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1 13:08:46

계보학

1. 개요2. 설명

1. 개요

/ Genealogy

족보 가문, 씨족, 혈통을 연구, 보존, 정리하는 학문으로 줄여서 보학(譜學)이라 하기도 한다.

2. 설명

주요 가문들의 혈연과 족보를 연구하고 정리하는 학문으로 과거 양반, 귀족들의 필수덕목이자 주요 학문으로 여겨졌다. 어느 가문의 누구인지, 어느 가문과 어떤 관계인지 이런 관계와 내력을 자세히 알고 있어야 혼인이라던가 정치적 관계를 맺기 쉬웠기 때문이다.

특히 족보가 크게 발전하였던 조선 시대에는 가문배경에 관한 요건이 사회생활을 하는 데 있어서 절대적 비중을 차지하였고, 이것은 이른바 양반의 자격을 결정하는 기준이 되기도 하였다. 따라서 자기 집안 뿐만 아니라 타집안의 계보도 해박하게 알아두는게 중요했고 이런 것이 사대부의 중요한 덕목이었다. 따라서 '보학에 밝다' 라는 칭찬은 큰 가치를 가진 중요한 칭찬이었다. 근세까지 그런 칭찬은 중요했는데 황실도 예외는 아니어서 순종황제가 보학에 밝은 것으로 이름이 높았다.

이런 계보학은 한국이나 동양 뿐만 아니라 서양에도 비슷한 것이 있는데, 대표적으로 중세에는 계보에 따른 각 귀족들의 상징인 문장의 관리를 시작으로 가문 계보를 추적하고 귀족 자격을 심사하던 문장관이 있었고, 이들은 전쟁터에서 각 가문의 문장을 보고 분석하여 전령이나 일종의 심판 역할을 하였다. 이들은 깃발이나 방패에 새겨진 가문의 문장을 보고 어떤 가문인지 바로 알아 맞춘다든가 어떤 귀족이 참전했으며 그들의 계급이나 혈통이 어떤지 추론하였을 뿐만 아니라 각 교전세력의 문장관이 함께 모여 전장을 관찰하면서 승패를 가리는 역할을 하였다.[1] 이렇듯 중세 시절의 외교사절 겸 고위층 신분조사원 등의 역할을 맡아서 나름 중요한 직책이었다. 그래서 그러한 문장관 지위 중 하나인 해럴드(harold; herald)가 아예 성씨 이름으로 쓰이기도 했다. 동양에서도 군주나 장군들이 친정에 나섰을 때 적의 깃발이나 문장을 보고 적이 어디 소속의 어떤 장수인지 알려주는 역할을 하는 군사 등 신하들을 데리고 다녔다.

또한, 이러한 전통으로부터 문장학(Heraldry)이라는 학문이 탄생하였는데, 특히 무엇보다도 중요한 정략결혼으로 인한 혼인 동맹과 왕위 계승의 법칙, 영지 상속 문제에 있어 계보를 따지는 것은 가문을 넘어 국가의 운명을 좌지우지 했기에 이러한 군주국들이 여럿 남아있던 근대까지는 정치적으로도 극히 중요한 학문이었다. 문장학은 이들 군주국 대부분이 공화국이나 입헌군주국으로 전환된 오늘날에도 연구가 이어지고 있으며, 사학 차원에서만이 아니라 미학 차원에서도 다루어지고 있다.

그밖에 미국 등 문장과는 관련이 없는 곳에서도 향토사나 사회사 등 각종 사학 연구 차원에서 계보학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유럽에서도 꼭 문장과 결부하지 않더라도 사학 연구 차원에서 가계를 추적하고 연구한다.


[1] 물론 이렇게 중립적으로 승패를 판정하는 행위는 같은 종교와 문화를 공유할 때 한정이다. 백년전쟁에서는 잉글랜드 왕국 프랑스 왕국 문장관들이 이러한 일을 하였던 반면, 이교도와의 싸움이었던 빈 공방전 같은 상황에서는 일어나지 않았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