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8-09 12:11:24

강내면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7fc241> }}}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오송읍
구청
강내면
옥산면
법정동
<colbgcolor=#7fc241> 운천동 신봉동
복대1동 복대동
복대2동
가경동 가경동
봉명1동 봉명동 {{{#!wiki style="margin: -5px -11px -16px;" 송정동 }}}
강서제1동 강서동 동막동 비하동 서촌동
석곡동 석소동 수의동 신전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지동동
현암동
휴암동
}}}
강서제2동 남촌동 내곡동 문암동 상신동
송절동 신대동 신성동 원평동
외북동 평동 향정동 화계동 }}}}}}}}} 상당구 · 서원구 · 청원구 · 흥덕구
청주시 흥덕구
강내면
江內面 | Gangnae-myeon
<colbgcolor=#7fbe26><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충청북도
기초자치단체 청주시
일반구 흥덕구
행정표준코드 5730011
관할 법정리 15리
하위 행정구역 37행정리 121반
면적 30.13㎢
인구 10,313명[1]
인구밀도 342.28명/㎢
정치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국회의원 | 청주시 흥덕구

이연희 (초선)
충청북도의원 | 제7선거구

임병운 (재선)
청주시의원 | 사 선거구

김현기 (4선)

박노학 (3선)

허철 (초선) }}}}}}}}}
행정복지센터 태성탑연로 433[2]
강내면 행정복지센터
1. 개요2. 역사3. 명칭4. 상권5. 교통6. 주거7. 관할 리
7.1. 가로수로 이북 3리7.2. 가로수로변 3리7.3. 서부로 이북 3리7.4. 서부로 이남 6리
8. 출신 인물
[clearfix]

1. 개요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서부에 위치한 . 북쪽으로 옥산면, 서쪽으로 오송읍, 남서쪽으로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부강면, 남동쪽으로 남이면, 동쪽으로 강서1동에 접해 있다.

면적은 읍면 치고는 상당히 작은 편으로, 이웃 강서1동보다도 작다. 청주시의 읍면 중에서 제일 면적이 작은 면이다. 두 번째는 남일면. 초기 계획대로 3개리(사곡리, 당곡리, 저산리)가 세종시로 편입됐다면 더 작아졌을 것이다.

2. 역사

조선시대에는 당시 서강내이면[3] 지역이었다. 뜻은 말 그대로 서강(미호천)의 안쪽의 두번째 면.[4] 이후 1909년에 서강내이상면[5]과 서강내이하면[6]으로 나뉘었지만 5년 뒤에 부군면 통폐합에 따라 강내면으로 통합되었다.

2014년 7월 1일 청주시와 청원군이 통합되면서 흥덕구 소속이 되었다. 흥덕구 최남단 지역이다.

3. 명칭

결국에 '강내'로 이름이 굳어지면서 오늘날에도 청주 시가지를 기준으로 ' 미호강 안쪽(동쪽)'으로 생각하면 얼추 맞는다. 미호강 건너편은 '강외면'으로 대구를 이루었으나 읍 승격과 함께 오송읍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동쪽의 강서1·2동[7]도 서강내일하면 소속으로 비슷한 일대이고 거기서의 '강' 역시 미호강을 의미한다.[8] 무심천 너머 청원구 북부에서도 북강내일면 등이 있었는데 그 동네에서는 미호강이 동서로 흐르기에 그 북강도 미호강이다. 그러나 그 일대에서는 오늘날 지명에 '강'을 남긴 지역은 없다.[9]

'강내면'이라는 지명은 다른 지역에도 있을 것 같은데 의외로 전국에 청주시 강내면 하나뿐이다. 과거부터 중심지를 기준으로 강의 밖과 안을 구분하는 용법은 제법 쓰였지만[10] 의외로 이걸 정식 행정구역 명칭으로 쓴 사례는 많지 않다.[11] 사실 강서동 역시 현대에 와서 강서구를 만든 대도시는 있어도 강서동이나 강서리는 많지 않은 것을 보면[12] 청주가 강을 유별나게 지명에 많이 쓰는 편이다. 근대 들어 서강내이상·하면과 서강외일상·하면만 강내면과 강외면으로 명칭이 남아서 그렇지 원래 서강내일상·하면(강서면), 서강외이상·하면(옥산면), 북강외일상·하면&북강외이면(오창면), 북강내일면(북일면), 북강내이면(북이면) 등 미호강과 무심천을 중심으로 무수히 많은 지명들이 있었는데 이는 전국적으로 봐도 특이한 경우다.

