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희대학교 지리학과 | ||||||||||||||
하위 문서
|
||||||||||||||
교육과정 | 교수진 | 대학원 | ||||||||||||
학과정보
|
||||||||||||||
학풍 | 역사 | 입학 | 학교생활 | 출신인물 | ||||||||||
관련정보
|
||||||||||||||
지리학 GIS |
지리학과 | 경희대학교 | 이과대학 | 스페이스21관 |
[clearfix]
1. 개요
자연지리 분야 | ||||
각각 육수학, 기후학을 연구하시는 2명의 교수님이 있다.[1] {{{#!folding [ 자연지리 분야 교수진 ] |
성명 | 학위 | 연구분야 | 비고 |
다나카 유키야 | 동경대학 이학 박사[2] | 육수학 | [3] | |
이은걸 | 콜로라도 대학교 이학 박사[4] | 기후학 |
인문지리 분야 | ||||
각각 교통지리, 경제지리 및 지명연구, 도시사회지리 및 정치지리, 관광지리 및 문화지리를 연구하시는 4명의 교수님이 있다. 또한 박진우 교수가 GIS와 함께 도시지리학을 연구한다.[5] {{{#!folding [ 인문지리 분야 교수진 ] | 성명 | 학위 | 연구분야 | 비고 |
조창현 | 아인트호벤공과대학 건축학부 도시계획학 박사[6] | 교통지리, 관광교통, 교통계획 | ||
주성재 | 버팔로 대학교 지리학과 박사[7] | 경제지리학, 지명연구 | ||
지상현 | 일리노이 대학교 박사[8] | 도시사회지리학, 정치지리학 | ||
최서희 | 퍼듀 대학교 박사[9] | 관광지리학, 문화지리학 |
지리정보 분야 | ||||
각각 보건지리학 및 공간데이터과학, 지리정보학, 도시분석학 및 공간빅데이터, 지도학 및 지리정보학, 도시지리 및 GIS를 연구하시는 5명의 교수님이 있다. {{{#!folding [ 지리정보 분야 교수진 ] | 성명 | 학위 | 연구분야 | 비고 |
강전영 | 버팔로 대학교 지리학과 박사[10] | 공간데이터과학, 공간시뮬레이션, 고성능컴퓨팅, 보건지리학 | [11] | |
박진우 | 텍사스 A&M 대학교 지리학과 박사[12] | GIS과학, 도시지리학, 공간디지털트윈 | ||
최진무 | 조지아 대학교 지리학과 박사[13] | 지리정보학(GIS) | ||
홍성연 | 오클랜드 대학교 환경학부 지리학과 박사[14] | 도시분석학, 공간빅데이터 | ||
황철수 |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박사[15] | 지도학, 지리정보학(GIS) |
전직교수 | ||||
{{{#!folding [ 주요 역대 교수진 ] | 성명 | 학위 | 연구분야 | 비고 |
공우석 | The University of Hull 지리학과 박사[16] | 생물지리학 | [17] | |
윤순옥 | Freibgco대학 이학 박사[18] | 지형학 |
경희대학교 이과대학 지리학과의 교수진에 대한 문서이다.
경희대학교는 총 11명의 교수진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국내 최다[19]이다. 다른 학교와는 달리 특정분야에 치중되지않고 자연지리, 인문지리, 지리정보 등 각각 분야에 고르게 교수진을 가지고있다. 이 중 지리정보분야 교수의 수는 5명으로 이는 국내최다이며 5명이면 다른 지리학과 전체 교수 수[20][21]랑 맞먹는 숫자이다. 우수한 지리정보 교수의 인적자원 확보, 지리정보실습실이라는 공간확보, 지리정보 분야의 체계적인 커리큘럼을 바탕으로 경희대 지리학과를 GIS에 특화된 학과로 이끌고 있다. 자연지리 분야의 경우에도 이과대학에 속한만큼 다양한 강의가 열리고 있으며 교수 수도 많은 편이다. 인문지리분야의 경우는 4명으로 서울대의 6명보다는 적지만 타학교에 비해서는 많은 수준이며 각 분야에서 뛰어난 교수들이 재직하고 있다.
