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8 02:21:43

두체

일 두체에서 넘어옴
파일:파시스트이탈리아두체기.png
파시스트 이탈리아 두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or: #806600"
베니토 무솔리니
국가 파시스트당 당수 · 공화 파시스트당 당수
이탈리아 왕국 총리 · 이탈리아 공화국 총리
}}}}}}}}}}}}

{{{#!wiki style="margin:-10px" <tablebordercolor=#000000> 파일:무솔리니 2.svg 베니토 무솔리니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생애 · 평가 · 창작물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000> 사상 파시즘( 국가주의 · 국수주의 · 군국주의 · 권위주의 · 대중주의 · 민족주의 · 반공주의 · 사회진화론 · 반자유주의 · 반자본주의 · 반민주주의 · 영웅주의 · 우생학 · 협동조합주의) · 이탈리아 파시즘
정당 이탈리아 사회당(1892년) · 파시스트 혁명 행동 · 이탈리아 전투 파쇼 · 국가 파시스트당 · 공화 파시스트당
조직 및 국가 파시스트 이탈리아( 이탈리아 왕국 ·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 검은 셔츠단
관련 인물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 · 갈레아초 치아노 · 아돌프 히틀러 · 클라라 페타치
자손 로마노 무솔리니(자) · 알레산드라 무솔리니(손녀) · 로마노 플로리아니 무솔리니(증손자)
사건사고 로마 진군 · 에티오피아 침략 · 알바니아 침략 · 제2차 세계 대전( 이탈리아 전선)
관련 문서 두체 · 두체 두체 · 삼국 동맹 조약 · 스파치오 비탈레 · 조비네차
관련 틀 파시즘 · 추축국 · 이탈리아 왕국 총리 · 파시스트 이탈리아 두체 · 국가 파시스트당 당수 · 공화 파시스트당 당수
파일:파스케스(세로).svg 파시즘 }}}}}}}}}
파일:파시스트이탈리아두체기.png
두체
Il Duce
파일:Benito_Mussolini_colored.jpg
<colbgcolor=#000><colcolor=#fff> 초대 두체 <colbgcolor=#fff,#191919> 베니토 무솔리니
마지막 두체 베니토 무솔리니
임기 무제한
재임 기간 1921년 11월 19일 ~ 1945년 4월 25일
정당
(1921 ~ 1943)
공화 파시스트당 (1943 ~ 1945)
지명

파시스트 국가평의회(1925~1943)
공화 파시스트당 (1943~1945)
임명
[[이탈리아 왕국|]][[틀:국기|]][[틀:국기|]] (1925~1943)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틀:국기|]][[틀:국기|]] (1943~1945)
관저 키지궁(1925~1929)
베네치아궁(1929~1943)
페르토리넬리저(1943~1945)
최종 계급 제국원수(Primo Maresciallo dell'Impero)[1]
참전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
알바니아 침공
제2차 세계 대전
서명
파일:베니토 무솔리니 서명.svg
<nopad> 파일:파시스트이탈리아두체기.png
두체 깃발

1. 개요2. 역사
2.1. 유래2.2. 파시스트 이탈리아2.3.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3. 여담

[clearfix]

1. 개요

이탈리아어로 '지도자', '영도자'를 의미하는 단어.

2. 역사

2.1. 유래

어원 라틴어로 지도자를 의미하는 "Dux"로, Dux는 본래 " Legatus"(군단장)보다 상위의 군사령관을 가리키는 말로써 주로 국경군인 리미타네이(Limitanei)의 지휘를 맡은 제국군 장군이나 이민족 동맹군인 포에데라티(Foederati)의 수장인 대족장 및 왕들에게 부여되는 관직이었다. 동원어로는 이탈리아어 "Duca"(두카), "프랑스어 "Duc"(뒤크)나 영어 "Duke"(듀크)를 비롯한 공작을 의미하는 로망스어계 어휘들, 베네치아 공화국 제노바 공화국의 지도자를 뜻하는 단어인 "Doge"( 도제)가 있다.[2]

