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45deg, #d7141a 40px, transparent 40px)"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
<colbgcolor=#015197> 고대 | 켈트족 | |
게르만족 | |||
훈족 | |||
서슬라브족 | |||
아바르칸국 | |||
사모제국 | |||
중세 | 모라바 공국 | ||
대모라비아 왕국 | |||
보헤미아 공국 프르셰미슬 왕조 피아스트 왕조 |
|||
보헤미아 왕국 룩셈부르크 왕조 야기에우워 왕조 |
|||
근현대 |
보헤미아 왕국 합스부르크 왕조 |
||
체코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뮌헨 협정 |
|||
체코슬로바키아 제2공화국 | |||
체코슬로바키아 망명정부 |
나치 독일 점령기 보헤미아-모라바 보호령 |
||
체코슬로바키아 제3공화국 | |||
체코슬로바키아 제4공화국 | |||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체코 사회주의 공화국 |
|||
체코슬로바키아 제5공화국 | |||
체코 제1공화국 | }}}}}}}}}}}} |
슬로바키아의 역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고대 | 중세 | 근현대 | ||||||||||||||||||||
켈 트 족 |
게 르 만 족 |
훈 족 |
서 슬 라 브 족 |
아 바 르 칸 국 |
사 모 제 국 |
니 트 라 공 국 |
대 모 라 비 아 왕 국 |
마 자 르 족 |
헝가리 |
오 스 만 제 국 |
합스부르크 왕조 | 체코슬로바키아 |
제 2 공 화 국 |
||||||||||
대 공 국 |
왕 국 |
합 스 부 르 크 헝 가 리 |
오 스 트 리 아 제 국 |
오 스 트 리 아 - 헝 가 리 |
제 1 공 화 국 평 의 회 |
제 2 공 화 국 |
나 치 - 제 1 공 화 국 |
제 3 공 화 국 |
제 4 공 화 국 |
사 회 주 의 공 화 국 |
제 5 공 화 국 |
||||||||||||
망 명 정 부 |
|||||||||||||||||||||||
대 모라비아 Velká Morava |
||
스바토플루크 1세 때의 영토 |
||
존속기간 | 800년대 초 ~ 907년 | |
위치 | 중동부 유럽 | |
수도 | 불명[1] | |
정치체제 | 전제군주제 | |
국가원수 | 공작( 족장) | |
주요 군주 | 스바토플루크 1세(870~894) | |
언어 | 서 슬라브어 계통의 언어(모라비아어로 비정) | |
종교 | 슬라브 종교→ 정교회, 가톨릭 | |
주요사건 | 907년경 헝가리 대공국에 멸망 | |
성립 이전 | 사모 제국, 슬라브 제 부족 국가 | |
멸망 이후 | 보헤미아 공국, 헝가리 대공국 |
모라비아의 문장 | ||
언어별 명칭 | ||
고대 교회 슬라브어 | Moravьska oblastь / Morava | |
라틴어 |
Regnum Marahensium / Terra Marauorum / Maraha / Marawa |
|
중세 그리스어 |
Μεγάλη Μοραβία (Megálī Moravía) |
|
체코어 | Velká Morava | |
슬로바키아어 | Veľká Morava | |
헝가리어 | Nagymorávia | |
영어 | Great Moravia |
[clearfix]
1. 개요
현재 체코의 모라비아, 보헤미아, 슬로바키아, 헝가리 지역 일대를 지배했던 왕국. 서슬라브인을 사실상 최초로 규합한 왕국으로 알려져 있으며, 기독교를 받아들이면서 중동부 유럽을 서유럽 가톨릭 체계에 편입시킨 왕국이기도 하다. 역사책에서 '모라비아'라고 나오면 십중팔구 이 왕국이라 보면 된다.당대 사서에는 대부분 그냥 '모라비아 왕국'이라고 언급되어 있으며, 앞의 '대'라는 수식어는 고대 대불가리아처럼 어떤 부족의 고향땅을 표현할때 쓰는 용도로 붙은 것이라고 한다. 국명인 모라비아는 이 나라가 모라바 강 인근에서 세워졌기 때문에 붙은 명칭이다.
영토는 크로아티아 및 세르비아, 불가리아의 북쪽, 아바리아의 서쪽, 프랑크 왕국의 동쪽으로 추정된다. 현재의 체코, 슬로바키아, 헝가리 일대다.