현재는 교수진이 11명이지만 지형 분야의 자연지리 분야 교수님도 오실 예정이다. #
2. 교수진 연혁
연도 | 부임 | 퇴임 | 교수 수[22] |
1955 | 박노식 교수 부임[23] | ||
1958 | 신흥대학교 문리과대학 지리학과 창설 | 1[24] | |
1960 | 이정면, 이한순 교수 부임 | 3[25] | |
1961 | 조동규 교수 부임 | 4[26] | |
1967 | 이정면 교수 퇴임 | 3[27] | |
1973 | 이한순 교수 퇴임 | 2[28] | |
1974 | 길용현 교수 부임 | 3[29] | |
1976 | 원학희 교수 부임 | 4[30] | |
1983 | 박노식 교수 퇴임 | 3[31] | |
1989 | 김종규 교수 부임 | 4[32] | |
1990 | 조동규 교수 퇴임 | 3[33] | |
1992 | 노시학 교수 부임 | 4[34] | |
1993 | 공우석 교수 부임 | 5[35] | |
1995 | 윤순옥 교수 부임 | 6[36] | |
2000 | 주성재 교수 부임 | 길용현 교수 퇴임 | 6[37] |
2001 | 다나카 유키야 교수 부임 | 7[38] | |
2002 | 황철수 교수 부임[39] | 8[40] | |
2003 | 경희대학교 이과대학 지리학과 | 8[41] | |
2004 | 원학희 교수 퇴임 | 7[42] | |
2005 | 조창현 교수 부임 | 8[43] | |
2012 |
지상현교수 부임 최진무 교수 부임 |
10[44] | |
2014 | 김종규 교수 퇴임 | 9[45] | |
2016 | 홍성연 교수 부임 | 10[46] | |
2018 | 노시학 교수 퇴임 | 9[47] | |
2019 |
이은걸 교수 부임 최서희 교수 부임 |
11[48] | |
2022 | 공우석 교수 퇴임 | 10[49] | |
2023 | 강전영 교수 부임 | 윤순옥 교수 퇴임 | 10[50] |
2024 | 박진우 교수 부임 | 11[51] | |
2025 | 12[52][53] |
3. 자연지리 분야 교수진
현재 두 명이지만 2025년에 지형학 교수가 새로 오실 예정이다.3.1. 다나카 유키야 교수
전공분야 | 육수학 | |
연구실 | 수문학 실험실 | |
약력 | 학사 | 1985년 동경대학 이학부 지리학과 |
석사 | 1987년 동경대학 이학부 수사(석사)과정 | |
박사 | 1994년 동경대학 대학원 박사과정 이학박사 | |
주요경력 |
1992년다쿠쇼쿠 대학 강사 1996년 호쿠이 대학 교육학부 조교수 2001년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교수 |
|
학부수업 | 전공 | 자연지리학개론, 자연지리학야외실습, 육수학, 물과 환경, 토양지리학 등 |
교양 | 빅뱅에서 문명까지 등 |
2001.09월에 경희대학교에 교수로 오셨으며 일본인 교수님 이다. 고수문환경, 규조분석, 달 및 화성의 수문프로세스 등을 연구한다.
3.2. 이은걸 교수
전공분야 | 기후학 | |
연구실 | 기후융합프로세스 연구실 | |
연구분야 |
몬순기후, 지표-대기간 상호작용, 기후가 농업과 산림과 인간생활에 미치는 영향 |
|
약력 | 학사 | 2003~2007년 건국대학교 이과대학 지리학과 |
석사 | 1996~1998년 건국대학교 지리학과 | |
박사 | 2003~2007년 콜로라도 대학교 지리학과 박사 | |
주요경력 |
2003년 콜로라도 대학교 NOAA 환경과학 연구소 연구조교 2008년 위스콘신 대학교 지속가능-지구환경 연구소 박사 후 연구원 2010년 리하이 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박사 후 연구원 2011년 웨스트 버지니아 대학교 교수 2019년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교수 |
|
학부수업 | 전공 | 기후학, 기후변화와 도시의 미래, 기후자료분석 등 |
교양 | 빅뱅에서 문명까지 등 |
몬순기후, 지표-대기간 상호작용, 기후가 농업, 산림, 인간의 삶에 미치는 영향 등을 연구주제로 연구하고 있다. 미국 대학에서 테뉴어까지 받았으나 경희대 교수로 왔다고 한다.
