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7 21:10:02

공군지능정보체계관리단

공군중앙전산소에서 넘어옴
대한민국 공군
직할 독립부대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공군본부 예하
파일:항공우주의료원 부대마크.svg 파일:중전소.png 파일:공군기상단.png 파일:사이버방호지원단.png 파일:항공안전단.png
항공우주의료원 지능정보체계관리단 기상단 사이버작전센터 항공안전단
파일:공군항공우주전투발전단_마크.svg 파일:공군군사경찰단.png 파일:공군검찰단2.png 파일:공군수사단_발퀄.png 파일:공군전력지원체계사업단_low.png
항공우주전투발전단 군사경찰단 검찰단 수사단 전력지원체계사업단
파일:공군역사기록관리단_마크.png 파일:공군대학_마크.png 파일:공군군악의장대대_마크.png 파일:제7항공통신전대_마크.svg 파일:제35비행전대.png
역사기록관리단 공군대학 군악의장대대 제7항공통신전대 제35비행전대
파일:공군시험평가단마크.png 파일:제53특수비행전대 부대마크.svg 파일:제91항공공병전대마크.png
시험평가단 제53특수비행전대 제91항공공병전대
작전사령부 예하
파일:공군작전사령부근무지원단.png 파일:공군작전정보통신단_마크.png 파일:공군항공지원작전단_로고.png 파일:항공정보단.png
작전사령부 근무지원단 작전정보통신단 항공지원작전단 항공정보단
공중전투사령부 예하 공중기동정찰사령부 예하
파일:제29전술개발훈련비행전대.png 파일:제38전투비행전대 부대마크.svg 파일:6th_SAR_1600px.png 파일:제28비행전대.png 파일:제51항공통제비행전대부대로고.png
제29전술개발훈련비행전대 제38전투비행전대 제6탐색구조비행전대 제28비행전대 제51항공통제비행전대
군수사령부 예하 교육사령부 예하 공군사관학교 예하
파일:제60수송전대 부대마크.svg 파일:공군교육사령부_마크.png 파일:공군교육사령부_마크.png 파일:55전대.png 파일:공사근지단.png
제60수송전대 교육사령부 기지지원전대 교육사령부 기지병원 제55교육비행전대 공군사관학교 근무지원단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공군의 편제
※둘러보기: 공군의 비행단 | 공군의 여단
}}}}}}}}} ||

공군지능정보체계관리단
空軍知能情報體系管理團
Air Force Intelligence Information Systems Management Group
파일:중전소.jpg
<colbgcolor=#2F9AFF><colcolor=#fff> 창설일 1988년 8월 1일 (공군중앙전산소)
2014년 12월 1일 (공군정보체계관리단)
2024년 1월 (공군지능정보체계관리단)
약칭 (공군)체계단
소속 대한민국 공군
상급부대 공군본부
종류
역할 대한민국 공군의 인트라넷/인터넷 체계 개발, 운영 및 서버관리, 공본지역 전산 관리
단장 대령 이강희 (공사 44기)
주임원사 원사 김시완 (부사후 174기)
위치 충청남도 계룡시 신도안면 계룡대

1. 개요2. 특징3. 생활관4. 편제
4.1. 계획운영과4.2. 체계관리과4.3. 체계운영대4.4. 체계지원대4.5. 체계개발대
5. 병사용 체계
5.1. 당직병용 체계5.2. 영내병체계
6. 기타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공군의 부대이며, 계룡대에 위치한 대한민국 공군본부 직할 급 부대이다.

이전에는 공군중앙전산소라고 불리었으나, 2014년 12월 공군정보체계관리단으로 부대명칭 및 편제가 변경되었다. 국방부의 지침에 따라 각 군 전산부대의 명칭을 통합한 것이다. 2015년 이전, 육군은 '정보체계관리단'이라는 이름으로 해군과 공군은 '중앙전산소'라는 이름으로 전산부대를 운영했지만, 2015년 이후, 통일하여 (육,해,공)군 정보체계관리단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이후 2024년 현재에는 지능정보체계관리단으로 변경되었다. 육군의 경우에는 지능정보기술단, 해군의 경우 지능정보체계단으로 변경되어 삼군이 비슷하면서도 다른 이름을 갖게 되었다.

