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2004년 한국갤럽이 창립 30주년을 맞이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한국인이 좋아하는 것들에 대해 알아보는 한국인이 좋아하는 조사 시리즈를 기획해 2004년부터 5년 주기로 발표하고 있다. | ||||||||
2004년 | |||||||||
※ 2004년 한국갤럽이 한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한국인이 좋아하는 나무'을 선정. | |||||||||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소나무 | 은행나무 | 단풍나무 | 벚나무 | 느티나무 | |||||
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아카시아나무 | 향나무 | 대나무# | 동백나무 | 감나무 | |||||
2019년 | |||||||||
※ 2019년 한국갤럽이 한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한국인이 좋아하는 나무'을 선정. | |||||||||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소나무 | 벚나무 | 느티나무 | 단풍나무 | 편백나무 | |||||
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은행나무 | 동백나무 | 아카시아나무 | 대나무# | 잣나무 | |||||
11위 | 12위 | 13위 | |||||||
전나무 | 향나무 | 버드나무 | |||||||
# 대나무는 풀이지만, 통계 분류상 나무로 포함. | |||||||||
같이 보기: 한국인이 좋아하는 꽃, 한국인이 좋아하는 나무, 좋아하는 산, 좋아하는 한식 | }}}}}}}}} |
향나무 Chinese juniper |
||
|
||
<colcolor=#000,#fff> 학명 |
Juniperus chinensis L. |
|
분류 | ||
<colbgcolor=#d7ffce,#0f4a02> 계 | 식물계(Plantae) | |
분류군 | 관다발식물군(Tracheophytes) | |
겉씨식물군(Gymnospermae) | ||
문 | 구과식물문(Pinophyta) | |
강 | 구과식물강(Pinopsida) | |
목 | 측백나무목(Cupressales) | |
과 | 측백나무과(Cupressaceae) | |
속 | 향나무속(Juniperus) | |
종 | 향나무(J. chinensis) |
[clearfix]
1. 개요
동아시아[1]에 자생하는 측백나무과에 속하는 상록침엽수.2. 언어별 명칭
<colbgcolor=#f5f5f5,#2d2f34>언어별 명칭 | |
영어 | Chinese juniper |
한국어 | 향나무~ |
중국어 | [ruby(桧树,ruby=guìshù)] |
일본어 | [ruby(伊吹,ruby=いぶき)] |
3. 상세
보통 5m 정도 자라며 성장이 매우 느린 편이지만 좋은 환경에서는 꾸준히 자라서 15~20m 정도까지 크기도 한다. 어린 가지는 녹색이고 3년생 가지는 적갈색이며, 그 이상 오래되면 나무껍질이 잿빛이 도는 암갈색이 되며 세로로 얇게 조각조각 벗겨진다.향나무는 한 나무에 비늘잎과 바늘잎이 둘 다 난다.[2] 뾰족한 바늘잎은 돌려나거나 마주나고, 끝이 둥근 비늘잎은 납작하고 부드럽다. 어린 가지에는 바늘잎이 달리고 7~8년 이상 묵은 가지에는 비늘잎이 달리는 편이나, 가지치기해서 새로 나온 잎의 경우 바늘잎과 비늘잎이 동시에 나오기도 한다.
암수딴그루로 가지 끝에 달리는 수꽃은 타원형이고 노란색이며 둥그스름한 암꽃은 가지 끝이나 잎겨드랑이에 달린다. 둥근 열매는 초록색이며 검은색으로 익는다. 자체적으로 향이 난다.
곱향나무(Juniperus communis var. saxatilis)는 두송의 변종인데 함경도 이북에서 자라는 북방계 수종으로 남한에서는 서식하지 않는다.[3]
4. 쓰임새
향을 만드는 재료이고, 그 향내 때문에 산소나 묘지에 가면 흔히 볼 수 있다.[4] 향 때문에 묵주나 염주를 만드는 재료로도 나름대로 인기가 있다. 나무도 열매도 향수의 원료로 사용되기도 하는데 향 설명에서 주니퍼 또는 주니퍼 베리(열매)로 흔히 기재되어 있다.옛날부터 우물 옆에 향나무를 심었는데 사망한 시신을 염을 했다. 그 우물의 물과 향나무 가지을 끓여서 그걸로 염했다고 한다. 또한 향나무 뿌리에는 물을 소독을 해주는 성분이 들어 있다고 생각해서 우물 옆에 향나무를 심었다. 그때 당시 소독약이 없던 시대에 조상들의 지혜가 돋보인다.
또한 향나무 줄기나 잎에는 limonene이나 α-pinene 등의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서 고혈압 · 심한 복통 · 곽란 등의 치료제 또는 향료로 쓰인다.
연필을 만들 때는 동아시아 원산인 향나무 대신 북아메리카 원산인 연필향나무를 이용하는데 어릴때의 성장이 향나무속 중에서 가장 빨라 대량 생산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5. 향나무 '가이즈카'[5]
학명은 Juniperus chinensis 'Kaizuka'. 향나무에 속하는 원예품종(재배품종)이다. 일본어로 カイヅカイブキ(貝塚息吹, 가이즈카이부키).[6] '가이즈카향나무', '왜향나무', '나사백'라고 부른다. 향나무에 비해 키가 작고[7] 바늘잎이 거의 없으며 중심 줄기가 마치 '나사'처럼 나선형으로 빙빙 꼬여서 자라는 것이 특징이다.
일제강점기에 많은 총독들이 기념식수 때 가이즈카향나무를 심어서,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이 나무는 일제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그래서 민족정기 훼손, 일제잔재 청산을 이유로 주요 공공 건물에서 추방되어 다른 곳으로 옮겨지고 있다. # 마찬가지 이유로 해서 많은 학교에서 가이즈카향나무가 교목(校木)이었던 경우 다른 나무들로 바뀌고 있다.[8]
[1]
중국, 한국, 일본, 러시아에서 자생하며, 특이하게
미얀마에도 자생지가 있다.
[2]
향나무속(Juniperus)에는 바늘잎만 나는 종과 비늘잎과 바늘잎이 둘 다 나는 종으로 나뉘어지는데, 바늘잎만 나는 종으로는
노간주나무,
해변노간주, 두송, 곱향나무 등이 있다.
[3]
순천 송광사 천자암 쌍향수는 사실 향나무다. 굽어있는 모습이 곱은 것 같다고 곱향나무라고 부르는 것.
[4]
그 자체가 좋은 관상목이기도 하지만, 가지를 꺾거나 마른 가지를 태워 그대로 향으로 사용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5]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추천하는 한글명.
[6]
오사카부
가이즈카시에서 유래한 명칭이다.
[7]
향나무가 25m까지 자라는데, 가이즈카향나무는 10m까지 자란다.
[8]
일부 학자들은 논문에서 가이즈카향나무는 향나무의 일종일 뿐이고 이름은 단순한 상표명에 불과하다고 주장하며, 이토 히로부미가 심었다는 달성공원 향나무도 근거가
교차검증이 되지 않는다고 지적한다.
# 하지만 일본의 백과사전(개정신판)에서는 단순히 향나무에서 선별한 품종일 뿐이라는 주장과 함께, 일본 변종 미야마향나무(ミヤマビャクシン)에서 선별한 품종이라는 주장도 소개하고 있다.
# 그리고 이토 히로부미가 심었다는 달성공원 향나무도 교차검증이 되지 않았을 뿐이지 어쨌든 그러한 근거가 있다는 것 자체는 사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