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02-18 10:44:54

독곡



1. 개요2. 행적3. 무공

1. 개요

- 스스로 지키기 위해서 독술을 익히고, 독공(毒功)을 연마했다. 내가 독해지려 한 것이 아니라 하늘이 나를 독하게 만들었지. 그러니까 나의 후손들이여, 너희는 독왕이라 불린 나를 모범으로 삼지 말고 약선(藥仙)이라 불린 내 증조부님을 모범으로 삼아라.
- 『검신무』에서 소개되는 독왕이 후손들에게 남긴 유훈이다.
풍종호 작가의 무협소설은 같은 세계관을 공유하여 소위 '풍종호 월드'라 불린다. 그래서 오랜 세월 동안 전통을 유지하는 세력들이 여럿 등장하는데, 독곡(毒谷)도 이와 같다. 시조는 『 경혼기(驚魂記)』에 등장하는 천하오패(天下五覇)라 불리는 5명의 당대 최강의 고수 중 독왕(毒王) 곡인도이다. 그의 후예들이 모종의 한 골짜기를 거점으로 이어져서 독곡이라 일컬어진다. 오로지 독에 관련한 것만을 연구하는 만큼 독곡의 가풍은 누가 곡인도의 후예가 아니라고 할까 봐 오만하며, 독이 무조건 최고라고 여기고 있다. 전통적으로 제자들은 초목(草木)[1]을 의미하는 녹색의 경장을 입는다.[2]

참고로 후대에는 독왕이란 말이 ' 천마(天魔)'처럼 일종의 경지를 상징하는 말로 사용되기도 한다.[3] 독곡에서는 시조가 남긴 유훈을 잘 지켰는지 독술을 단련하면서도 굳이 독왕의 경지를 탐하지는 않는다. 1,000여 년이 지난 『 검신무(劍神舞)』에 와서야 당대의 가주가 그 경지를 이루어 시조가 와룡정(蛙龍井)[4]에 남긴 금계(禁戒)를 해제한다.

2. 행적

작가의 소설에 직접 등장하는 경우만 추려서 행적을 간략을 소개한다.

3. 무공


[1] 독이 곧 약이 될 수 있다는 독술의 기본이자 핵심을 중요시하는 것이다. [2] 정무령은 그런 모습을 보고 '퍼런 독초'라고 한다······. [3] 녹림대제전(綠林大帝傳)』에서 독군자가 그토록 원하던 경지였지만, 끝내 이루지 못한다. 그래도 왕삼구를 만나면서 기연을 얻어 독왕의 독공의 시작을 알리는 기수식이라는 오독신수를 깨닫는다. // 풍작가의 독공에 관한 설정은 독특하다. 독을 제조하거나 바깥에서 독성(毒性)을 가져와 다루는 것은 독술가 수준이다. 다음이 몸 안에서 독을 자체 생산하는 상승(上乘)의 경지를 이룬 것으로 독공의 본격적인 시작이다. 이후로 몸에서 생산하는 독을 하나하나 늘려가는 것이 핵심이다. 그렇게 수를 늘리다 100가지 독을 다룰 수 있게 되면 독왕의 경지를 이룬다. [4] 은씨 가문의 시조인 백고신군(百蠱神君)이 후손들에게 남긴 유산이 있는 비밀스러운 곳에 자리한 우물이다. 독술가에게 보물이라 할 수 있는 독개구리의 거처이기도 하다. 그 깊은 곳에 잠든 것을 깨울 수 있을 때는 독왕에 버금가는 힘을 얻을 것이라 후세에 일러둔다. [5] 말은 세상에 나왔다고 할 뿐, 아직도 독곡의 정확한 위치는 알려지지 않았다. 그나마 상관세가(上官勢家)가 위치한 곳에서 가깝다고 한다. 독곡에서는 상관세가에서 그 사실을 알까 은근히 신경 쓰고 있다. [6] 묵린영을 상징하는 묵린기(墨燐旗)를 언급하는 것으로 알 수 있다. [7] 특수 제작된 신호용 폭죽이다. 1,000리(里) 밖에서(약 393km이다. 1리는 약 393m.) 한낮에 보이는 불꽃을 공중에 터뜨려 특이한 문양을 남긴다. 당연히 보통 사람들은 먼 거리에서는 볼 수 없다. 불꽃이 발하는 특별한 소리를 들을 수 있는 사람들만 1,000리 밖에서도 볼 수 있다. [8] 특히나 무룡성을 의제로 칭하는 것을 봐서는 의형제 사이였을 것으로 짐작된다. [9] 『검신무』에서 전모가 밝혀지지 않아 정확하게 무슨 일이 있었는지는 알 수가 없다. 아마도 독기(毒氣)를 완전히 제거하지 않아 뒤늦게 중독 증상을 보인 육검협 중 누군가가 죽는 일이 일어난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