2. 역사
이 지역은 아바르 칸국의 통치가 안정된 7세기 말부터 점점 슬라브족의 정착지와 요새가 건설되며 발전하기 시작한다. 이후 여러 부족들로 나뉘어 살아가다가, 샤를마뉴에 의해 아바르 칸국이 사실상 붕괴하면서 이 지역의 정세도 급변하게 되었다. 멸망한 아바르족의 유민들을 흡수하고, 인접하게 된 카롤링거 왕조의 지식과 세공을 받아들이면서 기술이 크게 발전하였고, 그 결과 블라트니카-미쿨치체 범위라고 불리는 새로운 문화적 유형이 출현한다. 그러다가, 모이미르 1세 이후 본격적으로 국가로 정립되며 강역이 확대되기 시작했다. 특히 그는 이웃한 니트라 군주국(Principility of Nitra)의 군주인 프리비나를 쫒아내며 인근의 부족들을 통일하는 데에 성공했다.[2] 이윽고, 프랑크 왕국의 세력 팽창에 맞물려 국경선이 맞닿게 되었고, 이로 인해 프랑크의 위협 속에 동쪽으로 영토를 확대해나가며 보헤미아, 실레시아, 니트라 일대를 장악해 서 슬라브 최초의 거대 국가를 형성하곤 스스로 공작을 칭했다.그러나 대 모라비아는 넓은 영토에도 불구하고 프랑크 왕국에 비해 약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당시 대 모라비아의 대공이었던 라스티슬라프(Rastislav)는 동로마 제국과 접촉해 선교사 파견을 요청했다. 이에 동로마 제국에서는 862년 모라비아에 선교사로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 형제를 보내주었다.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는 슬라브어로 기독교를 전도하려고 시도했는데, 이 과정에서 고안된 문자가 바로 글라골 문자였다.
하지만 라스티슬라프가 동프랑크의 지지를 등에 업은 스바토플루크 1세(Svatopluk I)에게 870년에 살해당한 후 동로마에서 온 선교사들(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 형제의 제자들)은 탄압당했다. 결국 선교사들은 크로아티아, 세르비아, 불가리아 등지로 흩어졌는데, 이 중 불가리아로 간 선교사들이 당시 불가리아의 군주였던 보리스 1세의 지원에 힘입어 슬라브 기독교 문화를 발전시켰으며, 위에서 언급된 글라골 문자를 개조 및 변형하여 키릴 문자를 만들었다.
독일왕 루트비히 2세는 동프랑크군을 이끌고 대 모라비아 왕국을 침공했고, 이에 보헤미아인과 동맹을 맺은 스바토플루크 1세의 군대와 충돌하였다. 이 전쟁에서 스바토플루크 1세는 루트비히 2세의 아들 카를로만과 판노니아 변경백 빌헬름 2세 및 엥겔샤크 1세에게 크게 패배하며 포로로 잡혔다. 이후 교황 요한 8세가 중재하여 874년 독일의 포르히하임(Forchheim)에서 대 모라비아가 동프랑크 왕국에게 매년 일정한 연공을 바치는 평화조약을 맺었는데 이를 '포르히하임의 평화'라고 한다. 이로써 프랑크 왕국의 위협이 덜 해진 틈을 타 스바토플루크 1세는 대규모 확장정책을 펼쳤다. 폴란드의 비스와 일대를 시작으로 소폴란드와 실레시아 일대를 정복했으며, 남으로는 현재 슬로바키아의 니트라 일대를 점령하며 힘을 키웠다.
독일왕 루트비히 2세가 죽고 876년 비만왕 카를 3세가 동프랑크 왕국의 왕이 된 이후 빌헬미너 전쟁이 발발했다. 빌헬름 1세(Wilhelm I)는 대 모라비아 사이 접경지대인 판노니아(Pannonia)를[3] 개척한 뒤 변경백 작위를 하사받았고 그의 후손들은 '빌헬미너(Wilhelminer)'라고 불리게 되었다. 그후 판노니아 변경백령은 아들 빌헬름 2세(Wilhelm II)와 엥겔샤크 1세(Engelschalk I)에게 상속되었고, 둘은 죽을 때까지 판노니아 변경백으로서 대 모라비아 전선의 수비벽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두 사람이 죽은 뒤 동프랑크 왕국에서 아리보(Aribo of Austria)라는 새로운 변경백을 임명하자 엥겔샤크 1세의 아들인 엥겔샤크 2세(Engelschalk II)가 반발하여 882년 반란을 일으켰으니 이것이 빌헬미너 전쟁이다.
아리보는 지역의 지지를 받았던 데다가 케른텐 공작 아르눌프[4]까지 끌어들인 엥겔샤크 2세에게 크게 밀렸고, 결국 카를 3세에게 도움을 청했지만, 결정적으로 스바토플루크 1세에게도 도움을 요청하는 실수를 저질렀다. 스바토플루크 1세는 곧바로 군사를 일으켜 판노니아 일대로 진격하여, 판노니아 변경백 시절 자신과 마찰을 벌였던 엥겔샤크 2세의 둘째 아들(이름은 불명)을 잡아 불구로 만들어 버리는 성과를 얻었다. 게다가 판노니아 및 빈 일대에 마자르인들 또한 함께 쳐들어갔기에[5] 판노니아 동부 일대가 궤멸적으로 파괴되었다.
