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8 20:26:47

나제관계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신라-백제 관계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신라-후백제 관계에 대한 내용은 신라-후백제 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경주 천마총 장니 천마도.png 신라의 대외관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백제 고구려 가야 발해
태봉 고려 후백제 탐라국
당나라 일본
(삼국시대)
일본
(통일신라)
중동
고조선 · 부여 · 고구려 · 백제 · 가야 · 발해 · 고려 · 조선 · 대한민국
}}}}}}}}} ||


파일:백제 군기.svg 백제의 대외관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고구려 신라 가야 수나라
부여 일본
고조선 · 부여 · 고구려 · 신라 · 가야 · 발해 · 고려 · 조선 · 대한민국
}}}}}}}}} ||


1. 개요2. 역사
2.1. 성립2.2. 초반(백제의 전성기)2.3. 중반(고구려의 전성기)2.4. 파탄(진흥왕 시기)2.5. 종결(신라의 전성기)2.6. 종합
3. 관련 사건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나제관계란 신라 백제의 관계를 말한다. 백제가 멸망한 7세기까지 관계가 있었다.

2. 역사

2.1. 성립

굳이 말하면 명목상 맹주이자 대중국 무역망에서 주요 창구였던 천안 청당동 목지국을 통해 간접적인 관계를 맺었다고 보면 되겠다. 다만 신라 자체인 사로국 거수는 마한왕보다 서열이 아래였고 적어도 기리영 전투 전까진 대중국 무역망에 마한왕 없이 참여할 수가 없었긴 해도 엄연히 진한의 맹주였던 반면, 백제국은 마한왕 아래 있는 거수국이었기에 백제가 적어도 삼한 세계에선 신라보다 서열은 아래였다고 볼 개연성은 다분하다.

그러나 목지국 친위 세력 및 황해도, 강원도 마한 소국들이 낙랑군 및 대방군과 싸워 일종의 양패구상을 당하고 고구려도 이 시기에 관구검에게 일격을 당해 한반도 중부에는 권력 공백이 발생하게 되는데, 물론 신라를 비롯한 진한 세력은 마한 목지국을 제끼고 중국과 직교역하게 되면서 이 상황의 수혜를 꽤 받게 되지만 진한, 목지국, 위나라 모두 미처 예상하지 못했던 현상이 경기도에서 발생하고 있었다. 한강 유역에 위치한 백제국이 삽시간에 경기도 전체를 직접 지배화하더니 위나라에게 복속해 있던 황해도 및 강원도 동부 옛 마한 소국들마저 병탄하면서 그예 3세기 중후반에 목지국을 타도하여 마한 내 서열 자체를 엎어버린 것이다. 기록에는 전혀 나와 있지 않으나, 이런 상황을 그래도 목지국과 꽤 오랫동안 관계를 맺어온 진한 맹주 사로국 거수가 편하게 받아들였을리는 없다.

이런 묘한 관계는 실질적인 무역 이권까지 얽히게 되면서 크게 요동치게 된다. 다만 고고학적으로 볼 때 백제가 신라 혹은 신라의 영향력 아래에 있는 진한 세력들과 직접 강역을 맞대는 시기는 백제 왕실이 계속해서 저항하던 충북 일대 목지국 세력들 해체를 거의 완료하게 되는 비류왕 재위기인 4세기 중반부터가 고작이지만, 삼국사기 문헌은 백제와 신라 모두 그보다 몇 백 년 전부터 직접 교섭하고 전쟁까지 한 걸로 나와 있어 고고학과 일치하지 않는다.

중론은 삼국사기 문헌 기록이 연대는 맞지 않지만 사건들 자체는 신빙성이 높다는 것이므로, 고고학 자료와 맞춰 이해함이 필요하다 할 수 있겠다. 다시 말하면, 백제와 신라의 직접적인 첫 접촉은 백제가 충북과 강원도 일대 마한 소국들에 손을 뻗쳐 진한과 낙랑, 대방군 무역 경로를 다시 막아버린 4세기 초반부터 있었을 개연성이 높다. 이때부터 신라는 백제를 거치지 않으면 낙랑, 대방군 등과 원활한 무역을 할 수가 없는 상황에 또 다시 놓인데다 백제 또한 중개 무역을 공짜로 해줄 리가 없었기에-위만조선이나 마한 목지국이 이런 식으로 중개 무역에서 이권을 챙겼었다-매우 불편한 관계에 놓이게 된다.

현대 고고학계에서는 충주 금릉동 일대에 3~4세기 소재한 친목지국 성향의 마한 거수국이 3세기 백제의 남정 당시 충북 지역에 소재한 여러 마한 거수국들과 함께 4세기 초반까지 저항하다 백제에게 궤멸당한 뒤 사로국으로 망명해 신라 김씨 족단이 되고 4세기 중반 내물 마립간이 사로국의 왕위를 차지했다고 보는데,[1][2] 삼국사기에 나오는 3세기 충북 일대에서 백제와 신라가 충돌했다는 기록이 이것으로 추정된다. 이 가설이 사실일 경우 백제는 김씨 족단을 충주 금릉동에서 서라벌로 도망치게 만든 원수인 셈이며, 백제와 김씨 족단의 갈등이 매우 길었다는 뜻이 된다.