미국 국립 직업 안전보건 연구원 호흡기건강과 박주형 박사와 함께 기후변화로 인한 뇌우증가가 급성 천식 발작 비율을 높인다는 연구를 하였다. #
4. 인문지리 분야 교수진
4.1. 조창현 교수
전공분야 | 교통지리, 관광교통, 교통계획 | |
연구실 | - | |
약력 | 학사 |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지리학과(교통지리학) | |
박사 | 아인트호벤공과대학교 건축학부 도시계획학 박사 | |
주요경력 | 2005년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교수 | |
학부수업 | 전공 | 교통지리학, 스마트모빌리티, 도시교통계획 등 |
교양 | 이동의 자유와 원격사회 등 |
4.2. 주성재 교수
전공분야 | 경제지리학, 지명연구 | |
연구실 | 경제지리ㆍ지명 연구실 | |
연구분야 |
산업입지론, 지역개발론, 국토 및 도시계획, 지명의 경제적 가치, 지명의 국제적 표준화, 동해표기 |
|
약력 | 학사 | 1984년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
석사 | 1986년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 |
박사 | 1993년 버팔로 뉴욕주립대학교 지리학과 박사 | |
주요경력 |
1987년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조교 1989년 미국 뉴욕주립대학교 캐나다-미국 트래이드센터 연구원 1994년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초빙연구원 1994년 한국개발연구원 초빙연구원 1995년 국토연구원 책임연구원 2000년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교수 |
|
학부수업 | 전공 | 경제지리학, 지역개발론 등[54] |
교양 | 인간 장소 지명[55] 등 |
4.3. 지상현 교수
전공분야 | 정치지리학, 도시사회지리학 | |
연구실 | 인문지리연구실 | |
연구분야 |
사회지리학, 정치지리학, 문화지리학, 공간분석학, 의료지리학 |
|
약력 | 학사 | 1994~1998년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
석사 | 2000년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 |
박사 | 2011년 일리노이 대학교 어배너-섐페인 캠퍼스 박사 | |
주요경력 |
2005년 경기개발연구원 위촉연구원 2006년 국토연구원 위촉연구원 2012년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교수 |
|
학부수업 | 전공 | 인문지리학개론, 정치지리학, 한국지리 |
교양 | 공간과 권력의 세계 |
수강신청에서 높은 경쟁률을 자랑하는 경희대 인기 교양강의인 공간과 권력의 세계를 강의하신다. 강의를 굉장히 재밌게 잘하셔셔 시험이 까다로운 편임에도 교양수업과 전공수업 모두에서 에타기준 높은 평점을 유지하고 있다. 강의력이 좋고 강의내용도 체계적이다. 하지만 강의를 듣지않고 ppt로만 공부하면 시험을 풀 수 없다. 인문지리학개론, 공간과 권력의 세계, 한국지리, 정치지리학 등의 강의를 담당한다.
4.4. 최서희 교수
전공분야 | 관광지리학, 문화지리학 | |
연구실 | 문화관광지리연구실 | |
약력 | 학사 | 2000~2003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
석사 | 2003~2006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 |
박사 | 2008~2011 퍼듀 대학교 박사 | |
주요경력 |
2004년 네셔널 지오그래픽 한국판 편집기자 2006년 경기개발연구원 위촉연구원 2008년 중국 루둥대학 강사 2011년 서울 국토문제연구소 연구원 2013년 Macao University of tourism 초빙 조교수 2019년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교수 |
|
학부수업 | 전공 | 인문지리학야외실습, 문화와관광지리학, 모빌리티스의 이해, 캡스톤지자인지리1, 캡스톤디자인지리2 |
교양 | KOREA: land and people |
5. 지리정보 분야 교수진
5.1. 강전영 교수
전공분야 | 공간데이터과학, 공간시뮬레이션, 고성능컴퓨팅, 보건지리학 | |
연구실 | 공간시뮬레이션연구실 | |
연구방법론 |
공간데이터과학, 고성능처리 컴퓨팅 에이전트기반 모델링, 디지털 트윈 |
|
연구주제 |
감염병의 시공간확산, 도시인프라(의료시설, 녹지 등)의 공간적 접근성 측정, 색각이상자를 위한 지도제작, 주소정보 고도화 |
|
약력 | 학사 | 2004~2010년 경희대학교 이과대학 지리학과 |
석사 | 2012년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 |
박사 | 2018년 버팔로 뉴욕주립대학교 박사 | |
주요경력 |
2018년 일리노이 대학 박사후 연구원 2020년 공주대학교 지리교육과 교수 2023년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교수 |
|
학부수업 | 전공 | 시공간자료와 통계, 지리정보학개론, 글로벌위기와 지리적상상력 |
교양 | - |
공주시 출신이며, 한화 이글스의 팬이다.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04학번이다. 석사과정 당시 지도교수가 황철수 교수이다.[56]
5.2. 박진우 교수
전공분야 | 도시지리학[57], GIS과학, 공간디지털트윈 | |
연구실 |
|
|
연구분야 |
사회지리학, 정치지리학, 문화지리학, 공간분석학, 의료지리학 |
|
약력 | 학사 | 2013년 경희대학교 이과대학 지리학과 |
석사 | 2016년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 |
박사 | 2021년 텍사스 A&M 대학교 지리학과 박사 | |
주요경력 |
2023년 University of North Dakota 지리학 및 지리정보학 교수 2024년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교수 |
|
학부수업 | 전공 | 도시지리학, GIS프로젝트 |
