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25 12:22:10

死月

死月 2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사월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달에 대한 내용은 4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의 역에 대한 내용은 사월역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택배기사의 주인공에 대한 내용은 택배기사(웹툰) 문서
4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DIA의 노래에 대한 내용은 YOLO(DIA) 문서
2.3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ruby(死月,ruby=Death Moon)]
사월

1. 개요2. 死月
2.1. 오투잼 온라인2.2. 펌프 잇 업
2.2.1. BGA2.2.2. 아케이드2.2.3. 숏 컷
2.3. Geometry Dash 건틀렛 맵 : Death Moon
2.3.1. 구간
3. 死月 2 (사월 2)4. 死月의祝祭 (사월의 축제)5. 여담

[clearfix]

1. 개요

SHK가 작곡한 음악으로, 오투잼 시리즈의 수록곡 중 하나. 2005년 4월에 공개되었다.

한자 제목은 이지만 4월의 뜻도 포함되어 중의적이다.

물론 곡 하나는 명곡으로 평가받지만, 오투잼 온라인에서는 변속이 과해서 패턴이 혹평받기도 했다.

2. 死月


작곡가 유튜브 공식 영상.

후일 지오메트리 대시에서 무단 사용되어 유명해지자 SHK가 직접 뉴그라운드에 원음을 올려 사용을 허가해주었다. 그리고 후술하듯 건틀렛이라는 공식 콘텐츠에 들어감으로써 사실상 준 공식화가 되었다!

2.1. 오투잼 온라인

예전 O2Jam 버전에서는 중간중간 찰진 변속 때문에 플레이어들을 당황시키곤 했다. 다만 플레이어 당황시킴을 넘어서 비판이 강했다. 4월 변덕스러운 날씨를 표현한답시고 2 ~ 4배속의 변속을 변태같이 넣어버렸다.

2.2. 펌프 잇 업

사월
최초 수록 버전 펌프 잇 업 PRIME 2
아티스트 SHK
BPM 160
비주얼 SMIN
채널 Xross / Prime 2
레벨 데이터 ※ PHOENIX 기준
타입 레벨
Normal <colcolor=white> Single 3 / 6 / 11 / 14 / 17 / 19
Double 7 / 17 / 21
Co-Op 2인
Short Cut Single 9 / 16 / 19 / 22
Double 18 / 23
채보 제작자
타입 레벨 및 제작자
Normal <colcolor=white> S3 / S6 / S11 / S14 / S17 / S19 NIMGO
D7 / D17 / D21
Co-Op x 2
DP3 UYAB
Short Cut S9 / S16 / S19 / S22 EXC
D18 / D23

펌프 잇 업 PRIME 2에 콜라보레이션 수록. 2분 가량으로 커팅 되었다.

2.2.1. BGA


SMIN이 BGA를 새로 제작했다.

2.2.2. 아케이드

S3

S6 - 대부분 4비트로 이루어져 있지만, 8비트가 간간히 섞여 있는 곡이다. 클리어 난이도는 6렙에서 하 내지 중하 정도. 8비트 맛보기로 좋다고 해도 무방하다.

S11 - 8비트 위주의 곡이지만 계단과 대각틀기들, 더블클릭, 같은 발로 처리하는 2노트 이후 단타들이 연속적으로 섞여있는 매우 난해한 채보. 틀기 연습용으로는 도움이 될 지 모르나 레벨에 비해 채보의 강도가 쎈 감이 다분하다. BPM도 160으로 느리지 않아서 이 레벨대를 하는 유저들이 눈으로 따라가기에 정말 어려워할 수도 있다. 느린 곡으로 틀기 길이나 자세를 좀 더 익히고 난 후에 이 곡을 하는 것을 추천한다. 이 무자비한 채보가 수록 당시에는 10이었다!

S14 - 180도 틀기, 끌기에 약하다면 이 채보가 S11보다 더 쉬울 수도 있다.