정확한 명칭은 '강내면'이지만 미호강과 한국교원대학교부설미호중학교의 영향인지 타 지역 사람들은 강내면을 거의 미호로 많이 부른다. 흔히 '미호'라는 지명은 후술할 가로수로변 시가지가 조성되어있는 월곡리, 탑연리 지역(더 나아가면 월탄리까지)을 지칭한다. 이외 나머지 지역은 강내라고 부르는 듯. 과거에 이 일대에 미호역이 있었던 것과도 관련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지역민들은 그냥 강내라고 부른다.

2012년에 강내면과 대구를 이루던 강외면이 읍으로 승격하여 이름을 바꾸고 2013년에 강내면도 '미호면'으로 변경 추진을 시도하였으나 미호라는 명칭이 일제 지명 잔재라는 이유로 지역 주민들이 크게 반발하여 무산되었다. #, # 다만 최근에 미호라는 명칭이 일제 지명 잔재가 아니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

4. 상권

청주시에서는 옥산면과 더불어 가장 성장 잠재력이 높은 지역 중 하나이다. 세종시( 조치원) 및 오송 권역과 청주 권역의 사이에 있어 이들을 잇는 간선도로 가로수로( 36번 국도)가 지나가지만, 몇몇 아파트 단지가 각개적으로 건설되는 것 이외에는 이렇다 할 개발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지역이다.

2021년 6월에 흥덕구청이 이전하였으며,[13] 향후 두 도시 사이에 끼어있는 지리적 이점을 충분히 활용해 수혜 지역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되면 오송역에 밀린 청주역은 다시 살아날 가능성이 있다.

한국교원대학교 충청대학교도 있다. 나름 대학가라서 그런지 '면' 단위임을 감안한다면 의외로 롯데리아나 유명 치킨 브랜드가 다수 있다. 오송신도시가 생긴 후부터는 오송읍과 강내면은 다리 하나 사이를 두고 매우 연담화되어 두 지역이 서로 한 생활권을 공유하고 있기에 강내면 업체가 오송까지 배달을 가거나, 오송 쪽 업체가 강내면으로 배달을 오는 등 배달음식 구역이 살짝 합쳐진 모양새를 하고 있다. 육안으로 봐도 강내면에서 청주시내보다 오송읍이 더욱 가깝기 때문에 이러한 특성이 더욱 두드러진다.

교원대 남쪽으로는 공장들이 산재해있어 외국인 노동자들을 513번 버스나 교원대 정문 편의점에서 이따금 볼 수 있다. 주로 교원대 정문 쪽에 거주하는 것으로 보인다.

5. 교통

경부고속도로가 면의 동쪽을 관통해서 지나간다. 청주IC 역시 가로수로를 면하여 이 곳에 존재하지만 톨게이트나 국도 측 진입로 자체는 석소동에 있어 완전하게 속했다고 하기는 힘들다.

36번 국도( 가로수로)와 507번 지방도, 594번 지방도( 서부로)가 지나가고 있다. 특히 이 36번 국도 구간은 행정중심복합도시, 조치원읍, 오송읍으로 가는 주 간선도로임에도 불구하고 왕복 4차로라서 정체가 매우 심각했다. 심하면 청주IC 앞부터 탑연삼거리까지 막힐 때도 있을 정도. 그리하여 현재 확장공사가 진행중이며 완공시 왕복 6~8차로가 될 것으로 보인다. 도로확장으로 과거 도로변의 낙후된 상가는 전부 철거되었으며 일부 구간은 충북선 바로 옆을 지나가게 된다.

철도로 경부고속선, 호남고속선 충북선이 지나가지만 역은 없다. 과거 충북선 미호역이 월곡리에 있었는데 1974년에 폐역되었다. 청주시 장기 교통 계획상 기약은 없긴 하지만 다시 개업할 가능성은 있다.

면내로 들어오는 버스노선 중 502, 503, 509, 511번은 36번 국도를 온전히 지나며, 500번 청주역 쪽에서 들어와서 36번 국도를 탄다. 516번은 시내에서 36번 국도를 타고 오다 월곡사거리에서 흥덕구청 안으로 경유했다가 충청대학교 정문으로 다시 들어간다. 513번은 시내에서 36번 국도를 타고 오다가 탑연삼거리에서 교원대로 들어가며, 514번 청주역 쪽에서 들어와서 학천리를 지나 교원대로 들어간다. 512번은 시내에서 서부로를 통해 들어와 면 남부를 관통한다.

