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수군의 수영 | |||||||
삼도수군통제영 휘하 수영 | 삼도수군통어영 휘하 수영 | ||||||
경상좌수영 | 경상우수영 | 전라좌수영 | 전라우수영 | 충청수영 | 경기수영 | 황해수영 |
경상좌도수군절도사영 慶尙左道水軍節度使營 |
|
|
|
경상좌도수군절도사영의 관할 수역. | |
<colcolor=#fff> 위치 | <colbgcolor=#fff,#191919> 경상도 |
지휘 | 수군절도사 |
[clearfix]
1. 개요
경상좌도수군절도사영(慶尙左道水軍節度使營), 줄여서 경상좌수영(慶尙左水營)은 조선 시대 경상도의 동쪽에 존재하던 수군절도사영이다.[1] 지휘관은 정3품 당상관인 수군절도사이다.2. 상세
본부에 해당하던 곳은 현재의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동 일대. 다만 처음부터 여기 있던 것은 아니다. 경상좌수영은 동래현 부산포[2]에 있었다가, 부산에 왕래하던 일본인들에 의해 군사와 장수의 정보가 샐 수 있다하여 1459년에 울산 개운포로 이전한다. 하지만 울산에 병영과 수영이 같이 있어 백성들의 부담이 심하다는 문제가 제기되자, 1544년 동래 남촌 해운포(부산 수영구 수영동)로 돌아온다. 그리고 잠깐 감만이포(감만1동)로 이동 후 다시 1652년에 해운포로 돌아온다. 당시에는 해운포가 해운대부터 수영강 하구 일대를 통틀어 일컫는 말이었다. 그리고 1895년의 군제개혁 때까지 243년간 수영동에서 이동하지 않고 남아있게 된다.[3]수영구와 수영동, 수영강 등 수영이라는 지명의 유래가 바로 이 경상 좌수영이다. 임진왜란 이전 왜구의 침입이 주로 섬이 많은 경상우도와 전라도 쪽에서 벌어졌기에 비교적 준비가 잘되어있었던 경상, 전라 우수영에 비해 전력이 약했다. 결정적으로 수영강은 모래톱이 많은 지역인데, 이 때문에 모래가 늘 퇴적되어 선박들의 입출항에 굉장한 장애가 있었다. 이 때문에 항구기능을 유지하는 데 항상 애를 먹었고, 이 때문에 다른 수영에 비해 규모가 크게하기에는 애로사항이 많았다. 경국대전에는 수영에는 대맹선 2척, 중맹선 7척, 소맹선 6척 등 총 17척의 군선이 배치되었고[4], 수군은 760명이 배치되었다고 나와있다. 물론 시대에 따라서 군사 배치양은 달라졌을 것이다.
임진왜란 이후에 1692년에 이르러서는 좌수사 이만하가 수영을 크게 개축하면서, 성곽의 규모를 갖추게 된다. 이 개축으로 경상좌수영에는 객사(영파당), 동헌(관운당, 제승당, 운주헌 등), 비장청, 수성청, 길청 등 수십 채의 건축물이 들어서게 된다. 하지만 1895년 군제개혁 이후로 관아 건물 상당수가 사라져 버린다.
1995년 수영구에서 수영사적공원으로 조성해서 경상좌수영의 터가 남아있다. 그렇기에 사적원이 지금까지도 남아있다.
좌수영이 성으로 개축한 뒤에 4개문[5]이 있었으나, 현재는 남문 하나만 남아있다. 이 남문로 문루는 사라지고, 홍예문만 남아있다. 그나마 문을 지키라고 세워둔 석상인 박견은 그대로 남아있다.
3. 관할지역 및 예하 관포
3.1. 관할지역
경상좌수영의 관할구역은 서쪽으로 우수영과의 경계구역인 낙동강의 동측 지점부터 남해안과 동해안을 따라 흥해군(현 영덕) 지역까지를 관할구역이며, 중요지역 중에서는 부산, 울산, 포항, 경주, 영덕 해안 지역을 방어하는 임무를 맡고 있었다.조선초기 경상좌수영의 편제는 동래현 부산포에 본영을 두고, 총 11개의 진(염포, 해운포, 다대포, 두모포, 개운포, 서생포, 감포, 포이포, 통양포, 오포, 축산포)을 관리하고 있었다.
세조 시대가 되어 진관체제가 확립되는 과정에서 경상좌도는 왜구의 침입을 방어하는 특성상 일부 관포가 재배치 되기도 하였는데, 염포가 부산포로 개칭되고, 통양포가 북쪽의 칠포로 위치를 옮기게 되었다. 이 시기 본영도 울산의 개운포로 이전하기도 하였다.
중종 이후 예하 관포의 조정이 크게 이뤄졌는데, 이는 왜관의 영향으로 인한 국방상의 문제, 지형적인 요인으로 인한 통행의 문제 등으로 이뤄진 것이며, 개편이 이뤄지면서 본영이 동래 해운포로 이동하였으며, 예하 진은 총 10개(부산포, 다대포, 두모포, 개운포, 서생포, 포이포, 칠포, 서평포, 감포, 축산포)로 조정되었다.