공군본부뿐만 아니라 공군 전체에서 사용하는 각종 인트라넷 인터넷의 웹 서비스를 개발, 운영하고,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서버 관리도 수행한다. 또한, 공군 본부 지역의 각종 전산장비 운영도 함께 관장한다. 한마디로 공군의 SI 업체라고 보면 정확하다. 따라서 3군의 전산소가 모두 주둔한 계룡대의 통신대대에는 전산관련 직무, 직능이 없다.

2. 특징

공군 특기 중 정보통신 관련 병과, 특히 정보체계관리 병과를 가진 장교, 부사관, 병이 가장 많이 배속되는 부대이다. 기타 병과를 가진 사람들은 타부대에 비하면 비교적 적다. 한마디로 전산을 위해 특화된 부대이다.[1] 하지만, 체계단이라고 해서 전산 업무만 하는 것은 아니고 공군본부의 각 부서 사무실로 파견을 가서 행정병처럼 생활하는 병사들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전문적인 컴퓨터 실력은 커녕 워드와 엑셀, 더불어 커피를 타는 실력만 잔뜩 쌓고 제대한다. 이 병사들은 아래 후술하는 정보화지원중대로 소속된다.

어지간하면 국방일보, 혹은 공군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뉴스레터 이외에는 잘 등장하지 않았고, 일반인들도 잘 모르는 것이 보통이었지만 공군 ACE가 이 부대 안에 창설되면서 언론에 노출되는 빈도가 높아졌다. 인트라넷을 매의 눈빛으로 헤매는 군덕후들에게는 다른 의미에서 중요한 부대인데, 공군본부 커뮤니티를 운영하는 부대도 바로 이 부대이다. 그리고 병사들의 일과 중 IT정보 갈증 해소창구인 IT정보 업데이트 담당도 여기 개발대에서 맡았었다.[2]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고려대학교, KAIST, POSTECH 등 명문대 출신의 병사들이 꽤 많다. 주말마다 C언어, Java 등 개인적으로 컴퓨터 언어를 공부하는 병사들도 많았다.

공군기본군사훈련단에서 기본군사훈련을 마치고 정보체계관리 특기를 부여받으면 공군정보통신학교에서 특기 교육을 받는데, 교관을 맡은 부사관이나 장교들이 '전산의 꽃'이라고 극찬(?)하는 부대이기도 하다.(...)[3] 덕분에 배속지를 결정할 때 경쟁이 매우 치열하다. 그렇지만 간혹 특정 기수에서는 특기학교 뒷자리대도 오고, 가끔 4지망이 오는 경우도 있는데, 계룡대 근무라는 얘기만 듣고 체계단을 국직부대로 오해하여 오히려 지원이 적은 경우도 존재한다. 계룡대에서의 근무를 노릴 수 있는 의외의 루트 중 하나인데, 배속지에 대한 정보를 잘 안 알려주기때문에 배속받은 후에 그런 곳인 줄 알았다는 사람도 제법 있다.

2018년 기준으로 공군의 상용정보통신기기 허용 범위가 태블릿 PC로 확장되자 병사들끼리 해커톤을 준비하거나, 일과 후 유니티엔진, 함수형 언어, 파이썬, 포토샵, 세미나 등 자체적인 강의와 스터디를 진행하였다. # # 그러나, 2019년 11월 키보드 등의 소지가 불가해짐에 따라, 현행 문화를 지속하기는 어려워졌다. 스탠드, 모니터 뿐만 아니라, 책상, 공군기본군사훈련단에서 허용된 베개, 기본적인 상비약조차 소지하지 못하게 되었다. 2020년 4월 새로운 주임원사님이 전입 온 이후, 일부 제품에 한하여 다시 반입을 허용하여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2020년 5월부터는 윈도우 태블릿 반입이 금지되어 개발환경에 있어 제약적인 요소가 존재하게 되었다.[4]

3. 생활관

이 부대가 사용하는 생활관은 독립된 것이 아니라, 정확하게 말하자면 계룡대 근무지원단의 공군 쪽 건물을 빌려서 사용한다. 2012년 건물을 리모델링[5]하느라 병사들이 약 6개월 동안 컨테이너에서 생활을 했다. 리모델링 후에는 침상에서 침대로 교체되어서, 한 생활관에 12~15명이던 정원이 7~8명으로 축소되었고, 그로 인해 생활관 수가 크게 늘어나 공군 생활관 건물의 2~3층을 체계단에서 사용하게 되었다.[6]

