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9 21:37:22

미국 해군 vs 러시아 해군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미군 vs 러시아군
국가 vs 국가 해군력 비교
한국 해군 vs 북한 해군 한국 해군 vs 해상자위대 한국 해군 vs 중국 해군
러시아 해군 vs 해상자위대 중국 해군 vs 해상자위대 미해군 vs 중국 해군
중국 해군 vs 인도 해군 러시아 해군 vs 중국 해군 미해군 vs 러시아 해군

미합중국 해군 VS 러시아 해군
파일:미합중국 해군 마크.svg 파일:러시아 해군 휘장.svg

1. 개요2. 미해군의 우위3. 총 전력 비교4. 관련 문서

1. 개요

냉전 시절부터 주요 떡밥이었던 미군 vs 소련군부터 시작해 미군 vs 러시아군까지 이어지는 두 강 대국의 군사력 중에서 해군력을 비교하는 문서이다. 알다시피 미국 소련의 대결은 인류를 멸망시키기 딱 적절했고 소련이 붕괴한 이후 지금은 러시아가 소련의 지위를 이어받아 서 미해군과 대립하며 긴장을 이어가고 있다.

전 세계 항공모함의 3분의 2를 차지하는 막강한 군사력은 미국의 경제를 바탕으로 그 폭을 넓혀 갔으나, 미국의 부채가 늘어나서 군축을 한 적도 있었다. 하지만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들어서며 군비증가에 들어섰으며 여전히 미해군은 세계 최강의 전력을 자랑하고 있다.

반면 러시아 해군 소련 시절의 해군력에도 미해군보다는 열세였다. 그 후예인 러시아 해군은 소련 해체 이후 소련 시절의 해군력 비해 약화된 채 시작됐고 태생적인 지형상의 불리함도 있었다. 각 해안이 연대가 제한적이었고 미해군이 한 곳을 노려 공격하면 쉽게 당한다는 치명적인 약점이 존재했던 것이다.[1] 물론 후에 어느정도 회복되었지만 미합중국 해군이 우세를 점하고 있다.

2. 미해군의 우위

전력상 미해군이 우세한 상황이며, 일단 선술했듯 지리상의 위치부터 불리하다.

파일:attachment/Russian_Federation_(orthographic_projection)_-_Crimea_disputed_svg.png

러시아의 지도인데 북에는 북극과 북극해가 있고[2] 동에는 태평양과 북극해의 사이이고 미국의 알래스카가 있으며 남에는 태평양이기 때문에 러시아 해군은 전력이 분산되어 있고 이는 곧 각개격파를 의미한다.

실제로 크림 전쟁 당시 지금의 미 해군처럼 압도적으로 강했던 영국 해군 캄차카 반도, 백해, 발트해를 동시다발적으로 공격했을 때 러시아군은 각개 격파당했다. 또한 소련 시절에도 이미 자각했던 문제점이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친소 국가들의 항구를 받아 미국처럼 다양한 방면에서 공격을 하려 했으며 소련 해군의 아버지와 어머니로 불리는 니콜라이 쿠즈네초프, 세르게이 고르시코프도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고군분투 했다. 다만 받은 항구가 너무 작거나 항구를 내주기를 거부해서 실질적인 항구의 확보는 수포로 돌아갔다. 당장 니미츠급 항공모함의 신형으로 평가받는 제럴드 R. 포드급 항공모함은 핵-전기 추진 방식으로 웬만한 항공모함과는 비교를 불허하며, 2009년 11월에 가공을 시작해 2013년 11월에 진수하고 2016년 3월에 취역한 CVN-78 제럴드 R. 포드함 외에 2척을 추가 건조하여 총 3척을 취역할 예정인데 이 항공모함 3척만으로 웬만한 해군과 공군력과 같거나 뛰어 넘을 지경이니...[3]

파일:attachment/worldcarriers.gif

전 세계 항공모함 3분의 2를 차지하는 미 해군의 물량은 실로 경악할 지경이다. 그나마 러시아의 유일한 항공모함으로 보유하고 있는 쿠즈네초프급도 스키점프대 방식이라 운용 효율이 많이 모자라고, 정비 중에 크레인이 붕괴되는 사고가 나면서 갑판이 파손되고 엎친 데 덮친 격으로 화재까지 발생해 내년에야 재취역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이다.

3. 총 전력 비교

3.1. 주력 수상함 비교

3.2. 항공모함, 헬기항모, 수송함, 강습상륙함

3.3. 잠수함

3.4. 구축함

3.4.1. 미국

줌왈트급을 최근 취역시켰다. 약 1만5천톤의 배수량을 가지고 있으며 무려 스텔스 설계를 하였다. [4] 한국의 세종대왕함처럼 유사 구축함이다. 배수량만 봐서는 순양함으로 분류해도 될정도 현재는 155mm 62구경장 함포를 대지포격용 주포로 탑재하고 있지만, 추후에 레일건이 개발되면 대체될 가능성이 있다.

4. 관련 문서



[1] 러일전쟁 당시 일본 해군에게 크게 당한 원인. 넓은 해역에 해군력이 분산되어 있다 보니 일본 함대에게 각개격파 당한 것. [2] 지도에는 나와있지 않지만 다들 알듯이 북극에는 거대한 유빙이 굉장히 많다. 까딱하면 침몰될 수 있는 위협이 상시 대기 중인것이다. [3] 애초에 미해군은 미해군 자체를 제외한 전세계 해군력보다 강하다. [4] 사실 스텔스라고는 하지만 항공기의 그것과는 다르게 레이더에 덜 잡히는 정도의 설계이다. 레이더를 반사하기 쉬운 구조로 되어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