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9 14:47:14

검객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2020년 개봉한 한국 영화에 대한 내용은 검객(영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2. 상세3. 실존인물
3.1. 조선3.2. 일본3.3. 독일3.4. 이탈리아3.5. 영국3.6. 프랑스
4. 매체에서

1. 개요

검객(劍客)은 을 사용하는 사람을 뜻하는 단어다. 영어로는 소드맨(Swordsman)이라고 한다. 비슷한 의미로는 검사(劍士)가, 다소 비하적인 명칭으로 칼잡이가 있다.

또한 자세한 내용으로는 검술, 소드마스터 문서도 참조.

2. 상세

검은 호신용 무기를 넘어 엄연히 전장에서도 중요 병기 중 하나였다. 비용, 훈련 시간, 효율 등의 문제점 때문에 주무기로 썼던 병종은 비교적 적으나, 검은 보조무기로써 항상 전쟁에서 활약했다. 전쟁에서 주무기로 쓰였던 사례도 있다. 레기온과 팔랑기타이, 로델레로 스위스 용병, 삼국시대에 웃통 벗고 도검을 든 오군이 중갑과 장창으로 무장한 위군을 격퇴한 사례와 서남전쟁 등을 고려해보면 도검병도 하기에 따라 얼마든지 창병을 상대했고, 무엇보다 어디에나 쓸 수 있는 범용성 덕분에 전장에서 사라진 적이 없는 무기였다.

하지만 그렇다고 검이 만능 병기라는 말은 아니다. 검은 어디에나 쓸 수 있는 범용적인 무기지만, 달리 말하자면 모든 면에서 2인자 신세라는 말도 된다. 찌르기와 리치 면에서는 에게 밀리고, 방어 능력은 방패에게, 위력은 폴암에게, 그리고 무장한 상대에 대한 저지력은 둔기에게 밀린다. 도끼와 비교해도 도끼의 무게 중심은 날 쪽에 있어 원심력과 무게로 무언가를 잘라내는 데에도 도끼가 한 수 위다.

하지만 사실 전장에서는 극단적으로 한쪽이 치우친 성능보다는 모든 면에서 균형 잡혀 상대를 무너뜨리는 것이 훨씬 중요했으며, 특히 실력에 따라 그 편차가 컸던 검술은 사용자에 따라 굉장히 극과극으로 그 성능이 갈렸다. 검술 문서만 봐도 알겠지만, 중세유럽 및 일본에서 극도로 숙련된 소드마스터/사무라이들의 롱소드 검술이나 노다치를 활용한 고류검술은 창을 든 병사 서너명을 단신으로 모조리 도륙낼 정도로 어마어마했다. 검이 호신용 목적으로 "주로" 쓰이기 시작한 것도 결국 총포류의 등장과 도시의 밀집도 향상 때문이었지, 창에 모든 면에서 밀린다거나 검 자체가 전장에서 등한시 되었던 일은 절대로 없었다. 검은 다른 모든 무기처럼 장단점을 가졌으며, 실제 전쟁에서도 매우 많이 활약했고 호신용으로도 많이 쓰였던게 사실이다.

다만 많은 창작물에서 나오는 것처럼 검 한자루 달랑 들고 적군에게 돌격하는 검객은 없었다. 특히 실용주의를(가장한 무의 천시) 채택하며 표방했던 조선시대에서는 왕실 호위무사들이나 썼지 군대는 장군을 제외하곤 대부분 창과 활, 조총만으로 무장시키면서 아예 취급이 안 좋은 무기로 전락했다. 조선의 전략 발전에서는 철저히 전술에서 검을 배제시켜버렸단 소리이다. 이순신장군과 관련된 역사에서도 나오지만 이순신이 조선군의 근접 검술전투 능력을 향상을 위해서 잡아온 일본군 포로 두명과 조선군 여럿에게 검을 쥐어주곤 모의전을 시켰는데 검을 이용한 모의전에선 하나같이 전부 제압당했다는 결과도 있다.

그 때문에 검술이 삼국시대보다 발전하지 못 했다는 말도 나오는 수준으로 시대가 흐르면서 검의 입지는 창, 도끼에게 그리고 끝내 간단한 사용방법의 호신용으로써도 총에게 밀려나면서 대부분의 단검을 제외한 장검들은 상징적인 사치품이나 군대가 간부에게 하사하는 고급하사품으로써 전쟁역사의 뒤로 사라졌다. 다만 이 경우 조선이라는 국가가 굉장한 수준으로 무를 천시했던 나라였기에 가능했던거지, 중세 유럽이나 일본과 같이 항시 전쟁과 내전으로 혼란스러웠던 나라들이 왜 검술이 발달했었는가를 생각하면, 결국 약자의 합리화에 불과하다. '조선이 칼을 버린만큼 다른 창이나 이를 활용한 전술에서 몹시 뛰어났나'라고 생각해보면 답이 쉽게 나온다. 활에서는 뛰어나긴 했지만 딱 그뿐이었다.

법조인인 검사의 뜻과 조합하여 "검사가 되는데 가장 필요한 건 소드 마스터리", "검사(檢事)는 한 나라 최고의 검사(劍士)"라는 우스갯소리도 존재한다. 현직 검사(檢事)들도 스스로 칼잡이라고 부르며, 김진태 전 검찰총장이 지은 '슬픈 검사(劍士) 이야기'라는 한시도 있을 정도다. 피의자 고문사망 사건이 일어나 해당 검사(홍경령 검사)가 칼을 압수당하게 되자 그 검사의 선배이던 김진태 당시 대검 중수2과장이 적을 무찌르려다 변을 당한 검사(劍士)에 빗대어 시를 지었다.
슬픈 검사 이야기

가을 밤에 홀로 강월헌에 올라
아프게 떠난 한 칼잡이를 떠올린다.

밤중에 출근함은 달을 보기 위함이 아니었고
매 끼니를 거른 건 신선되려 함이 아니었네

제 몸이 급류에 휩쓸린 줄도 모르고
밤늦게까지 흉적을 무찌르려 하다가

폭풍우에 쓰러지니 이런 변고가 있는가
걱정 가득한 칼청에는 탄성만 들리는데
초겨울 하늘엔 궂은 비만 내리네
哀憐劍士

秋夜獨上江月軒
回億恨去一劍士

五更登廳非觀月
三朝避穀不求仙

不知身在急流中
夜半辭家破凶賊

雷雨被襲何變有
嘆聲憂慮滿劍廳
寒天烟雨倍沈沈

RPG 계열 게임에서는 전사의 파생 혹은 차별을 두는 직업군으로 등장하는데, 당연히 만 쓴다. 대개 전사 직업군 특유의 맷집을 희생한 대신에 댐딜 능력을 향상시킨 모습으로 등장한다.

3. 실존인물

3.1. 조선

3.2. 일본

이 외에도 대단히 많은 검객들이 있었다.

3.3. 독일

3.4. 이탈리아

3.5. 영국

3.6. 프랑스

4. 매체에서



[1] 가토리신토류, 가시마신토류, 야규신카게류를 수련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