결국 카를 3세는 스바토플루크 1세에게 점유지 일부를 넘겨주고, 그를 봉신으로 받아들이면서 화친을 꾀했다. 이 결과로 동프랑크 일대는 카롤루스 왕조를 불신하게 되었고, 대 모라비아가 전성기에 있음을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이후 스바토플루크 1세는 스스로를 왕으로 칭하며 대 모라비아 왕국을 선포하기도 했다. 이후 아르눌프 또한 아리보와 평화협정을 맺고 대 모라비아와 전쟁을 벌이지만, 아르눌프가 대 모라비아를 공격하던 중에 스바토플루크 1세가 불운의 사고로 894년에 세상을 떠나면서 이 전쟁도 끝이 났다.
그러나 스바토플루크 1세의 치세 이후 대 모라비아는 급격한 몰락의 길을 걸었다. 894년 아들 모이미르 2세(Mojmir II)가 왕위를 이어받은 뒤, 예속된 부족들이 대 모라비아를 상대로 대대적인 반란을 일으킨 것. 보헤미아 공작은 아예 아르눌프의 수하로 들어가버릴 정도로 전세는 급격히 악화되었다. 또한, 스바토플루크 1세의 둘째 아들인 스바토플루크 2세 또한 형인 모이미르 2세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결국 이 내전 끝에 찾아온 바이에른의 공격으로 대 모라비아는 크게 패배하여 크게 몰락하였다.
뒤이어 대 모라비아에 마자르족이 대규모로 침입하자 대 모라비아는 어떻게 멸망했다는 기록조차 남기지 못하고 망국의 길을 걷고 말았다. 현재 대 모라비아가 멸망한 시기를 907년 전후로 추정한다. 907년에 동 프랑크와 마자르가 브라티슬라바에서 벌인 전투의 기록에서 모이미르 2세나 그의 후계자는 전혀 언급되지 않을 정도.
다만 그것과는 별개로, 이 지역에 살던 신민들과 귀족들은 그대로 그 지역에 남아 지위를 유지한 것으로 보인다. 지명의 언어학적 증거나 고고학적 증거, 또는 초기 헝가리 왕국의 이 지역 출신 귀족 가문들의 존재로 미루어볼때 헝가리 왕국이 이 지역을 정복한 이후에도 모라비아의 정치적 제도나 행정은 대부분 계승된 것으로 보이며, 기존 사회 엘리트들 역시 무리없이 계승되어 혼트-파즈마니 가문[6]과 같이 봉건 귀족으로 진화한 것으로 보인다.
3. 왕사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7141a 0%, #d7141a 30%, #d7141a 70%, #d7141a);"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모이미르 왕조 | ||||
모이미르 1세 | 라스티슬라프 | 스바토플루크 1세 | 슬라보미르 | 모이미르 2세 | |
모라비아 ·
보헤미아 공국 ·
보헤미아 왕국 ·
보헤미아-모라바 보호령 ·
체코슬로바키아 ·
체코 모라비아 · 체코슬로바키아 · 제1공화국 · 슬로바키아 |
}}}}}}}}}}}}}}} |
이름 | 재위 | 왕조 | 비고 |
모이미르 1세 | 820? ~ 846 | 모이미르 | 공작 |
라스티슬라프 | 846 ~ 870 | 모이미르 | 공작 |
스바토플루크 1세 | 870 ~ 894 | 모이미르 | 국왕[7] |
슬라보미르 | 871 | 모이미르 | [8] |
모이미르 2세 | 894 ~ 901? | 모이미르 | [9] |
왕위 계승은 부족 시절 전통을 따라 형제상속 혹은 집안 내 연장자가 상속하는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1]
체코의 미쿨치체로 비정하는 학설이 있다.
[2]
참고로 이후 니트라 군주국은 모라비아의 구성국 중 하나로 이후로도 잔존했고, 헝가리가 이 지역을 점령한 이후로도 헝가리의 봉신 영지로 존속했다.
[3]
원래 판노니아(Pannonia)는 로마 제국 시절 그 자리에 있던 속주의 명칭이다. 역사적 명칭을 다시 사용한 것이다.
[4]
훗날
신성 로마 제국, 이탈리아, 동프랑크의 왕이 되었다. 유아왕
루트비히 4세의 아버지.
[5]
이를 기록한 잘츠부르크 행장에서는 스바토플루크 1세나 아르눌프가 용병으로 고용해서 쳐들어왔다고 하지만 근거는 없다.
[6]
사서에는 이들이 슈바벤 출신으로 슬로바키아 지역에 영지를 받았다고 되어 있으나, 인도유럽계 민족 특유의 형제건국 설화의 형태가 나타나는 것 등으로 보아 현대 학자들은 이들이 모라비아 토착 엘리트 가계라고 추정한다
[7]
이전에는 공작을 칭했지만 스바토플루크 1세 때부터 비로소 칭왕하여 왕국이라 하였다.
[8]
스바토플루크 1세가 포로로 잡혔을 때, 모라비아 사람들이 스바토플루크 1세의 생사를 확인할 수 없자 전사했다고 가정하고 추대한 인물. 스바토플루크 1세가 복귀하자 쫓겨났다.
[9]
901년 이후 기록상에 나타나지 않으며, 후임자의 기록도 찾아볼 수 없다. 모이미르 2세 혹은 그의 후계자가 마자르족과의 전쟁 끝에 패배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