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경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5f5f5,#2d2f34> 니까야 | 디가 니까야 | 맛지마 니까야 | 쌍윳따 니까야 | 앙굿따라 니까야{{{#!wiki style=""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 | ||||
}}} | |||||||
대승 경전 |
반야바라밀다심경 |
금강반야바라밀경 |
대방광불화엄경 |
묘법연화경 |
지장보살본원경 |
능엄경 |
관세음보살보문품 |
보현행원품 |
약사경 {{{#!wiki style="" |
}}} {{{#!wiki style=""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 | }}} | |||
밀교 | 천수경 | 대일경 | 금강정경 | 대승장엄보왕경 | }}}}}}}}} |
1. 개요
니까야(Nikāya)는 상좌부 불교권에서 주로 보는 불경을 말한다. 팔리어로 쓰였으므로 팔리 경전이라고도 한다.[1]니까야가 팔리어 버전이라면, 산스크리트어를 거쳐 한문으로 번역되어 대승 불교에서 전해지는 한문 버전이 아함경이다.[2] 결국 니까야와 아함경은 같은 뿌리를 가지고 있어서 대부분의 내용이 일치하지만 2500년 동안 전해져 내려온 관계로 서로 다른 부분도 꽤 있다.
2. 종류
니까야(Nikāya)의 본래 뜻은 모임, 모음인데 길이나 주제나 숫자별로 경들을 모았기 때문에 경전의 이름이 되었다.보통 5부 니까야(Pañca Nikāya)라해서 5개로 나눈다.
2. 맛지마 니까야(Majjhima Nikāya): '맛지마'는 중간이라는 뜻이다. 즉, 중간길이 모음. 중간길이의 경을 모아놓았다. 152개 경[4]
3. 쌍윳따 니까야(Saṃyutta Nikāya): '쌍윳따'는 소들에게 하나의 멍에를 얹어 연결하다라는 뜻으로, 주제별로 연결하다라는 의미다. 주제별 경 모음. 2889개 경[5]
4. 앙굿따라 니까야(Aṅguttara Nikāya): 1부터 11까지 숫자별 모음. 가장 나중에 만들어졌다. 앞의 3개의 경 내용들을 숫자별로 분류한 거라 중복이 많다. 2308개 경[6]
5. 쿳다까 니까야(Khuddaka Nikāya): 위 네 개에 속하지 않는 15개의 독립된 경[7]
사실 이런 식으로 나눈 이유는 2600년 전인 석가모니 시절에는 기록을 위한 글이나 종이가 발명되지 않았기에 쉽게 전달하는 방법이 노래처럼 운율에 맞추어 외워서 불러야 했기 때문이다( 힌두교의 베다도 마찬가지). 이것들을 모두 노래로 부르려면 시간이 오래 걸리므로 시간 배분상 길이별로 나눈 것으로 보인다. 처음으로 마하가섭과 아난다 등 500명의 아라한들이 모여 이것을 취합한 제1차 결집 때 7개월 정도가 걸렸다고 한다.
하지만 엄청난 양에 압도될 필요는 없다. 각각의 니까야마다 서로 중복된 내용도 엄청 많고
읽는 것에 정해진 순서 같은 것은 없으나 처음이라면 니까야 중 가장 초기에 성립된 경전이면서 분량도 짧은 숫타니파타와 담마빠다로 시작해서[8] 쌍윳따 니까야 순으로 읽는 것을 추천하기도 하고, 반대로 이야기들이 길고 풍부해서 역사, 주변정황과 소소한 것들까지 잘 표현되어 초심자도 쉽게 재미를 느낄 수 있는 디가 니까야와 맛지마 니까야로 시작하는 것을 추천하기도 한다.
한국어판은 한국빠알리성전협회에서 출판되는 판(전재성 역)과 초기불전연구원에서 출판되는 판(각묵스님, 대림스님 역)이 대표적[9]이다.
