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2022년 말 기준, 대한민국의 도로 총연장은 114,314㎞로, 일본의 10%, 미국의 2% 수준으로, 국토 면적 대비 촘촘하게 짜인 편이지만 자동차 보급률은 그를 상회하는 수준이라 대한민국의 경제성장 과정에서 도로 중심으로 투자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도로 자체가 매우 부족하여 도로 보급률이 낮다. 이에 따라 교통체증이 잦다. 각종 우회도로 및 신설도로를 뚫고 있음에도 자동차 보급 대수나 신도시 개발 등 각종 도로교통 수요 유발 요인이 넘쳐나 애로사항이 꽃피기 때문에 턱없이 모자란 실정.또한 전반적으로 타이트하게 짜인 신호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운전 및 제반사항이 유사한 미국 및 독일 등 좌측 핸들 체계 국가에서 국제운전면허증으로 무리 없이 운전할 수 있을 정도로 교통이 체계화되어 있다.[1] 또한 도로 포장률이 93.2%에 달하고, 가장 높은 광역단체가 서울로 100%, 가장 낮은 광역단체가 전북으로 87.5%이다.[2]
다만 고속도로와 시외도로의 제한속도가 유럽에 비해 턱없이 낮아서 자주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제한속도 문서 참조.
2. 대한민국 도로의 분류
2.1. 고속도로
자세한 내용은 고속도로/대한민국 문서 참고하십시오.2022년 말 기준 4,939㎞로, 고속도로망이 상당히 촘촘하게 배치되어 있다. 하지만 여전히 경부고속도로나 남해고속도로, 영동고속도로와 같이 수도권이나 동남권과 같은 대도시권을 지나는 주요 간선 고속도로는 왕복 8차로로 확장해도 헬게이트가 열린다. 더 자세한 것은 고속도로/대한민국 문서 참조.
2.2. 국도
자세한 내용은 국도 문서 참고하십시오.2.3. 지방도
자세한 내용은 지방도 문서 참고하십시오.2.4. 사도
자세한 내용은 사도(도로) 문서 참고하십시오.3. 대한민국의 교통법규
자세한 내용은 도로교통법 문서 참고하십시오.3.1. 대한민국의 도로교통표지판
자세한 내용은 도로교통표지판/대한민국 문서 참고하십시오.3.2. 대한민국의 운전면허 제도
자세한 내용은 운전면허/대한민국 문서 참고하십시오.4. 문제점과 비판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의 도로 환경/문제점 문서 참고하십시오.
[1]
이건 한국이 수도권과 광역시의 대도시 위주로 본격적인 도로 건설이 시작되었고 대도시 위주의 타이트한 교통법규가 시골을 포함한 전국에 빠른 속도로 퍼졌기 때문이다.
[2]
국토교통부 도로현황조서,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