S17

S19

D7

D17 - D21의 열화판. 박자가 정박으로 쪼개지지 않은 구간이 있어서 잔그렛을 유발하는 채보.

D21 - 전체적으로 이동이 섞인 틀기나 발을 뒤로 빼서 밟는 틀기, 한쪽만 보고 밟는 틀기같은 어려운 틀기들이 많이 나오는 곡. BPM에 비해 틀기의 강도가 좀 세기도 해서 익숙하지 않다면 체력적으로 부담을 느끼기도 한다. 틀기 길 자체가 보통 곡들보다 복잡하고 발판을 굉장히 골고루 쓰기 때문에 잘못 밟거나 잠깐 방심하면 놓치기 쉬운 어려운 채보이지만 롱놋을 충분히 주기 때문에 클리어만 따지고보면 엄청 어렵지는 않은 편.


Co-Op (2인용)

2.2.3. 숏 컷

S9

S16 - 허리틀기는 없지만 폭타가 길다. 마지막은 연속 떨기로 마무리 된다. 여기서 판정이 좋지 못하면 게이지가 그대로 추락할 수 있다. 수록 당시엔 15였으나 XX에서 16으로 상향되었다.

S19 - 폭타는 처음에는 떨틀기로 가다가 허리틀기가 점점 강화되는 구조이다. 마지막은 계단이 16번으로 반복되면서 끝.

S22 - 1.07.0 업데이트로 추가된 채보. 한마디로 정신나간 채보인데, 24비트 떨기가 주구장창[1] 나오다가 잠시 소강상태를 보이고, 알레그로 폭타가 나온 뒤 마지막은 24비트 떨기가 계속 이어지면서 끝난다.

D18 - 중반부터 시작되는 틀기가 쉴새없이 계속되어 체력을 빨아먹고, 막판에는 애매한 박자의 떨기로 깎아먹게 만든다. 수록 당시에는 17이었으나 XX에서 18로 상향. 다만 18에서도 여전히 최상급이라 체감 난이도는 19가 적합하단 소리가 많다.

D23 - 중반부터 짤막한 계단을 동반한 폭타가 쏟아지는 테크닉 곡. 보폭을 크게 잡고 움직여야 하고 중반부의 하프더블이 상당히 헷갈리게 나오므로 천천히 집중하여 처리하여야 한다. 이 난이도의 하이라이트는 마지막에 나오는 3연속 대계단으로, 게이지에 무게추라도 달아놓은 것처럼 유저를 침몰시킨다. 4놋 이후 쉬는 시간 없이 계단이 오른쪽부터 바로 시작되므로, 시작 전에 몸이나 발이 일단 오른쪽으로 많이 가서 계단처리를 위해 준비를 하면 뭉개거나 틀어밟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된다. 모든 구간들을 안심할 수 없게 만드는 채보로, 롱놋이 많지 않아 게이지 관리가 어렵다. 그래도 구간별로 스타일이 뚜렷하므로 차분하게 한 구간씩 공략한다고 생각하면서 도전하도록 하자. 수록 당시에는 22였다가 XX에서 23으로 상향되었지만 여전히 불렙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Nyarlathotep 숏컷 D24보다 어렵단 플레이어들도 많다.

2.3. Geometry Dash 건틀렛 맵 : Death Moon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77777, #222222, #222222, #222222, #777777)"
파일:Geometry Dash Logo.png
개별 문서/문단이 있는 건틀렛 맵 일람