초불연의 번역은 불가에서 기존에 쓰던 어휘를 많이 활용하여 그것에 익숙한 사람은 더 편한 면이 있고 전체적으로 간명한 인상이고, 빠알리성전협회의 번역은 좀 더 세밀하게 풀어서 표현한 것이 특징이다. 또 한가지 큰 차이는 경에서 반복되는 구문의 처리인데, 초불연은 반복구문들을 생략하여 처리하고 있고, 빠알리성전협회에서는 반대로 최대한 복원하여 싣고 있다. 두 번역판을 직접 비교해본 블로거 # #[10]
[1]
팔리어 경전은 팔리어 삼장(Tipiṭaka)이라고 하는데 경장(Sutta Piṭaka), 율장(Vinaya Piṭaka), 논장(Abhidhamma Piṭaka)으로 구성된다. 니까야는 그중 경장5부를 말한다.
[2]
산스크리트어로는 '아가마'라고 하며 일부 부분들이 산스크리트어로도 발견되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현존 아가마는 한문으로 번역된 아함경으로 남아있다.
[3]
아함경의
장아함경에 상응한다.
[4]
아함경의
중아함경에 상응한다.
[5]
아함경의
잡아함경에 상응한다.
[6]
아함경의
증일아함경에 상응한다.
[7]
상응하는 아함경이 없다.
[8]
쿳다까 니까야에 속해있으나 독립된 경들이라 책은 따로 출판된다.
[9]
일찍부터 번역된 독일 같은 나라에 비하면 늦은 감이 있으나, 우리나라도 두 곳에서 완역을 하여 양 번역을 보완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니, 매우 다행하고도 감사한 일이다.
[10]
해당 블로거는 vevaṇṇa 를 '계급 외의 사람'으로 보았는데, 이러한 해석도 가능하지만 vi-vaṇṇa '색(상)을 여읨, 떠남' 이라는 원문 그대로의 직역에서, 그 vaṇṇa는 계급, 카스트, 와르나의 의미도 가능하나 또한 화려한 색을 가진 의상, 음식 등 재가자의 상태를 말하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저열한 상태'라는 것은 지나친 의역이나 '계급을 여의었다' 역시 원문의 중의적 표현들에서 하나를 선택하고 강조한 의역일 수밖에 없는 것이다. 또한 두 번째 링크에서, 'Jarāmaraṇassa ce bhikkhu nibbidāya virāgāya nirodhāya dhammaṃ deseti, dhammakathiko bhikkhū'ti alaṃ vacanāya' 이라는 문장에서, rāga를 어떻게 볼 것인가 하는 문제에 대해, 욕탐이나 욕망 격정과 같은 의역적 번역을 피하고 싶은 의도가 전재성 박사의 번역에서는 드러나 있고 그것 자체는 받아들일 만한 일이라 하겠다. 그러나 virāga 의 dat/gen 형태의 번역, '떠나, 그것이 사라지고' 라고 하는 것 역시 매우 지나친 의역이 된다. 빅쿠 보디의 영문 번역만을 정설로 볼 수는 없다. 어디까지나 원문을 기준으로 해야 하는 것이다. 만약 어근에 근거한 범어-빠알리어의 뉘앙스와 해석의 접근법을 본인이 잘 모른다고 한다면, 영문 번역판을 기준으로 그것의 빠알리 원문으로부터의 번역이 잘 되었는지 아닌지를 감히 판단내리는 것은 경솔한 태도일 수밖에 없는데, 해당 블로거의 의견이 바로 이러한 경우인 것이다. 전재성 박사의 번역은 dhammakathiko bhikkhū 를 형용사 - 명사 관계보다는 계사가 생략된 주어와 주격 보어의 관계로 해석하였는데, 초불연의 번역은 형용사 - 명사의 관계로 보았고 이는 선택의 문제일 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여기서 '그 수행승은 가르침을 설하는 님(전재성),' '그를 ‘법을 설하는 비구(초불연)’ 모두 '그,' '그를' 이라는 원문에 없는 지시어를 삽입하는 등 의역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