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07:28

갤럭시 노트 FE/논란 및 문제점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갤럭시 노트 FE
파일:1px 투명.svg 파일:갤럭시 노트 로고_화이트.svg 파일:1px 투명.svg
삼성 갤럭시 노트 시리즈
논란 및 문제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스마트폰
노트 노트 II 노트 3 노트 4
노트 엣지
노트 5
노트 7
노트 FE
노트 8 노트 9 노트 10 노트 20
→ 갤럭시 S Ultra 라인업으로 편입
{{{#!wiki style="margin: -1px -11px -6px"
{{{#fff 태블릿 컴퓨터
노트 10.1 노트 8.0 노트 10.1 2014 노트 PRO 12.2
}}}}}} ||
삼성 갤럭시 노트 시리즈
}}}}}}}}}}}} ||


1. 리퍼비시 모델 논란2. OS 업그레이드 최대 지원 문제 (해결)3. 그 외 문제점

1. 리퍼비시 모델 논란

파일:Galaxy Note Fan Edition.jpg
▲ 갤럭시 노트 FE 공식 사이트에서 리퍼비시 모델이 아님을 강조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사용되지 않은 갤럭시 노트7의 미개봉 기기와 미사용 부품을 활용해 생산한 한정 판매용 신형 스마트폰으로 홍보하면서 리퍼비시 모델이 아니라고 밝히고 있다. 하지만, 기기에서 배터리만 바꿔서 판매하는 사실상 리퍼비시 모델인데 이를 부정하는 것은 아니지 않냐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그러나, 해당 기기는 단순히 배터리만 변경해서 출시한 것은 아니다. 또한, 리퍼비시의 정의는 사용자가 단순 변심 상이나 수리 등의 목적으로 환불, 교환한 기기의 멀쩡한 부품을 재조립한 물건을 의미한다. 해당 기기의 경우에는 아예 출시조차되지 않은 미개봉 기기와 미사용 부품을 활용하는 것이기에 일반적인 의미의 리퍼비시와는 다르다는 의견도 존재한다. 그저 사용하지 않은 미개봉 기기와 미사용 부품을 재활용하는 것 뿐이다. 그 예시로 아이폰 SE가 있는데, 이 경우에는 아이폰 5s 대비 모바일 AP와 RAM 등 업그레이드가 이루어진 부분이 있지만 디스플레이 등 상당 부분의 부품을 재활용했다. 하지만, 아이폰 SE 아이폰 5s의 리퍼비시 모델이라 지칭하는 경우는 없다. 해당 기기와 갤럭시 노트7와의 관계도 아이폰 SE 아이폰 5s처럼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즉, 해당 기기가 일반적인 상황이 아닌 특수한 상황에서 나온 것이긴 하지만 엄밀히 말하면 해당 기기는 하드웨어 사양을 변경한 갤럭시 노트7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제조 공정에서 이상이 생긴 물건을 다시 리워크하는 것은 어느 공장이나 하는 일이기에 리퍼비시의 정의와 실제 기기의 하드웨어 등을 고려할 때 리퍼비시 모델이라 지칭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것이다.

물론, 해당 기기가 리퍼비시 모델이라는 시선을 받는 것 역시 당연하다는 의견도 존재한다. 공개 이전부터 갤럭시 노트7의 리퍼비시 모델이 출시될 것이라는 소식은 삼성전자 직접 밝혔던 내용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실제로 출시된 이후에 삼성전자가 입장을 번복한 것은 단지 마케팅을 위한 행동으로 봐야한다는 것이다. 비교군으로 제시되는 아이폰 SE 아이폰 5s의 경우, 애초에 출시 라인 자체가 다르기 때문에 갤럭시 노트7의 미개봉 기기와 미사용 부품을 재활용한 해당 기기와의 비교는 무리가 있다는 것이다. 더군다나 리퍼비시 모델과 신형 모델의 가장 큰 차이점은 불량의 유무이다. 또한, 리퍼비시의 정의 중 초기 불량 기기의 수리 및 재조립 후 판매라는 전제가 있다는 점에서 갤럭시 노트7과 디자인과 배터리를 제외한 하드웨어 사양이 차이가 없는 해당 기기가 갤럭시 노트7의 리퍼비시 모델이라 지칭하는 것 역시 정의 상 하자가 없다는 의견도 존재한다.