교양 | R프로그래밍[59] |
5.3. 최진무 교수
전공분야 | 지리정보학(GIS) | |
연구실 | 공간 분석 연구실 | |
연구분야 | GIS, RS, 재난 및 환경정보시스템 | |
약력 | 학사 | 1993년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
석사 | 1998년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 |
박사 | 2004년 조지아 대학교 박사 | |
주요경력 |
1998년 서울시정개발 연구원 2005년 조지아[61]대 원격탐사 및 지도학 센터 박사 후 연구원 2005년 미시시피 주립 대학교 지구과학과 교수 2010년 상명대학교 지리학과 교수 2012년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교수 |
|
학부수업 | 전공 | 시공간정보의 이해, 원격탐사활용, GIS와공간분석 |
교양 | - |
5.4. 홍성연 교수
전공분야 | 도시분석학(urban analytics), 공간빅데이터 | |
연구실 | 공간빅데이터연구실 | |
연구분야 |
GIS, 거주지분화, 공간통계 및 시뮬레이션, 지오컴퓨테이션, 시공간빅데이터 분석 |
|
약력 | 학사 | 2006년 뉴질랜드 오클랜드 대학교 통계학과 |
박사 | 2011년 오클랜드 대학교 환경학부 지리학 전공 박사 | |
주요경력 |
2012년 도쿄대학교 공간정보과학연구센터 박사 후 연구원 2015년 인천대학교 도시행정학과 교수 2016년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교수 |
|
학부수업 | 전공 | 공간빅데이터의 이해, 빅데이터프로그래밍연습 |
교양 | - |
5.5. 황철수 교수
전공분야 | 지도학, 지리정보학(GIS) | |
연구실 | GIS연구실 | |
연구과제[62] |
2013년 범죄 공간정보활용위치추적연구[63] 2014년 중고등학교 우리국토 교재 과제용역[64] 2014년 대한민국 국가지도집 1차[65] 2015년 대한민국 국가지도집 2차[66] 2015년 지적재조사 사업 추진의 체계 정립연구[67] 2015년 Environmental Benefits of Green Space GIS 분석[68] 2016년 대한민국 국가지도집 3차[69] 2016년 제조업체의 생산성 분석을 위한 공간변수의 구축[70] 2016년 Web-GIS 기반 항생제 내성 지도 개발[71] 2017년 대한민국 국가지도집 4차[72] 2017년 동질적 통계 공표구역 획정을 위한 최적화 방안 연구[73] 2017년 Web-GIS 기반 항생제 내성 지도 개발(2년차), [74] |
|
약력 | 학사 | 1990년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
석사 | 1993년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 |
박사 | 1998년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박사 | |
주요경력 |
1998년 서울대학교 국토문제연구소 박사 후 연구원 1999년 사회과학연구원 상임연구원 2000년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전임강사 2002년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교수 2007-08 인디애나대학교 지리학과 방문교수 2011년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대학특성화단장(시공간빅데이터 사업단) |
|
학부수업 | 전공 | 지도학, 시공간자료와 통계, 지리정보기술의 적용 |
교양 | - |
학부에서 사진지리학회 GP의 지도교수를 맡고있다.
35대 대한지리학회장이다.
지금의 경희대 교육과정, 지리정보실습실을 만드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6. 역대교수
역대교수 총목록 | |||||
자연지리분야 | |||||
전직교수 | 현직교수 | ||||
박노식 | 지형학 | 윤순옥 | 지형학 | 정아라 | 지형학, 해안지형 |
1958~1983 | 1995~2023 | 2025~ | |||
김종규 | 기후학 | 이은걸 | 기후학 | ||
1989~2014 | 2019~ | ||||
다나카 유키야 | 육수학 | ||||
2001~ | |||||
공우석 | 생물지리학 | - | |||
1993~2023 | |||||
인문지리분야 | |||||
전직교수 | 현직교수 | ||||
이정면 | 인구지리학, 토지이용, 동아시아지역학 | 조동규 | 경제지리학, 토지이용 | 주성재 | 경제지리학, 지명연구 |
1960~1967 | 1964~1990 | 2000~ | |||
이한순 | 인구지리학, 도시계획, 지역개발 | 원학희 | 도시지리학 | 박진우[75] | 도시지리학, GIS |
1960~1973 | 1976~2004 | 2024~ | |||
길용현 | 관광지리학 | 최서희 | 관광지리학, 문화지리학 | ||
1974~2000 | 2019~ | ||||
노시학 | 교통지리학 | 조창현 | 교통지리학, 관광교통, 교통계획 | ||
1992~2018 | 2005~ | ||||
지상현 | 정치지리학, 도시사회지리학 | ||||
2012~ | |||||
지리정보 분야 | |||||
현직교수 | |||||
황철수 | 지도학 | 최진무 | GIS, RS, 재난 및 환경정보시스템 | 홍성연 | 도시분석학, 공간빅데이터 |
2003~ | 2012~ | 2016~ | |||
강전영 | 공간데이터과학, 공간시뮬레이션, 고성능컴퓨팅, 보건지리학 | 박진우 | 도시지리학, GIS과학, 디지털트윈 | ||
2023~ | 2024~ |
6.1. 박노식 교수
재직기간: 1958~1983년, 자연지리경희대학교 지리학과의 설립자
1917년 출생
1986년 사망
해방 이후 한국에는 지리학을 전공한 박사가 없었고 이로 인해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 지리를 가르치던 교사들이 지리학에서 강의를 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런데 그중에서 몇 안되게 일본에 유학을 가서 지리학 학위를 받아온 사람 중에 한 명은 박노식 교수로 1958년 경희대학교 지리학과를 세웠고 다른 한분은 육지수교수로써 1958년 서울대학교 지리학과를 세웠다.
