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ffc600><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 }}} | |||
[[틀:광주광역시의 급행버스|
급행 ]] [[틀:광주광역시의 간선버스|간선 ]] [[틀:광주광역시의 지선버스|지선 ]] [[틀:광주광역시의 마을버스|마을 ]] [[틀:광주광역시의 수요응답형 교통체계|수요응답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일곡10 | 수완12 | 선운14 | 지원15 | 매월16 |
진월17 | 문흥18 | 송정19 | 첨단22 | 첨단23 | |
지원25 | 매월26 | 봉선27 | 일곡28 | 송정29 | |
첨단30 | 송암31 | 금호36 | 봉선37 | 일곡38 | |
문흥39 | 지원45 | 금호46 | 송암47 | 운림50 | |
운림51 | 운림54 | 금남58 | 금남59 | 첨단95 | |
송정98 |
1. 노선 정보
광주광역시 간선버스 운림54번 | |||||
|
|||||
기점 | 광주광역시 동구 운림동(무등산국립공원(증심사)) | 종점 | 광주광역시 북구 매곡동(대한적십자사) | ||
종점 행 |
첫차 | 05:40 |
기점 행 |
첫차 | 05:40 |
막차 | 22:40 | 막차 | 22:40 | ||
평일배차 | 5~10분 | 주말배차 | 7~10분 | ||
운수사명 | 대창운수 | 인가대수 | 22대[1] | ||
노선 | 무등산국립공원(증심사) - 운림중 - 홍림교 - (→ 학동무등파크 →/← 학동평화맨션 ←) - 학동증심사입구역 - 조선대병원 - 전남대병원/남광주시장 - 동구청 - 전남여고 - 대인시장(동) - 광주고/4.19역사관 - 동강대학교 - 서방시장(남) - 말바우시장(동) - 무등도서관 - 도로교통공단대신파크 - 오치한전 - 북부경찰서 - (→ 광주공고 →/← 용봉주공 ←) - 매곡대화아파트 - 대한적십자사 |
2. 개요
대창운수에서 운행 중인 간선버스 노선. 전체 정류장 목록3. 역사
- 구 27번이 전신이다.
- 2006년 개편 때 번호만 지원54번으로 바뀌었다.
- 2011년에 증심사가 기종점인 버스들의 권역번호가 '지원'에서 '운림'으로 바뀌면서 운림54번으로 바뀌었다.
- 시기 미상으로 지선버스에서 간선버스로 전환되었다.
- 2019년 7월 1일에 수완03번의 증차로 인하여 1대가 감차되었다.
4. 특징
- 구 27번과 비교하면 배차간격이 4~5분에서 5~7분, 2019년 경 다시 평시 8~9분으로 약간 벌어지긴 했지만, 다른 시내버스 노선들과 비교했을 때 여전히 짧은 편이라 수요가 좋은 노선이다.[2]
- 급행간선노선과 다를 바 없는 배차간격[3]과 거의 올곧은 선형을 자랑하지만 왕복 인가거리가 짧은 편에 회차지의 성격상 지선으로 인가되었...으나, 2013년부터 모든 차량이 간선도색으로 재도색되면서 사실상 간선 취급... 그래서 본 노선에 다니는 차는 전부 노란색이다.
- 전남대학교를 지나가긴 하지만 대수요처인 전대후문이나 정문을 지나지 않으므로 대학생 통학버스로는 힘들지만, 운림중, 조대부고, 전남여고, 광주고, 동신중/여중/고/여고, 문화중, 광주공고 등의 학교와 광주의 대표 전통시장인 대인시장과 남광주시장, 서방시장, 말바우시장을 끼고 있어 주거지와 해당 학교, 상업시설을 잇는 수요가 많은 편이다.
- 더 놀라운 점은 광주 버스 중 이용객 수 상위권에 드는 이 노선이 정작 중심 상권 중 그나마 근접해서 지나가는 충장로, 전대후문 둘 다 간발의 차로 비껴간다는 것이 재미있는 점이다. 금남로에서 한 블럭 북동쪽에 있는 전남여고와, 전대후문 권역의 북쪽 끝이라 할 수 있는 면앙로를 각각 경유하므로 흔히 생각하는 충장로, 전대후문과는 약간 떨어져있다. 매곡동에서 타서 충장로, 전대후문 바로 앞에 내리고 싶다면 진월07로 환승해야 한다.
- 도로사정이 영 좋지 않은 매곡동 지역과 구도심지역을 연결하는 노선이기 때문에 출퇴근길에는 난폭운전이 심한 편이다. 또, 출근시간에는 매곡동대화아파트, 삼익아파트를 지나면 이미 만차가 되어 버리고 이후로는 거의 99%의 확률로 입석승객이 발생한다. 특히 지나가는 중고등학교가 많아 등/하교 시간에는 입석도 없어 앞문에 매달리다시피(!) 가는 경우도 상당히 자주 있다. 또한 증심사 종점 버스답게 무등산국립공원 등산객들 수요도 당연히 책임진다.