중전소 시절에 제작된 레미제라블의 패러디 레 밀리터리블의 배경으로 당시 생활관이 사용되었다. # 또한 공군 공감을 운영했던 공감팀의 병사도 당시 생활관에 있어서 많은 배경 및 엑스트라로 활용되었다. 참고로 레 밀리터리블 영상에서 나오는 장소는 계룡대의 비상활주로로 22전투비행단은 존재하지 않는다. 22전투비행단으로 정한 이유는 영화 R2B에서 21을 사용했기 때문에 +1 더한 것이다.

2017년 11월 말에 모든 생활관에 냉장고와 새로운 쓰레기통이 보급되었다. 기존의 3층에 냉장고 2대를 통해서 모두가 사용하던 것과 달리 각 생활관 별로 냉장고를 사용하게되고 인원이 많은 만큼 쓰레기가 많이 나오는데 비해 크기가 작아서 사용하기 불편했던 쓰레기통의 단점을 보완해[7] 새로운 쓰레기통을 같이 둠으로써 생활관 내의 복지를 향상시켰다.

여담으로 체계단 '생활관'은 소수 타부대 병력도 함께 생활한다. 해당 타부대 병력만으로는 부대 인원이 너무 적어 따로 부대구성 및 생활관 구성을 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 경우 대부분 체계단 부대원과 한 가족이 되어, 기수에 따른 선후임 관계를 가지며 아저씨고 뭐고 없다.[8]

4. 편제

4.1. 계획운영과

체계단의 모든 살림을 하는 부서이다. 편제, 부대운영, 보급, 예산, 보안 업무 등을 담당하며 특히 공군본부 파견 병사들의 본대 소속인 정보화지원중대장의 소속이기도하다. 특이사항으로는 전산/개발 부대이지만 전산병이 아닌 행정/총무 병과 등의 특기가 존재한다.[9] 병사들의 휴가, 외박 등 민감사항을 다루고, 부대의 모든 지침을 결정 및 관리하는 곳이다 보니 업무량이 많다. 또한 부서 특성 상 타부서 사람들의 문의,요구,항의 전화가 수없이 많이 오기 때문에 사람 때문에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부서이다.

4.2. 체계관리과

개발하는 체계의 기술 검토, 개발 계획, 유지보수와 폐기 등을 관리하는 부서이다.

4.3. 체계운영대

말 그대로 전산체계와 장비를 운영하는 곳이다. 아래 후술되는 개발대가 일반 SW 회사의 웹/앱 유지보수 부서에 해당된다면 운영대는 인프라 운영 부서에 해당된다.

4.4. 체계지원대

4.5. 체계개발대

체계단의 꽃으로 불리는 곳으로 SI업무를 보는 곳이다. 신기술체계개발팀, AI/데이터개발팀, 자원관리체계발팀, 전자행정체계관리팀이 있다. 아래에 서술된 기술을 이용한 개발을 '병사들이 다 할 수 있나?'라고 생각할 지도 모르지만 진짜 병사들이 다 한다. 개발대에 배속받는 병사들은 전공, 지원서, 면접과 경험들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배속받는다.

5. 병사용 체계

병사가 개발자로 이루어진 부대답게 체계단 병사 전용 체계도 있다.