이외에도 518번 913번이 운행한다.

공영버스는 2023년 12월 개편으로 사라졌으며 청주콜버스로 대체되었다. 단, 일부 시간대에 콜버스 차량으로 51번 고정노선이 운행한다.

광역버스 중에 세종시와 청주시가 공동운행하는 B7번이 세종청주로를 지나가면서 강내면을 거치지만, 강내면에 있는 버스정류장에 따로 정차하지는 않는다.

6. 주거

7. 관할 리

7.1. 가로수로 이북 3리

충북선이 가로로 지나가고 남북으로 마을이 있어서 건널목이 상당히 많다. 충북선 남쪽 가로수로변 일대가 중심지라서 건너가야 할 일도 많고. 3.7km 경유 구간 중에 건널목이 6개나 있다.[14] 학천리는 마을 사이를 충북선이 관통할 정도. #

가로수로, 충북선 즈음에 비슷하게 수석천이라는 좁은 시내가 흐른다.

이 이북은 강서1동이다. 1987년 강서1동으로 편입된 정봉동, 신촌동도 이 일대와 가깝다.

7.2. 가로수로변 3리

교원대, 충청대, 면사무소 등을 끼고 있는 강내면의 중심지이다. 위의 가로수로 이북 3리까지 포함하여 여기까지가 서강내이하면이었다.

7.3. 서부로 이북 3리

7.4. 서부로 이남 6리

연동면, 부강면과 인접한 남부의 사곡리, 당곡리, 저산리가 세종특별자치시 편입예정이었지만 부강면과 달리 주민투표의 부결로 이쪽은 잔류하게 되었다.

8. 출신 인물


[1] 2024년 6월 주민등록인구 [2] 탑연리 304-1 [3] 궁현리 태성리 당곡리 저산리 연정리 다락리 황탄리 산단리(상면) / 월곡리 부탄리 학천리 탑연리 사인리 석화리(하면) / 석소리 정봉리 신촌리(하면, 이후 강서동), 18개리. [4] 참고로 서강내일면은 오늘날의 강서동과 일부 시내지역을 포함하는 지역이다. 조선시대에는 가경동이나 봉명동, 복대동은 물론 개신동, 성화동도 이곳에 포함되었지만 차차 사주내면 관할로 바뀌면서 일제강점기에는 현재의 강서동과 비슷해졌으며 이후 1914년 서강내일상면과 서강내일하면이 강서면으로 통합된다. [5] 궁현리 태성리 당곡리 저산리 연정리 다락리 황탄리 산단리 사곡리, 9개리. [6] 월곡리 부탄리 학천리 탑연리 사인리 석화리 / 석소리 정봉리 신촌리, 9개리. 뒤에 쓴 3개리는 이후 강서동으로 편입됐다. [7] 일찌감치 1983년에 청주에 편입되어 동이 되었다. [8] 단, 강서동은 '강서동'으로 순서가 바뀌는 통에 무슨 강을 얘기하는 건지 알기 어려워졌다. [9] 북강내이면 일대가 북이면이 되기는 했으나 이는 '북강'의 일부를 남겼다기보다는 남이면이나 남일면과 같이 '청주 북쪽/남쪽' 식으로 붙인 것인 듯하다. [10] 훈요십조에서 언급하는 공주강 바깥 역시 공주를 기준으로 금강 바깥편, 즉 금강 이북지역을 가리키는 것으로 해석된다. [11] 강내동은 없으며 강내리는 연천군 왕징면에 소재해있다. 임진강이 리를 휘감기에 그런 이름이 붙었다. 민통선 이북 지역이라 이 강내리를 언급할 일은 거의 없다. [12] 강서리는 연천군 왕징면과 경산시 압량읍에, 강서동은 양산시에 하나씩 있다. 더 나아가 북한 평안도에는 강동군 강서군이 있다. [13] 후술하겠지만, 석소동과 경계에 위치해있다. [14] 강서2동도 충북선이 가로로 지나가지만 대부분 입체교차하기에 건널목은 많지 않다. [15] 정확하게는 석소동(행정동 강서1동)과의 경계지점. [16] '다락리'라는 지명은 전국에 이 지역 1곳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