- 반면 등하교 시간 이외에는 종일 한산하기 때문에 전남대학교 학생들은 중고등학교 등하교 시간 피해서 수강신청만 잘하면 앉아서 갈 수 있다. 도로교통공단/대신파크 정류장에서 내려서 좀만 걸으면 북문이 나온다.[4]
- 광주 시내버스에서 평균 배차간격이 가장 짧으며 운행횟수가 가장 많다. 그래서 빗자루질이 굉장히 자주 일어나는 노선이다. 공식 배차간격은 7분이지만 5분마다 1대씩 올 때도 많다.[5] 광주 시내버스에서 진월07번과 배차간격 투탑을 차지하고 있는 노선이다.[6]
- 그렇지만 진월07번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는 이유는 승객의 승하차 흐름이 좋지 못하기 때문이다. 진월07번은 충장로, 전남대 두 군데에서 크게 승객 물갈이가 이루어지지만 이 노선은 전남대학교 북쪽 끝을 스치는 것을 제외하면 딱히 이렇다 할 대수요처가 없고 동구와 구도심, 북구 매곡동을 이어주는 게 전부라 계속해서 적은 수의 승객이 타고 내리기 때문이다.
- 이 노선과 구 27번은 번호, 간선 전환, 저상버스 투입을 제외하면 코스에 큰 차이가 없다. 2006년 대개편의 와중에서 노선이 전혀 바뀌지 않고 살아남은 유일한 간선급 노선.[7]
- 증심사 방면에 한정해서 다른 노선들이 멈추는 오치한전 정류소에 멈추지 않고, 오치한전(북)이라는 개별 정류소에 정차한다. 이 곳에는 일곡180도 정차했으나, 노선 폐지로 인해 운림54만 정차중였다가 이후 신설된 마을788번이 기존 오치한전 정류소와 함께 해당 정류소도 정차한다. 오치한전 정류소와는 약 150m(2~3분)정도 떨어져 있다.
- 2022년 말 BIS상의 종점 명칭이 전남공무원교육원에서 대한적십자사로 변경되었다. 종점이 변경된 것이 아니고 종점은 그대로인데 2021년 1월에 전남공무원교육원이 전라남도 인재개발원으로 명칭 변경 후 동년 4월에 강진군으로 이전해 전남공무원교육원과 같은 자리에 위치해 있던 대한적십자사 광주전남지사로 명칭만 뒤늦게 바뀌게 된 것. 명칭 변경 이후 버스 LED 행선판과 측면 행선판에는 전남공무원교육원으로 기재되어 있었지만, 이후 순차적으로 개정되었다. 다만 안내방송은 여전히 전남공무원교육원이라고 나온다.
5. 사건사고
5.1. 광주광역시 동구 학동 철거건물 붕괴 사고
자세한 내용은 광주광역시 동구 학동 철거건물 붕괴 사고 문서 참고하십시오.6. 연계 철도역
[1]
공휴일 19대.
[2]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노선 이용객 수(순수 이용객, 환승 이용객, 광역환승 이용객) 5위를 차지하는 노선이다.
[3]
평시에도 2대씩 붙어다니는 일이 자주 일어난다!
[4]
이 때문에 전대 공대생들은 보통 북문을 대신파크라고 부른다.
[5]
이는 정체구역인 말바우시장 일대를 지난 계림동, 동강대 근처로 여러 차가 몰려오기 때문에 발생하는 일이다.지선 시절에도 서방사거리에서 제일 자주오고 간선이 된 지금도 제일 자주 오는 버스다.
[6]
다만 진월07번은 운림54번에 비해 배차간격이 벌어지는 일이 더 잦다.
[7]
2006년 이전과 이후 노선이 동일한 버스들은 이 노선을 제외하면 지선, 그 중에서도 시계외노선이나 공영노선 같은 것밖에 없다. 그게 아니면
구 1번,
구 20번,
구 222번과 같이 없어졌다가 부활한 노선들. 사실
구 51번과
구 60번도 있긴 한데, 구 51번-일곡28번은 종점을 서광주역으로 바꿨다가 민원크리 맞고 다시 매월동 종점으로 돌아갔고, 구 60번-송정19번은 처음에는 번호만 바뀌었지만 그 놈의 송정리 구간이 이리 바뀌고 저리 바뀌다 겨우 지금과 같이 정착한 케이스이다.
[8]
증심사 행은 기존과 동일하게 계림사거리 정류소에 정차한다.
[9]
동구청 정류장에서 도보로 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