2.2. 초반(백제의 전성기)

이런 상황이었으니 분쟁이 아주 없을 수는 없는 상황이었다. 지리적으로도 그렇고 백제가 황해도일대와 강원도 서부를 점령하면서 충북을 타고 넘어와 경북까지 호시탐탐 노리는 상황. 다만 4세기 중후반부터는 고구려가 세력을 회복하기 시작하면서 백제는 양면전선인 상황이 되었고, 때문에 신라와는 큰 분쟁을 일으킬 수는 없게 되었다. 다만 이때도 백제가 적어도 신라에겐 마한왕 행세는 하지 못했던 게 분명하다. 그보다 훨씬 이전에 마한왕과 박혁거세 사이에 있었던 일화들도 엄연히 삼국사기에 있는 상황에서, 한 번이라도 있었다면 문헌에 자료가 남지 않았을리가 없기 때문이다. 백제가 마한 옛 거수국들과 중국에겐 마한왕을 자처했어도 신라에겐 차마 그러지 못한 것인데, 이유는 당연히 그랬다간 신라에게서 돌아올 수 있는 크리티컬이 너무나도 분명했던 걸로 보인다.

373년에 백제 독산성 성주가 백성 300여 명을 이끌고 신라로 귀순하자 근초고왕 내물 마립간에게 독산성 성주와 백성들을 돌려달라고 국서를 보내자 내물 마립간이 거절한 기록은 있다. 하지만 근초고왕이 첫 접촉을 가진 신라 군주는 내물 마립간 이전의 흘해 이사금으로 유력하게 추정되고 있으므로[3], 이 교섭은 백제가 국세를 회복한 고구려와의 전쟁에서 점차 밀리게 시작하는 근구수왕 혹은 침류왕 때 있었을 개연성이 높다.

2.3. 중반(고구려의 전성기)

중반에는 고구려가 전성기를 누리게 된다. 고구려 광개토대왕은 400년에 신라를 침공한 백제, 왜, 가야의 연합군을 물리쳤고, 장수왕은 남진정책을 펼치며 백제의 수도를 함락시키고, 신라의 영토도 매우 작아지게 만든다. 이 때는 신라 백제가 고구려에 대항하기 위해 나제동맹을 결성하기도 했다. 이 때는 대단히 우호적인 관계였다고 할 수 있겠다. 이 시기에 와선 백제도 신라도 각기 마한, 진한의 잔재를 극복하여 마한, 진한이란 호칭 없이 중국과 직접 통교하던 시기기에 옛 삼한 시절의 관계는 더 이상 문제되지 않게 된다. 무역로를 통한 옛 갈등도 고구려가 아주 노골적으로 백제, 신라, 가야 등을 정복할 것을 숨기지 않던 이 시기엔 아예 거론조차 할 분위기가 아니었다.

2.4. 파탄(진흥왕 시기)

나제동맹으로 신라와 백제는 한강 일대를 되찾게 된다. 이 때 한강을 신라 영토와 백제 영토로 양분하였는데 신라의 진흥왕은 백제 영토였던 한강을 점유한다.[4] 백제의 성왕이 다시 한강을 얻으려고 관산성 전투를 일으키지만 결국 성왕은 전사한다. 이 이후 백제의 국력이 바닥을 치게 된다. 이 때는 당연히 사이가 매우 안 좋았다.

2.5. 종결(신라의 전성기)

신라의 전성기 때는 신라는 당나라와 동맹을 맺고 백제를 치게된다. 백제 황산벌 전투에서 잘 싸웠지만, 50000명의 신라군을 이기지 못하고 백제는 신라와 당나라에게 멸망한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국가 멸망/사례 문서
1.14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6. 종합

신라와 백제는 처음엔 묘한 갈등이 있었다가 고구려 전성기 때는 살아남기 위해 손을 잡아 나제동맹을 맺어 그보다 더 가까운 우호 관계가 없을 정도로 교류를 가졌다. 그러다 관산성 전투를 기점으로 해서 완전히 돌변해 원수 같은 관계가 되었다가, 신라에게 멸망당해 두 나라의 대결은 종지부를 찍게 되는 듯 했다. 그러나 그로부터 약 230년 후 백제가 신라 장수 견훤의 손에 부활하면서 지나치게 가까워 오히려 원수 같게 되는 아이러니한 나제 관계가 또 시작된다. 후삼국시대 신라-후백제 관계가 원삼국시대 백제국-목지국의 관계와 거의 같은 것 또한 흥미로운 부분. 백제가 목지국을 급습해서 본류 세력을 탄압해 해체하고 근처 용원리에 옛 목지국 분가를 남겨놓아 협조하게 만들어놓았는데, 후백제 또한 서라벌을 급습해서 당시 박씨 왕실을 해체한 다음 김씨 왕실을 되살려 본인들에게 협조하게 해놨던 것이다. 다만 이렇다할 지원받을 세력이 없었던 목지국 세력에겐 그냥 소멸해서 백제 대성팔족으로 흡수되는 길밖엔 없었으나, 신라에겐 내물 마립간이 했던 것처럼 고(구)려의 원군을 부를 선택이 있어 상황을 바꾼 게 다른 점이었을 뿐.

3. 관련 사건

4. 관련 문서



[1] 사서에는 기록되지 않고 신라 금석문에만 나오는 태조 성한왕이 원래는 금릉동 마한 거수국의 건국 시조였으리라 추정된다. [2] 이들의 저항으로 인해 백제는 충청남도 일대는 빠르게 복속시켜 일찍부터 전라북도까지 남하하지만 충청북도 일대는 더 이후에 정복한다. [3] 한성백제박물관 백제사 시리즈 2~3권 참조 [4] 물론 이에 대한 이견도 있다. 자세한건 신라의 한강 유역 점령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