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31 19:56:11

MBC 드라마넷

드라마넷에서 넘어옴
파일:MBC 플러스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ㆍ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fff,#191919><tablebgcolor=#ffffff,#191919> 파일:MBC 드라마넷 로고.svg 엠비씨플러스 콘텐츠센터
MBC PLUS Contents Center
}}} ||
설레임이 쏟아지다
개국 2001년 4월 2일([age(2001-04-02)]주년)
운영 유형 공영방송
장르 드라마 전문
주소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호수로 596 ( 장항동)[1]
방송
품질
화질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cc376d,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486-line/59.94㎐)] (2001.4.2-2007.1.14)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cc376d,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FHD 1080/60i)] (2007.1.15-)
음향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cc376d,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FM-FM 투 캐리어 스테레오)] (2001.4.2-2007.1.14)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cc376d,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돌비 디지털 스테레오)]/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cc376d,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MPEG-4 AAC)] (2007.1.15-)
소유 파일:MBC 플러스 로고.svg 파일:MBC 플러스 로고 화이트.svg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로고3. 현재 방영 프로그램
3.1. MBC 방영 드라마3.2. MBC 방영 예능
4. 자체 제작 프로그램5. 기타

[clearfix]

1. 개요

MBC 플러스 소속의 드라마 전문 채널. 로고에선 'NET'이 빠져있지만 공식 명칭은 'MBC 드라마넷'이다. 소관부서는 방송본부 콘텐츠센터.

1995년 전국 케이블 방송 시작 년도에 개국한 드라마 전문 채널로 케이블 TV 채널계의 대선배인 셈.[2]

회사 자체는 제일방송(JBS)이라는 이름으로 1993년 9월 27일 설립되었고, 1995년 지상파 드라마 재방송 채널로 처음 개국했다. 개국 당시 고정 채널 번호는 36번. 당초 3월로 첫 방영이 되는 듯 했으나, 모기업인 제일영상 대표 심현우[3]가 불미스런 사건으로 구속되자 9월로 첫 방송이 미뤄졌다.[4] 이후, 1996년 12월 4일 삼구쇼핑의 모기업인 삼구그룹으로 경영권이 이관됐고 현재의 '드라마넷(Dramanet)'이란 이름을 사용하게 된 건 1997년 5월 19일부터이다. 그 후 모 그룹이였던 삼구쇼핑의 사장 박경홍이 1998년 가을에 자살하면서 경영난으로 어려움을 겪었고, 그 삼구쇼핑이 2000년 5월 CJ그룹(당시 제일제당그룹)에 인수되자 제일제당그룹 계열이 됐다. 이후, 2001년 3월 26일 케이블 TV 시장에 진출한 문화방송(MBC)의 1호 방송국으로 인수되고 이름도 'MBC 드라마넷'으로 변경되었는데, 당시 CJ39쇼핑은 46.6%의 지분을 MBC로 넘겼다.[5] 이로 인해 MBC 플러스는 자체적으로 이 때를 창사 시기로 보고 있다.

과거에는 지상파 3사 전 채널에서 방영된 드라마, 예능 프로그램을 재방송하는 채널이였다. 보통 지상파에서 방영이 끝나고 몇달 후에 방영되는 방식이였다. 그러던 것이 앞서 본 것처럼 2001년 3월 26일 MBC에 인수되었음에도 KBS drama SBS Plus[6]가 생기기 전까지는 지상파 3사의 모든 드라마 및 예능 프로그램을 방영해왔다. 그러나 2002년 4월 2일, CJ39쇼핑이 지분 19%를 처분한 데 이어 같은 해 5월 25일 나머지 보유지분 중 14만 9890주를 매각하여 CJ39쇼핑 계열에서 제외된 뒤 완전히 MBC 소속이 되어 MBC의 프로그램과 자체 제작 프로그램만을 방송하는 형식으로 변경됐다.

