 그 기지가 바로 백두산청년선과 백무선이 만나는 이 백암역이었던 것이다. 게다가 두 노선의 궤간이 달라서 더욱 이러한 역이 필요했다.

승강장은 2면 14선인데, 본선이 5선뿐이고 지선인 백무선은 9선. 백무선이 협궤라서 수송 능력이 떨어지는데다가 화물양도 많아서 어쩔 수 없었던 모양.[2]

3. 역 주변 정보

인근 역세권은 뭐 길주만큼은 아니더라도 꽤 큰 편. 헌데, 문제는 워낙 복잡해서 그런지 위성사진상으로 어떤 건물이 백암역인지 너무나 헷갈리게 되어 있다는 게 문제이다.

4. 기타

5. 둘러보기

백두산청년선의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백무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취소선:폐역
}}}}}}}}}


[1] 구 무산군 삼사면이 군으로 떨어져나온 것에서 기인했다. [2] 참고로 백무선은 북한이 개궤하려다가 실패한 노선이다. 철도를 세우기만 하고 끝났던 김일성이 관리에 들어갔다는 것 자체가 백무선의 중요도를 말해 주고 있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