임진왜란 개전 당시 수사는 박홍이었다. 개전 직전 경주시, 울산광역시, 포항시, 영덕군, 기장 등 경상좌도 각지에 흩어져 있던 진포를 남동해안 주 방어선인 동래부, 부산진 인근으로 재배치하며 왜구 침입에 대비하였다. 전력이 가장 막강하여 특별한 조치를 취하기보단 경상 감사가 예하 진포를 일제 점검하는 정도로 끝낸 경상 우수영, 거북선이란 신형 전선을 건조한 것
임진왜란 이후에는 경상좌수영의 관할구역이 사실상 부산 ~ 울산 구간으로 축소되는데, 그것은 기존 경주, 흥해 지역에 있던 수군 진들이 부산 지역으로 대거 이동하게 되면서 생긴 일이다. 그렇게 된 목적은 임진왜란 이후 부산포 인근 해상을 방호하기 위한 해군 기지의 이동이 필요해서였고, 또한 동해안 지역의 기지들이 기지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이후 본영은 부산 감만이포로 위치가 조정되었고, 예하 진은 총 7개(부산포, 다대포, 두모포, 개운포, 포이포, 서평포, 서생포)로 구성되었다.
1895년 최종 폐지될 때의 경상좌수영은 감만이포에 본영이, 예하 5개의 진(부산포, 다대포, 절영도, 두모포, 서생포)을 보유하였다.
3.2. 예하 관포
<1554년 개편 기준>- 7관
- 기장현
- 울산군
- 동래현
- 경주부
- 흥해군
- 장기현
- 영해도호부
- 현 부산광역시 기장군 지역
- 관할관직 : 기장현감
- 현 울산광역시 지역(언양 제외)
- 관할관직 : 울산군수
- 현 부산광역시 지역
- 관할관직 : 동래부사
- 현 경주시 지역
- 관할관직 : 경주부윤[6]
- 현 포항시 북구 지역
- 관할관직 : 흥해군수
- 현 포항시 남구 지역
- 관할관직 : 장기현감
- 현 영덕군 지역
- 관할관직 :영해부사
- 10포
- 다대포(만호진) - 동래현
- 부산포(첨사진) - 동래현
- 서생포(만호진) - 울산군
- 감포(만호진) - 경주부
- 개운포(만호진) - 울산군
- 두모포(만호진) - 기장현
- 칠포(만호진) - 흥해군
- 축산포(만호진) - 영해도호부
- 포이포(만호진) - 장기현
- 서평포(만호진) - 동래현
- 현 부산광역시 사하구 지역
- 관할관직 : 다대포만호
- 현 부산광역시 동구 지역
- 관할관직 : 부산포첨사
- 최초 경상좌수영 본영이 위치했던 지역이었으며, 본영이 울산 개운포로 옮기는 과정에서 첨사진이 설치되었다.
- 현 울산광역시 울주군 서생면 지역
- 관할관직 : 서생포만호
- 현 경주시 감포읍 지역
- 관할관직 : 감포만호
- 중종 시대 창설된 진영으로, 임진왜란 발발 이후 울산 이북 지역의 수군 진영이 모두 부산 지역으로 이동함에 따라 감포진도 부산으로 이동하여 운영되었다가 18c 이후에는 혁파되었다.
- 현 울산광역시 남구 지역
- 관할관직 : 개운포만호
- 조선 초기 좌수영의 예하 수군 진영으로 운영되다가 좌수영 본영이 이전해 온 적도 있었으며, 본영이 다시 동래 해운포로 이전한 뒤 만호진으로 운영되다가 임진왜란 이후 부산 지역으로 이동하였다. 1880년대 절영도진의 운영에 따라 혁파되었다.
- 현 부산광역시 기장군 지역
- 관할관직 : 두모포만호
- 기장현 지역에 위치했던 진영으로, 임진왜란 이후 기장현에서 부산포 왜관 지역으로 이동하여 운영되었으며, 최종 폐지시까지 운영된 진영이다.
- 현 포항시 북구 흥해읍 지역
- 관할관직 : 칠포만호
- 창설 시기 흥양포에 위치하던 수군 진영을 흥해군 지역으로 옮기며 생긴 진영으로, 임진왜란 이후 진영의 운영이 제한되고, 부산 지역 해안 강화를 위해 부산포 지역으로 이동하였다가 혁파되었다.
- 현 영덕군 축산면 지역
- 관할관직 : 축산포만호
- 좌수영 창설 시기부터 존재하던 진영이었으며, 임진왜란 이후 동해안 수군 진영이 이동할 때 부산포 지역으로 이동하였으며, 1751년 혁파되었다.
- 현 포항시 남구 지역
- 관할관직 : 포이포만호
- 조선 초기부터 있던 진영으로, 임진왜란 이후 부산 지역으로 위치가 조정되었으며, 1880년대 절영도진의 운영에 따라 혁파되었다.
- 현 부산광역시 사하구 지역
- 관할관직 : 서평포만호
- 1511년 최초 설립된 진영으로, 1880년 절영도진의 운영에 따라 혁파되었다.
[1]
오늘날처럼 북쪽이 위로 가는 지도에서
경상도의 오른쪽(
동쪽)이라 할 수 있다.
수영이다. 좌도라는 건
한양에서 내려다봤을 때 왼쪽에 있다는 뜻으로, 임금이 방위의 중심이 되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이 붙었다.
[2]
이 시기에는 경상좌수영이 아니라 경상좌도 도안무처치사영이라는 이름이었다.
[3]
출처: "新택리지 관광의 고장 부산 수영구 - 사시사철 관광객이 북적이는 곳", 경향신문, 권기정, 2010-03-22
[4]
대맹선, 중맹선, 소맹선은 군선 분류법
[5]
동문(영일문), 서문(호소문), 남문(주작문), 북문(공진문)
[6]
정3품 수사가 종2품 부윤을 휘하에 둘 수는 없으므로 직접적인 업무지시가 아닌 업무협조를 구하는 방식으로 경주부 관내 병력을 운용했을 것이다. 또한 임진왜란 이후에는 경주부의 감포진이 부산으로 이동하였으므로 경상좌수사와 경주부윤 사이의 업무적인 접점은 거의 없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