육지수교수가 경제지리학 분야 연구를 하셔셔 사회과학대학에 지리학과를 세운반면 박노식 교수는 지형학 쪽 연구를 하셔셔 이과대학에 지리학과를 세웠다.
1943년 일본 호세이대학에서 고등사범부 지력과를 졸업하였고 일본 동경제국대학 지질학과에서 1년간 조수로 근무하였다. 1946~1955년에는 서울중학교와 서울고등학교 교사로 근무하다가 1955년부터는 경희대학교 교수를 맡아 1958년에 지리학과를 설립하였다. 이후 경희대학교에서 대학원장, 부총장 등을 역임하였다.
1961~1964년 대한지리학회 회장을 맡았으며 학회지 지리학을 창간하였다. 1967년 경희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는데 교수문서에도 나와있듯이 당시에는 학사나 석사출신이 교수를 맡는 일은 많았고 그 이후에 박사학위를 취득한 경우도 많았다.
서울대학교 김상호교수와 함께 한국 지형학 발전을 이끄신 지형학 1세대 교수이다. 박노식 교수는 남한의 지형면 분류 및 대비, 지형면 발달에 관심을 가졌고 반면에 김상호교수는 산록완사면의 특징과 형성과정을 주로 연구했다. 또한 1959년에는 선상지등에 대한 연구를 하였으며 60년대 1차 국토개발계획이 추진되자 국토개발 및 토지이용을 위한 응용지형학 연구를 주도했다. 제6대 대한지리학회 회장(1961~1964)이었다.
6.2. 김경성 교수
재직기간: 1959~1963[76], 인문지리1918년 출생
1978년 사망
김경성 교수는 서울대학교의 교수로 1959년~1963년 경희대학교에 시간강사로 출강하였으며 명예교수로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홈페이지에 나와있다. 자세한 것은 김경성 교수 문서 참조
6.3. 이정면 교수
재직기간: 1960~1967년, 인문지리1925년 출생
2021년 사망
서울대학교 지리학과를 졸업한 뒤 미시건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60년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주임교수를 하였고 말레이시아대학교, 캘리포니아대학교, 교토대학교 교수를 거쳐 1970년 미국 유타대학교 지리학과 교수를 지냈다. 이후 유타대학교 교수직을 은퇴하고 아리랑을 세계에 알리겠다는 소명의식으로 아리랑 연구를 시작하여 '한 지리학자의 아리랑 기행'을 발간하였으며 Arirang - Song of Korea라는 영문책자 또한 발간하였다.
이후 2021년 11월 96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6.4. 이한순 교수
재직기간: 1960~1973년, 인문지리남한 도시인구의 팽창과 생태를 인구절대량과 밀도, 인구구성, 산업구성과 도시기능을 고찰하는 연구를 했다.인구지리학의 초기 연구를 이끌었다. 또한 한국의 도시계획의 선구자 중의 한명이다.
함흥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남북분단이 되자 남쪽으로 내려와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경희대학교 교수가 되었다.
그 당시 경희대 총장과 사이가 좋지 않아 경희대 교수직을 그만두고 국토연구원의 당시 김의원 원장의 초빙으로 국토연구원에 가서 5~6년 근무했다.
당시에는 건설부에서 도로포장, 상수도, 항만 등을 다루고 내무부에서 지역계획을 담당하였는데 당시 내무부 장관인 한신 장관 밑에서 최상철과 함께 64년 지방ㆍ지역 행행정연구회를 만들었다.
이한순 교수는 당시 권역 등의 개념을 연구하고 있었고 1차국토개발계획 때 이한순 교수는 권역 개념을 도입하여 4대강을 중심으로 해서 4대 유역권, 8개 증권, 시군을 중심으로 하는 17개의 소권을 만들었다. 1차국토개발계획이 일본에서 가져온 것들이 많았지만 권역개념은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도입한 것이다.