MBC 소속이 되면서 지상파에서 방영이 끝나지 않았어도 어느 정도 간격을 두면서 드라마넷에서도 방영되게 되는데 CJ는 드라마넷 매각 후 한동안 드라마 방송 채널을 소유하지 못했다가 tvN 개국 후 드라마를 방영하고 있으며, OCN을 통해 형사, 미스터리 드라마를 방영하고 있다.

케이블 TV 채널로서는 최초로 자체 제작 드라마를 제작, 방영했다. 지상파 채널의 프로그램의 재방송 채널이란 정체성으로는 방송을 장기적으로 이어갈 수 없으리란 판단이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별순검, 무한걸스 등의 자체 제작 프로그램이 어느정도 반향이 있었고 이후, 케이블 TV에서는 자체 제작 붐이 일기도 했다. 현재 tvN의 성공이나 타 케이블 TV 채널의 여러 자체 제작 프로그램의 선구자 격인 셈.

2010년대 후반 이후로는 자체 제작 프로그램은 같은 계열사의 MBC every1이나 MBC M에서 전담하고 있고, 현재는 자체 제작 프로그램은 없는 상태이다. 하지만 tvN이 세를 확장하고 종합편성채널이 런칭되기 전까지만 해도 케이블 시청률 TOP 5 채널안에는 꼭 들었으며 현재는 tvN과 종합편성채널, YTN 연합뉴스TV가 케이블 시청률 상위권을 싹쓸이하고 있지만 시청률은 어느 정도 나오는 채널이다.

또한 아침 MBC M과 더불어 유이하게 MBC 플러스에서 시간 표시 체계가 제공된다. 시간, 날씨, 날짜 모두 두루 조합하여 제공되었으며 지금은 없어진 MBC QueeN(현 MBC ON)에도 과거에 역시 비슷하게 제공된 바 있었다.

요즘 MBC가 월화 드라마[7]와 수목 드라마를 제외한 드라마 제작을 줄이면서 MBC 예능 및 자체 제작 예능 프로그램 편성이 늘어나고 2010년대에 방영했던 드라마 일부를 편성하고 있다. 드라마 채널의 정체성을 살리기 위해서는 자체 제작 드라마를 다시 제작하거나 만약 어렵다면 단막극이나 웹드라마라도 제작해야 할 판이다. 2020년에는 플레이리스트와의 협업을 통해 MBC, 네이버 플레이리스트 V앱에서 공개되었던 엑스엑스(XX) 등 웹드라마를 편성하고 있다.

알다시피 채널명은 MBC 드라마넷으로 말 그대로 드라마만 편성하는 채널이지만 채널명에 맞지 않게 편성하라는 드라마는 안 편성하고 예능만 편성해서 시청자들의 불만이 쏟아지고 있다. 2021년 4월 17일의 편성표를 살펴보면 이른 새벽 시간대에는 드라마가 편성되어 있지만 낮에는 증발이다. 자정부터 오전 3시까지는 작년 MBC에서 방영됐던 365: 운명을 거스르는 1년이 편성 오전 5시부터 7시까지는 일일극 밥이 되어라 재방송을 무려 4편 연속으로 전파를 탔고, 이후에는 MBC의 대표 예능들[8]이 낮부터 저녁 메인 시간대까지 채워졌다. 시청률이 높은 주말이면 그러려니 하겠지만 문제는 주말보다 시청률이 좀 낮은 평일에도 별반 다를바 없다는 것이다. 오전 시간대에는 드라마 채널의 메인 시간대라고 할 수 있는데 이 시간대에 쓸데없이 예능들만 편성했다. MBC 드라마넷이 예능 편성할 채널들이 없어서 이러는 것이 아니다. 예능을 타깃으로 한 MBC every1이나 MBC M 또는 예능 판권을 사들인 채널들[9]에서 예능을 편성하는데 굳이 MBC 드라마넷까지 예능 편성을 했어야 했냐는 것이다. MBC가 제공하는 콘텐트를 편성해 '독점 재방송'이라는 제도로 운영되지만 실상은 드라마보다 예능 편성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게 편성된다. 이러니 드라마를 볼려고 이 채널을 시청하는 시청자들의 입장에서는 보기 불편할 수 밖에 없다, 오죽하면 채널명을 다른 채널들( SBS Plus, SBS funE, KBS joy, JTBC2 등)처럼 바꾸라는 것이다. 상술한 채널들은 MBC 드라마넷처럼 특정 장르로 채널명을 짓지 않았기에 문제될 것이 없지만 MBC 드라마넷은 드라마라는 특정 장르로 채널명을 지었으니... 결국엔 시청자들의 불만이 많아서 기사화되었다.