다만, 해당 내용은 삼성전자가 언급한대로 '사용되지 않은 갤럭시 노트7의 부품을 활용한' 기기에는 확실히 부합하나, '미개봉 기기만을 안전한 배터리로 교체'한 기기에는 대해서는 부합하지 않는다. 여기에 한국의 이동통신 시장에서 삼성전자의 고객은 SK텔레콤, KT 그리고 LG U+로 대표되는 이동통신사이지 실제 사용자가 아니다. 실제 사용자는 이동통신사를 통해 기기를 구입하는 경우가 절대다수이므로 삼성전자는 이동통신사에 물량을 공급하는 선에서 이미 판매를 한 것이 된다. 다시 말해, 이동통신사 재고를 회수한 물량은 리퍼비시의 정의에 정확히 부합한다 할 수 있다. 게다가 리퍼비시의 정의가 단순히 '리턴' 뿐만이 아니라 '완성된 기기를 뜯어서 수리 후 재판매'하는 측면도 있다는 점에서 본다면 더더욱 부합한다 할 수 있다.

즉, 해당 논란의 진짜 문제점은 이동통신사에게 회수한 물량과 삼성전자가 이동통신사에 공급하지 않았던 미사용 부품이 서로 섞이면서 사용자가 이를 구분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발생했다고 볼 수 있다.

위 언급의 오류는 삼성전자의 고객 특정을 잘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국내 시장에서 삼성전자의 고객은 명백히 실사용자이지 이동통신사가 아니다. 정확히 말해 국내 이통사는 삼성전자의 협력사이자 유통사이다. 이러한 파트너십 관계를 고객이라 명명한다면 역으로 삼성전자 역시 국내 이통사의 고객인 것이다. 이러한 명칭 오류 및 혼란을 피하기 위해선 고객과 사용자의 의미를 혼동, 혼용하지 않고 구분 사용할 필요가 있다.
유통사에 물량 이전이 됐다고 판매, 매출로 잡는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실제 회계에선 판매되지 않고 남은 재고에 대한 수정 계상 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즉, 실사용자에게 판매되지 않은 시점에서 매출 인식은 철회, 정정되는 것이다.
결국 실사용자에게 직접 공급되지 않은 물량을 리퍼비시로 보는 시각은 현시점에서 매우 부적절하다고 볼 수 있다.

제조 과정에서의 수리 및 재조립은 당연한 공정의 하나이고, 완성품에 대한 검수 후 재조립 역시 매우 흔하고 빈번한 공정 작업의 단계이다. 따라서 실사용자의 손을 타지 않은 제품의 모든 수정 사항은 리퍼비시 정의에 부합하지 않는다.

2. OS 업그레이드 최대 지원 문제 (해결)

갤럭시 노트7는 안드로이드 6.0 마시멜로를 기본으로 탑재한 채 출시되었다. 삼성전자 갤럭시 S 시리즈 갤럭시 노트 시리즈에는 최소 두 차례의 OS 업그레이드를 보장[1][2]하고 있기 때문에 갤럭시 S7처럼 안드로이드 6.0 마시멜로로 시작했으면 안드로이드 7.0 누가를 거쳐서 안드로이드 8.0 오레오까지는 보장받을 수 있었다.