6.5. 조동규 교수
재직기간: 1964년~1990년, 인문지리[77]1924년 출생
2007년 사망
1924년 함경북도 경성군에서 태어나 청소년기를 중국에서 보냈다, 1944~1945년에는 중국 동경성 발해국민학교 교사로 근무하였다. 해방 후 1947년까지 서울대학교 음악대학을 수료하였고 1947년 단국대학교 정경대학에 입학하여 1951년 졸업하였다. 1951년에서 1959년까지 경북 평해중학교와 중동고등학교에서 교사로 근무하였고 1958년에서 1960년까지 경희대학교 대학원 정치학과에서 석사를 받았다. 1960년 부터 1964년까지 경희대학교와 단국대학교 강사로 근무하였고 1964년 부터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교수로 재직하였다. 1969년에는 일본 동경교육대학원 이학부 지리학과에서 이학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78]
토지이용, 산지종합개발, 토지분류조사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였고 말년에는 토지이용 구분 및 전산화를 하였다. 한국지리연구소, 국토종합개발연구소를 설립하여 응용지리학분야를 연구하였다. 한국지리교육학회 회장을 하고 고등학교 교과서와 지리부도를 발간하는 등 지리교육발전에 기여하였다. 토지이용계획에 대한 공로가 인정되어 정부로 부터 훈장(석류장)을 받았다.
1994년 한국관광연구학회에 2대 학회장으로 취임하였다. 1986~1988년 제 18대 대한지리학회 회장이었다. 1990년 정년퇴임때까지 지리학과 교수로 재직하였다. 2007년 사망하였다.
6.6. 김찬삼 교수
재직기간: 1961~1962년1926년 출생
2003년 사망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를 졸업하였다. 이후 경희대학교 지리학과에서 강사, 교수를 하였다. 세계여행가로 유명하다. 여행 자체가 쉽지 않은 시절에 치안이 불안정한 지역, 여러오지와 험지를 포함해 전세계를 누비며 여행을 다녔고 10권으로 구성된 그의 여행기는 당시의 문화와 경제상황, 자연 등을 담고있다. 2008년 국민훈장 모란장으로 추서되었다. 자세한 것은 김찬삼 문서 참조
6.7. 원학희 교수
재직기간: 1976~2004년, 인문지리[79]출생 1939년
공우석 경희대 지리학과 교수, 한종만 배제대 러시아학과 교수와 함께 러시아의 지리라는 책을 썼다. 1부는 러시아에 대한 계통지리적 분석, 2부는 러시아에 대한 지역지리적 분석, 3부는 극동지역에 대해 다뤘다.
6.8. 길용현 교수
재직기간: 1974~2000년, 인문지리[80]1939년 출생
1999년 한국관광연구학회 제4대회장을 맡았다.
6.9. 김종규 교수
재직기간: 1989~2014년, 자연지리, 기후학1954년 출생
1954년 서울출생, 경희중, 경희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 1980년 경희대학교 지리학과를 졸업하였다. 1982년 경희대학교 대학원 지리학과에서 자연지리학을 전공하였다. 1988년 독일 키일대학교 수학 및 자연과학대학 지리학과에서 전공 지리학, 부전공 기상학과 지질학을 수학하고 이학박사를 취득하였다. 1989년 경희대학교 교수로 왔으며 1990년부터 1992년에는 지리학과 학과장을 하였다. 기후와 역사등의 책을 저술하였다. 경희대학교 사회교육원장을 맡았다. # #
6.10. 노시학 교수
재직기간: 1992~2018년, 인문지리[81]학사: 경희대학교
석사: University of Iowa
박사: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1985~1989)
1954년 출생
교통지리학, 이동과 사회 등을 전공하였다.
교통과 사회적 배제, 이동(mobilities), 교통과 관광, 관광장소 등을 연구한다. 1980~1981년 국토개발연구원에근무했다.
이용자 중심의 노인지하철 무임승차 제도 개선을 위한 분석 등의 논문을 쓰셨다. 관련뉴스 인문지리학 개론등의 강의를 담당하였다.