2. 로고

파일:Jbslogo.png
제일방송 시절.[10]

파일:Dramanet.png
2001년~2003년. 제일제당그룹이 MBC에 양수도 계약 체결 이후부터의 로고. TV 방송 내의 화면 상단 송출로고로는 한글로고가 사용되었다. 이 시기부터 공문서에 MBC 로고가 새겨지기 시작한 시기이다.

파일:Mbcdrama2004.png
2003년~2005년. MBC 드라마넷 로고. DRAMA 대신 '드라마넷'이란 한글 표기가 문화방송체로 쓰여진 버전도 있었다.

파일:Mbcdrama.png
2005년~ 2010년. MBC 로고 변경 이후의 MBC 드라마넷 로고.

파일:Mbcdrama2010.png
2010년 ~ 2011년 로고. TV 방송 내의 화면 상단 송출 시에는 MBC와 Drama를 두줄로 나누어 표기하였다. 2010년 후반기 이후로는 TV방송 내의 화면 상단 송출 시에는 Drama 글자가 흰색으로 바뀌어 나왔으며, 아래 로고의 컬러 박스도 마찬가지로 이런 식으로 나오고 있다.

파일:MBC 드라마넷 로고.svg
2011년 ~ 현재 로고. 여담으로 이 로고는 13년 넘게 사용하고 있다.

3. 현재 방영 프로그램

3.1. MBC 방영 드라마

3.2. MBC 방영 예능

4. 자체 제작 프로그램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MBC 플러스/프로그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기타



[1] MBC 일산 드림센터. MBC PLUS의 본사이기도 하다. [2] 당시 비슷한 시기에 개국한 채널 중에는 현대방송(HBS, 현 OCN Movies), MBN, 엠넷, M21(현 GMTV), YTN, DCN(현 OCN), 바둑TV, 39쇼핑(현재 CJ ONSTYLE), LG홈쇼핑(현 GS SHOP) 등이 있다. 초기에는 독립자본도 꽤 있었으나 세월이 지나오면서 대기업에 편입되거나 모기업이 바뀌는 등 풍파도 많았다. [3] TBC, KBS, 시네텔서울 세 곳을 거친 드라마 PD로 뿌리격인 독립제작사 제일영상도 운영했다. [4] 이 과정에서 공채 탤런트도 선발했는데, 그 중 하나가 원빈이다. [5] 이 당시 CJ에서 운영하던 패션채널 'LOOK TV'도 같이 MBC로 넘어가 MBC GAME(당시 gⓔmbc)으로 변경되었다. 이 당시의 교류로 인해 지금도 MBC 플러스의 지분 상당수를 CJ가 가지고 있다. [6] 당초 'SBS 축구채널'이었으나, 기존의 SBS 스포츠 채널과 영역이 중복된 데 이어 세리에 A, 분데스리가 중계권 획득에 실패하면서 경영난에 시달리자 채널 변경. [7] 2019년 9월에 폐지되었다가 2020년 3월에 부활하였다. [8] 나 혼자 산다, 라디오 스타, 아무튼 출근!, 놀면 뭐하니?, 전지적 참견 시점 [9] NQQ, E채널 [10] 2000년에 제일제당에 인수되었어도 제일제당그룹 로고를 쓰지 않았다. 단, 공문서에는 제일제당그룹로고를 박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