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6 17:30:09

길소뜸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81818><tablebgcolor=#181818>
임권택 감독 장편 연출 작품
,(1980년 이후 제작),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90deg, #181818, #181818, #181818, #181818);"
{{{#181818,#e5e5e5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font-size: .7em;"
파일:짝코.png 파일:복부인임권택.png 파일:만다라.png
짝코 (1980) 복부인 (1980) 만다라 (1981)
파일:우상의눈물.png 파일:아벤고공수군단.png 파일:안개마을.png
우상의 눈물 (1981) 아벤고 공수군단 (1982) 안개마을 (1982)
파일:오염된자식들.png 파일:나비품에서울었다.png 파일:불의딸.png
오염된 자식들 (1982) 나비품에서 울었다 (1983) 불의 딸 (1983)
파일:흐르는강물을어찌막으랴.png 파일:길소뜸.png 파일:티켓(임권택).png
흐르는 강물을 어찌 막으랴 (1984) 길소뜸 (1985) 티켓 (1986)
파일:씨받이.png 파일:연산일기.png 파일:아다다.png
씨받이 (1986) 연산일기 (1987) 아다다 (1987)
파일:아제아제바라아제.png 파일:장군의아들.png 파일:장군의아들2.png
아제 아제 바라아제 (1989) 장군의 아들 (1990) 장군의 아들 2 (1991)
파일:개벽.png 파일:장군의아들3.png 파일:서편제.png
개벽 (1991) 장군의 아들 3 (1992) 서편제 (1993)
파일:태백산맥(임권택).png 파일:축제(임권택).png 파일:노는계집창.png
태백산맥 (1994) 축제 (1996) (노는계집 창) (1997)
파일:춘향뎐.png 파일:취화선(임권택).png 파일:하류인생.png
춘향뎐 (2000) 취화선 (2002) 하류인생 (2004)
파일:천년학.png 파일:달빛길어올리기.png 파일:화장(임권택).png
천년학 (2007) 달빛 길어올리기 (2011) 화장 (2015)
상세정보 링크 열기
1980년 이전 제작
}}}}}}}}}}}}}}}}}} ||
파일:백상예술대상로고(1).png
파일:baeksangartsawards4.png
영화부문 대상
제21회
( 1985년)
제22회
( 1986년)
제23회
( 1987년)
깊고 푸른 밤 길소뜸 달빛 사냥꾼
영화부문 작품상
제21회
( 1985년)
제22회
( 1986년)
제23회
( 1987년)
깊고 푸른 밤 길소뜸 달빛 사냥꾼
길소뜸 (1986)
Gilsodom[1]
<nopad> 파일:길소뜸 포스터.jpg
<colbgcolor=#444><colcolor=#fff> 감독 임권택
각본 송길한
기획 김재웅
제작 박종찬
주연 김지미, 신성일, 한지일
촬영 정일성
조명 강광호
편집 박순덕
음악 김정길
미술 김유준
제작사 ㈜화천공사
개봉일 1986년 4월 5일
개봉관 대한극장
관람인원 104,796명
1. 개요2. 출연진3. 줄거리4. 수상5. 기타

[clearfix]

1. 개요

사회적 센세이션을 일으켰던 KBS 1TV 이산가족을 찾습니다를 소재로 한 임권택 감독의 1986년 개봉 영화.

흔히 예상하는 바와 달리 이 영화는 가족 상봉의 기쁨이나 감동을 그리는 것이 아니라 "그들은 만나서 정말 행복했을까"라는 다른 질문을 던진다. 30년이라는 세월의 간극은 그들을 하루아침에 한 가족으로 묶을 수 없으며 그들이 살아온 삶과 생활이 더 중요하다는 인식을 심어준다. 군더더기를 제거하고 감정을 절제하면서 냉정하게 현실을 직시하고 인정하는 리얼리즘 영화의 면모를 보인다.

2. 출연진

3. 줄거리

이산가족찾기가 한창인 1983년 여름, 화목하고 부유한 가족을 꾸려나가던 화영( 김지미)은 남편( 전무송)의 권유로 방송국에 아들을 찾으러 가다가 회상에 젖는다. 화영은 해방과 함께 황해도의 작은 마을 길소뜸으로 이사를 가서 고아( 이상아-어린 화영)[2]가 되고, 아버지 친구 김병도와 함께 살다가 자신을 따뜻하게 감싸주는 김 씨의 아들 동진( 김정팔-어린 동진)과 사랑하게 된다. 비 오던 날 둘은 사랑을 나누고 화영은 아이를 낳지만, 한국 전쟁이 일어나고 운명이 서로 엇갈리며 만날 수 없게 된다. 화영은 우연히 여의도 만남의 광장에서 아들을 찾다가, 자신의 목숨을 구해준 사람의 딸( 오미연)과 결혼하고서도 가족을 버려두다시피 하고 화영을 기다리며 살아온 동진( 신성일)을 만나게 된다. 둘은 자신의 부모를 찾고 있던 석철( 한지일)을 만나고 그가 자신들의 아들임을 감지한다. 화영과 동진은 석철을 찾아가지만 화영은 바닥 인생을 살아온 석철의 무례한 행동에 이질감을 느낀다. 석철의 흉터와 유전자 친자 확인으로 석철이 아들임이 거의 확실해지지만, 화영은 완전한 확증이 아니라면 믿지 못하겠다며 이를 거부하고 돌아선다. 화영이 준 남편의 명함을 쓰레기통에 버리며 동진 역시 힘없이 돌아선다. 차를 타고 달리던 화영은 잠시 멈춰 서서 눈물을 흘리지만 다시 제 갈 길로 떠난다.

4. 수상

5. 기타



[1] 1986년 베를린 국제 영화제 출품시에도 'Gilsodom' 표기를 사용했다. # 다만 현재는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에 따라 'Gilsoddeum'으로 표기하는 경우가 많으며 영어판 위키백과 IMDB에서도 'Gilsoddeum'으로 표기하고 있다( 영어 위키백과, IMDB). [2] 화영을 제외한 부모님과 두 동생이 전염병인 호열자로 의해 사망했다. [3] 단, 영화에선 뒷모습만 노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