6.11. 공우석 교수
전공분야 | 생물지리학 | |
연구실 | 생물지리 실험실 | |
연구분야 |
사회지리학식물지리, 기후변화와 생태계, 고산과 아고산, 도서, 북한지역 |
|
약력 | 학사 | 1976-83년 경희대학교 문리과대학 지리학과 |
석사 | 1983-85년 경희대학교 지리학과[82] | |
박사 | 1985-89년 영국 헐 대학교 박사[83] | |
주요경력 |
1990년 청주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교수 1993년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교수 2009년 경희대학교 이과대학 학장 2022년 교수직 은퇴 |
|
학부수업 | 전공 | 자연지리학개론, 생물지리학, 자연지리학야외실습, 북한지리 |
교양 | - |
한반도에 분포하는 식물의 다양성, 기후와 인간과 환경과의 관계 등에 관심이 많다. 기후변화가 고산식물에 주는 영향 등도 연구하기도 한다.《기후위기, 더 늦기 전에 더 멀어지기 전에》, 《숲이 사라질 때》,《우리 나무와 숲의 이력서》,《바늘잎나무 숲을 거닐며》,《생태, 지구와 공생하는 사람》, 《왜 기후변화가 문제일까》,《키워드로 보는 기후변화와 생태계》 《침엽수 사이언스 I》,《생물지리학으로 보는 우리 식물의 지리와 생태》,《한반도 식생사》,《북한의 자연생태계》, 《침엽수의 자연사》등의 저서가 있다. # #
6.12. 윤순옥 교수
전공분야 | 지형학, 제4기학, 화분분석학[84], 고고지리학 | |
연구실 | 지형학 실험실 | |
약력 | 학사 | 1980년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
석사 | 1984년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 |
박사 | 1994년독일 Albert-Ludwigs Universitaet (Freiburg) 이학박사 | |
주요경력 |
1995년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교수 2023년 교수직 은퇴 |
|
학부수업 | 전공 | 자연지리학야외실습, 지형학, 고고역사지리학, 자연재해, 고고지리학 |
교양 | - |
학사: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석사: 경희대학교 이과대학 지리학과
박사: 독일 Albert-Ludwigs Universitaet (Freiburg) 이학박사
지형학, 제4기학, 화분분석학[85] , 고고지리학 등을 연구하신다. 영남권 지진관련 연구도 하셨다., 관련뉴스
경북대 황상일 교수와 함께 신라멸망과 기후변화 요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 경북대학교 지리학과 황상일 교수와 부부관계이다. 황상일 교수와 함께 연구한 논문이 많다.
이외에 석호, 뢰스[86] 등도 연구하셨다. # #
2023년 은퇴하셨다.
6.13. 기타
독일 출신의 에카르트 데게 박사가 1974년~1976년에 경희대 지리학과 객원교수로 일했다고 한다. 지리학, 기상학, 지질학등을 전공하였으며 '한국의 급속한 산업화는 농촌 인구의 경제적, 사회적 구조와 농업 경관의 구조를 어떻게 변화시키는가'를 주제로 연구하며 대한민국을 돌아자니며 2만여장의 사진을 찍었다고 한다. # #7. 여담
- 교수진의 학사학위 기준 서울대 6명(54.54%), 경희대 2명(18.18%), 건국대 1명(9.09%), 동경대 1명(9.09%), 오클랜드 대학교 1명(9.09%)이다.
- 교수진의 박사학위 기준 국내대학 1명(9.09%), 미국대학 7명(63.63%), 일본 대학 1명(9.09%), 네덜란드 대학 1명(9.09%), 뉴질랜드 대학 1명(9.09%)이다.
[1]
2023년 윤순옥 교수가 은퇴한 이후 자연지리분야 교수가 추가로 새로 오실 예정이다.
[2]
도쿄대학 이학부 지리학과 학사 및 석사
[3]
일본인 교수님이시며 2001년부터 경희대학교 교수로 일하셨다. 자연지리학개론 등을 담당하신다
[4]
건국대학교 지리학과 학사 및 석사
[5]
지리정보쪽 연구 비중이 높아서 지리정보분야로 분류했다.
[6]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학사 및 석사
[7]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학사 및 석사
[8]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학사 및 석사
[9]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학사 및 석사
[10]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학사 및 석사
[11]
본교 지리학과 04학번 이다.
[12]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학사 및 석사
[13]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학사 및 석사
[14]
오클랜드 대학교 통계학과 학사
[15]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학사 및 석사
[16]
경희대학교 학사 및 석사
[17]
대한민국과 북한의 식생과 생물지리에 대해 연구하시다가 2023년 은퇴하셨다.
[18]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학사,
경희대학교 이과대학 지리학과 석사
[19]
서울대학교와 함께 공동1위
[20]
서울대의 경우 2명만 지리정보분야이다.
[21]
경희대와 지방거점 국립대인 경북대, 서울대, 전남대를 제외한 나머지 지리학과는 교수 수가 5명 이하이다.
[22]
홈페이지 역대교수에 나와있지 않는 교수가 배제되었을 수도 있음. 김경성 명예교수, 김찬삼 명예교수 등 경희대학교 재직 당시에 강사 신분이었던 명예교수는 제외
[23]
경희대 지리학과의 설립자인 박노식 교수가 경희대에 부임한 것은 1955년이지만 지리학과가 생긴것은 1958년이다.