그런데, 갤럭시 노트7 배터리 폭발 사고로 인해 단종되면서 배터리를 바꿔서 재출시되었는데, 그 간격이 약 10개월이나 될 정도로 격차가 벌어졌고 결과적으로 해당 기기가 출시되었을 때는 안드로이드 6.0 마시멜로가 아닌, 빅스비 보이스와 비전만 제외하고 갤럭시 S8과 동일 소프트웨어인 안드로이드 7.0 누가와 삼성 익스피어리언스 8.1을 기본으로 탑재한 채 출시되었다.[3]

이러한 배경 때문에 다음과 같은 의견으로 양분되어 논쟁이 발생하고 있다.
일단, 갤럭시 S7 | S7 엣지는 안드로이드 8.0 오레오 업그레이드가 실시된 상태이며 이쪽도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N935S/K/L 기준으로 안드로이드 8.0 오레오 업그레이드가 실시된 상황이다. 즉, 해당 문제는 안드로이드 9.0 파이 업그레이드가 공론화될 때 다시 수면 위로 올라올 것으로 보인다.

이후 안드로이드 9.0 파이 기반 Wi-Fi 재인증이 통과됨에 따라 안드로이드 9.0 파이 업그레이드가 갤럭시 S7 | S7 엣지와는 달리 사실상 확정된 것으로 보인다.
2019년 1월 15일, 삼성전자의 공식 애플리케이션인 삼성 멤버스를 통해 안드로이드 9.0 파이 업그레이드 대상 기기 목록이 공개되었는데 갤럭시 S7 S7 엣지는 목록에 없었지만 노트 FE는 포함됨에 따라 안드로이드 9 파이 업그레이드가 진행되는 것으로 최종 확정되었고 2019년 4월 기준, 한국 시장을 포함해서 안드로이드 9 파이 업그레이드가 정상적으로 실시되면서 긍정적인 방향으로 논란이 종식되었다.

다만 노트 FE의 안드로이드 9.0 파이 업그레이드와 빅스비 보이스 추가 탑재 논란과 관련하여 갤럭시 S7 | S7 엣지 일부 사용자들이 크게 반발하여 삼성멤버스 등에서 분쟁이 있었다.

3. 그 외 문제점



[1] 한국 시장으로 한정하면 더더욱 OS 업그레이드를 최소 두 차례는 보장했었다. FE 이전 갤럭시 노트 시리즈의 외전 작품이었던 갤럭시 노트 엣지 갤럭시 노트4 엣지 디스플레이 탑재 형제 모델이었기 때문에 하드웨어 사양 차이가 크지 않았고, 갤럭시 노트3의 하위 호환형 파생 모델인 갤럭시 노트3 네오는 한국 시장에서 2 Band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지원을 위해 모바일 AP를 갤럭시 노트3와 동일하게 변경하면서 OS 업그레이드 준비가 더욱 수월했었다. [2] 갤럭시 노트 II의 경우 4.1 젤리빈을 탑재했음에도 롤리팝 업데이트가 되지 않아서 이상해 보일 수 있는데 노트 II 역시 4.1 젤리빈으로 출시된 후 4.3 젤리빈과 4.4.2 킷캣까지 총 2번의 OS 업그레이드를 받았다. [3] 여담으로, 이러한 문제는 안드로이드 6.0 마시멜로로 출시되었으나, 한국 시장의 출시가 늦어지면서 안드로이드 7.0 누가로 올려서 출시된 갤럭시 A7 2017 에디션의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A720S도 해당이 될 수 있다. 다만, 이쪽은 글로벌 모델 자체가 안드로이드 6.0 마시멜로로 출시되었기 때문에 특정 국가 및 지역을 기준으로 잡지 않고 글로벌 모델을 기준으로 잡고 진행될 가능성이 높았으니 결과적으로 노트 FE와 동일하게 안드로이드 9.0 파이 업그레이드 대상 기기에 포함되면서 일단락되었다. 하지만 A7 2017과 같이 공개된 갤럭시 A5 2017 에디션은 8.0 오레오에서 끝나면서 논란이 있었다. [4] 물론 사용자가 임의로 다운그레이드를 하는 행위는 삼성전자서비스에서도 권장하지 않으며 만약 사용자 임의로 다운그레이드를 하다 고장이 발생한 경우 메인보드를 유상 교체해야 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71
, 6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71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