5.1. 당직병용 체계

5.2. 영내병체계

6. 기타

7. 둘러보기



[1] 그렇다고 타 특기가 아예 없지는 않다. 후술하겠지만 전산 관련 업무 외의 역할로 근무할 병사와 타 부대에서 파견 온 병사들( 공군사관학교 공군군수사령부 소속으로 구성)이 정보체계관리단으로 파견와서 근무하기 때문에, 타 특기들도 존재한다. 하지만 90% 이상이 전산이다. [2] 특정 시점 이후, 해당 직무는 공군연구분석평가단으로 업무가 이관되어 해당 병사도 자대가 변경되었다. [3] 사실 이곳 말고도 공군마다 분야는 다르지만 비슷한 업무를 하는 곳들이 존재한다. 공군 군수전산소 공군작전정보통신단(舊 작전전산소) [4] 공군 내에서 유일하게 윈도우 태블릿을 반입한다는 소문이 나다보니 공군본부 차원에서 형평성을 위해서 제한했다는 썰이 있다.(...) [5] 리모델링 이전의 생활관 모습은 링크에 있다. # [6] 참고로 1층은 공군군사경찰단, 공군항공우주전투발전단(舊 공군연구분석평가단), 공군역사기록관리단 소속 병사들이 사용하게 되었다. [7] 여담으로, 생활관 뒤편에 재활용품들과 쓰레기를 넣은 봉지들을 임시로 보관하는 창고가 있는데 2017년 12월까지만해도 쓰레기의 양이 너무 많아서 입구 문을 열 수 없을 정도로 들어가기조차 힘든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그런데 창고를 담당하는 병사가 바뀌면서 몇 개월 만에 그 많은 양의 쓰레기들을 처리해서 창고를 완전히 비운 적이 있었다. [8] 이 문단은, 논란의 소지가 있다, 첫째로. 소수 타부대 병력 중 타군(공군이 아닌 육,해,해병대,국직부대)이 생활관을 빌려쓰고 있으며, 이에따라 체계단과의 별개의 기수 , 선후임 및 아저씨 관계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9] 다만 후술할 정보화지원중대에 총무 병과를 포함한 다양한 특기들이 존재한다. [10] 서버가 발생시키는 열은 PC랑 차원이 다르다. 대부분이 서버 하나에 여러개의 CPU를 사용해서 PC에서 할 수 없는 고성능 연산을 주 업무로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서버에 따라 공기가 통하는 방식이 다르다. 앞에서 찬 공기를 빨아들여 뒤로 열을 내뿜는 것, 밑으로 찬 공기를 빨아들여 위로 열을 뿜어내는 것들도 있다. [11] 대표적으로는 개인 USB메모리를 들고와서 인트라넷망에 웜바이러스를 유포시킨 일이 있었다. 고의로 유포시킨 건 아니지만 워낙 큰 사건이라 외부에 알려져서 기사화되기도 하였다. [12] 파견 근무지가 유일하게 공군본부 소속이다. [13] 대부분 총무 특기와 항공통제 특기를 가지고 있다. 개발대에 가지 못하거나 가지 않은 정보체계관리 특기도 있다. [14] 체계단 소속 병사들이 근무하는 곳은 기획관리참모부, 인사참모부, 정보작전참모부, 공보정훈실, 법무실 등이 있다. [15] 병사들뿐만 아니라 부사관들도 전속 부관으로 파견 근무하는데 부사관들은 부, 실장실에서 근무한다. 참모총장실, 기획관리참모부, 인사참모부, 정보작전참모부, 군수참모부, 감찰실에 근무하는 전속 부관들은 원소속이 체계단이다. [16] 진급관리과, 인재개발교육과, 병영정책과, 전직지원정책과가 있다. [17] 특히 암호를 많이 틀려서 잃어버린 인트라넷 계정 패스워드 찾아달라는 문의가 많다. [18] 스탠드 얼론이다. [19] 12개였던 생활관이 최대 25개로 늘어났다. [20] 그래서 유일하게 크롬으로만 돌아가는 IE 안티사이트였지만, 이후 후임들의 개발로 IE에서도 돌아가긴 했다. 대신 모양이 별로였다. [21] 야근이나 기타 사역을 할때마다 가점을 주는데 가점을 30점 모으면 포상 휴가를 딸 수 있다 [22] 병사가 병영 내에 많아서 병사가 아닌 모든 사람을 영외자라 부른다. 부사관, 장교, 군무원도 포함된다. [23] 업무용으로도 쓰지만 잡담용이 많은 건 사실이다. [24] 사이트를 띄워놓으면 쪽지 팝업이 뜨면서 쪽지를 읽는 방식, 수신 확인 및 단체 쪽지 기능도 있었으며, 읽지 못한 쪽지는 홈 위젯에서 확인이 가능했다. [25] 공군 670기 부실장이 개발했으나 미처 다 완성하지 못하고 제대했다. 후임인 공군 676기 부실장이 프로그램을 완성하여 운영했다. [26] 뻔한 얘기지만 멋대로 나가는 건 미친 짓이고 사무실 사정과 선임 병사의 허락이 있어야 한다. [27] 외박 담당 부실장 병사, 보통 개발실 병사가 한다. [28] 생활관 분위기나 시설을 미리 둘러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