지도자를 의미하는 두체라는 단어는 당연히 전근대 시기까진 귀족들의 전유물인 호칭이었는데 이것이 최초로 귀족의 호칭 이외로 쓰인 계기는 바로 1860년 이탈리아 통일을 이끈 명장 주세페 가리발디를 대중들이 칭송하는 과정이라고 일반적으로 추측된다. 제1차 세계 대전 당시에도 총사령관을 맡은 국왕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를 '탁월한 영도자(Duce Supremo)'라고 부르려는 움직임이 있기도 했다. 이탈리아의 시인 가브리엘레 단눈치오는 민병대를 일으켜 1919년 피우메 자유국을 세우고 지도자가 되었는데 이때 자신을 '두체'로 칭하도록 했으며 로마식 인사를 도입하고 발코니에서 대중 연설을 하는 등의 파시즘적 기교를 창시한 인물이었다. 베니토 무솔리니는 단눈치오의 성공 사례에 주목했으며 그의 통치 기법과 기교를 상당수 흡수해서 자기 것으로 만들었는데 '두체'라는 칭호도 마찬가지였다.

2.2. 파시스트 이탈리아

베니토 무솔리니가 이끄는 국가 파시스트당 로마 진군을 통해 정권을 잡은 후 '정부의 수반이자 파쇼당의 영도자, 제국의 설립자인 위대한 무솔리니 각하(Sua Eccellenza Benito Mussolini, Capo del Governo, Duce del Fascismo e Fondatore dell'Impero)'라는 지위를 부여했다. 무솔리니 본인도 이 거창한 칭호를 한꺼번에 받기는 쑥쓰러웠는지 몇 년에 걸쳐서 나눠서 받았다. 제국의 설립자라는 단어는 1936년 에티오피아 침공을 승리로 거둔 이후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 당시 이탈리아 국왕으로부터 받았다고 한다. 이 지위는 1943년 이탈리아 2차 대전에서 항복하고 무솔리니가 실각할 때까지 유지된다.

2.3.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단어 자체는 그냥 지도자라는 뜻의 평범한 단어였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일 두체라고 하는 표현은 무솔리니와 동의어로 취급되어 지금까지도 그 용법 그대로 전해지고 있다. 이탈리아에서조차도 'Il Duce'라고 하면 그냥 무솔리니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하는데, 그 까닭에 파시즘에 적대적인 다수의 이탈리아인들은 이 단어를 입 밖으로 꺼내는 것조차 금기로 취급하며 지도자라는 뜻의 단어가 필요하면 차라리 Leader와 같은 영어 단어를 빌려와서 쓴다고 한다.

3. 여담

이 칭호가 독재자 관점에서는 꽤나 마음에 드는지, 무솔리니의 뒤를 이어 1930년대 유럽 곳곳에서 집권한 전체주의 지도자들( 히틀러, 프랑코)도 비슷한 단어를 사용했다. Führer( 퓌러)라던가, Caudillo( 카우디요)로 불렸다.

인터넷상에서는 걸즈 앤 판처의 등장인물인 안치오 고교 안초비의 별명으로 쓰인다. 이미 두체에 대한 구글 이미지 검색 결과는 한국어 일본어나 싸그리 안초비에게 점령당했다.[3]

[1] # [2] 이탈리아어에서 지도자를 뜻하는 "Duce"와 공화국 통령이었던 "Doge"는 라틴어 "Dux"의 대격 "Ducem"에서 비롯하였고, 공작을 가리키던 "Duca"의 경우 Dux의 차용어인 그리스어 "[ruby(δούξ, ruby=doúx)]"가 "[ruby(δούκας, ruby=doúkas)]"로 변형되었다가 그 대격인 "[ruby(δούκα, ruby=doúka)]"를 다시 이탈리아어로 들여오면서 생겼다. 후자의 연원이 좀 뜬금없어 보일 수도 있지만, 이탈리아가 사실 중세 초까지만 해도 서로마 제국의 해체 이래 동로마 제국의 영토였고 그 통치에서 벗어난지 시간이 많이 흐른 중세 말까지도 여전히 많은 영향을 주고 받았음을 생각해보면 이상할 것도 없는 현상이다. [3] 대신 일 두체 혹은 duce로 검색하면 무솔리니가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