[24]
자연지리 1명, 인문지리 0명, 자연지리 0명
[25]
자연지리 1명, 인문지리 2명, 지리정보 0명
[26]
자연지리 1명, 인문지리 3명, 지리정보 0명
[27]
자연지리 1명, 인문지리 2명, 지리정보 0명
[28]
자연지리 1명, 인문지리 1명, 지리정보 0명
[29]
자연지리 1명, 인문지리 2명, 지리정보 0명
[30]
자연지리 1명, 인문지리 3명, 지리정보 0명
[31]
자연지리 0명, 인문지리 3명, 자연지리 0명
[32]
자연지리 1명, 인문지리 3명, 지리정보 0명
[33]
자연지리 1명, 인문지리 2명, 지리정보 0명
[34]
자연지리 1명, 인문지리 3명, 지리정보 0명
[35]
자연지리 2명, 인문지리 3명, 지리정보 0명
[36]
자연지리 3명, 인문지리 3명, 지리정보 0명
[37]
자연지리 3명, 인문지리 3명, 지리정보 0명
[38]
자연지리 4명, 인문지리 3명, 지리정보 0명
[39]
단 2002년에 조교수가 되었을뿐 전임강사는 2000년부터
[40]
자연지리 4명, 인문지리 3명, 지리정보 1명
[41]
자연지리 4명, 인문지리 3명, 지리정보 1명
[42]
자연지리 4명, 인문지리 2명, 지리정보 1명
[43]
자연지리 4명, 인문지리 3명, 지리정보 1명
[44]
자연지리 4명, 인문지리 4명, 지리정보 2명
[45]
자연지리 3명, 인문지리 4명, 지리정보 2명
[46]
자연지리 3명, 인문지리 4명, 지리정보 3명
[47]
자연지리 3명, 인문지리 3명, 지리정보 3명
[48]
자연지리 4명, 인문지리 4명, 지리정보 3명
[49]
자연지리 3명, 인문지리 4명, 지리정보 3명
[50]
자연지리 2명, 인문지리 4명, 지리정보 4명
[51]
자연지리 2명, 인문지리 4명, 지리정보 5명
[52]
새로 지형학 교수가 부임할 예정이며 지형학 및 해양지형 분야의 교수라고 한다.
[53]
자연지리 3명, 인문지리 4명, 지리정보 5명
[54]
과거에는 인구지리학 과목도 강의하셨다.
[55]
수업이름이 인간,장소,지명이다.
[56]
강전영, 2012, 지리적 사상의 Geo-Ontology 적용에 관한 연구, GIS연구실(황철수 교수 연구실)
[57]
박진우 교수의 전공인 도시지리학은 인문지리에 속하나 GIS분야연구가 많다보니 지리정보분야 교수로 분류했다. 강전영 교수의 보건지리도 엄밀히 따지면 인문지리에 속한다.
[58]
2024년에 새로 오셔셔 그런지 아직 연구실이 없다. 현재 도시컴퓨팅연구실원 모집중이다.
[59]
정확히는 융합전공인 과학지능정보 과학지능정보융합전공의 전공필수강의이다.
[60]
박진우, 2016, 주소체계변경에 따른 주소좌표 비교 연구, 공간분석연구실(최진무 교수 연구실)
[61]
미국 조지아 주
[62]
홈페이지에 나와있는 것만 적음
[63]
대한지적공사, 5181.7만원
[64]
한국토지주택공사, 1930.5만원
[65]
국토지리정보원, 9억9000만원
[66]
국토지리정보원, 9억9000만원
[67]
한국개발연구원, 1500만원
[68]
한국개발연구원, 1500만원
[69]
국토지리정보원, 9억8000만원
[70]
한국개발연구원, 1500만원
[71]
환경부, 1000만원
[72]
국토지리정보원, 9억4600만원
[73]
통계청, 4000만원
[74]
환경부, 3000만원
[75]
주로 지리정보분야 교수진으로 분류
[76]
시간강사
[77]
경제지리학, 토지이용
[78]
지리학 교수임에도 지리학 관련 학위가 아닌 경우가 있는데에는 1958년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이전까지 지리학 학부과정이 없었다는 점, 또한 경희대학교에서 각각 1962년과 1965년 대학원 석사, 박사 과정을 만들기 전까지 국내에 지리학 대학원 과정이 없다는 점을 감안해야한다.
[79]
도시지리학
[80]
관광지리학
[81]
교통지리
[82]
논문:한국 대나무류의 분포와 그 요인에 대한 식물지리학적 연구
[83]
논문: The Biogeographic Divisions of Korea and Their Past and Present Environments, with Special Reference to Arctic-Alpine and AlpineFloras)
[84]
지층에 포함되어 있는 화분‧화석‧퇴적물의 화학적 분석 등을 취급한다.
[85]
지층에 포함되어 있는 화분‧화석‧퇴적물의 화학적 분석 등을 취급한다.
[86]
풍성먼지[87]가 바람에 날려 와 쌓여 이루어진 토양층을 뢰스(loess)라고 부른다.
[87]
바람에 의한 퇴적물을 풍성퇴적물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