{{{#!wiki style="margin: 0px -10px 0px"
{{{#!folding [ PART 1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tablewidth=100%><colbgcolor=#0080ff><colcolor=#fff>
Fire
Gauntlet
파일:HardGMD.png OuterSpace  파일:HardGMD.png Overture  파일:HarderGMD.png First Race
파일:HarderGMD.png Shock  파일:HarderGMD.png Magmatic Sanctuary
Ice
Gauntlet
파일:HardGMD.png Amplification  파일:HardGMD.png Skyward  파일:HarderGMD.png Carnation
파일:HarderGMD.png GeoBound  파일:HarderGMD.png Polihedral
Poison
Gauntlet
파일:HardGMD.png Acid Factory  파일:HardGMD.png Beast Mode Full  파일:HardGMD.png Ground Zero
파일:HarderGMD.png Shrimp  파일:HarderGMD.png Generation Retro
Shadow
Gauntlet
파일:NormalGMD.png Spooky Light  파일:NormalGMD.png Ominous  파일:HardGMD.png GhostTown
파일:HardGMD.png Fear zone  파일:HardGMD.png Infusion
Lava
Gauntlet
파일:NormalGMD.png Infernal Arena  파일:HardGMD.png Ichor  파일:HarderGMD.png Frontline Full
파일:HarderGMD.png Fire Aura  파일:HarderGMD.png Danger Zone
Bonus
Gauntlet
파일:NormalGMD.png Chambers  파일:HardGMD.png Rising  파일:HardGMD.png Battletown
파일:HardGMD.png Crazy Ball  파일:HarderGMD.png Payload
Chaos
Gauntlet
파일:HardGMD.png Anubis  파일:HarderGMD.png Scarlet Surge  파일:HarderGMD.png Drippy Dub
파일:HarderGMD.png Kappaclysm  파일:HarderGMD.png dark drop
Demon
Gauntlet
파일:EasyDemonGMD.png Sidestep  파일:EasyDemonGMD.png Traction  파일:MediumDemonGMD.png Mechanical Showdown
파일:EasyDemonGMD.png Vibration  파일:MediumDemonGMD.png HeLL
}}} }}}
[ PART 2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tablecolor=#373a3c,#ddd><colbgcolor=#0080ff><colcolor=#fff><width=20%>
Time
Gauntlet
|| 파일:HardGMD.png Mind Control  파일:HarderGMD.png Half Past Twelve  파일:HarderGMD.png Rose ||
Crystal
Gauntlet
파일:HardGMD.png Lustre  파일:HardGMD.png Crystal Fusion  파일:HarderGMD.png Sanctuary of Light
파일:HarderGMD.png Prismarine  파일:HarderGMD.png Crystal Essence
Magic
Gauntlet
파일:HarderGMD.png kalaxian  파일:HarderGMD.png Odyssey  파일:HarderGMD.png Empyrean
Spike
Gauntlet
파일:HardGMD.png Pureland  파일:HardGMD.png Tenebris  파일:HarderGMD.png Powerful

Monster
Gauntlet
파일:HarderGMD.png SLAM  파일:InsaneGMD.png OMG ALIENS  파일:InsaneGMD.png Monster Mischief
파일:InsaneGMD.png Mechanism  파일:InsaneGMD.png HellGate Menace
Doom
Gauntlet
파일:EasyDemonGMD.png Extinction  파일:DemonGMD.png Nowise
Death
Gauntlet
파일:InsaneGMD.png Ghoul
}}}
[ PART 3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tablecolor=#373a3c,#ddd><colbgcolor=#0080ff><colcolor=#fff><width=20%>
Forest
Gauntlet
|| ||
Rune
Gauntlet
Force
Gauntlet
Spooky
Gauntlet
Dragon
Gauntlet
Water
Gauntlet
파일:EasyDemonGMD.png Submerged  파일:MediumDemonGMD.png CALYPSO BLITZ
Haunted
Gauntlet
Acid
Gauntlet
Witch
Gauntlet
Power
Gauntlet
Potion
Gauntlet
Snake
Gauntlet
Toxic
Gauntlet
Halloween
Gauntlet
Treasure
Gauntlet
Ghost
Gauntlet
Spider
Gauntlet
Gem
Gauntlet
Inferno
Gauntlet
Portal
Gauntlet
파일:HardGMD.png Azimuth  파일:HardGMD.png WhyMeWhyMeWhyMeWhyMe  파일:HarderGMD.png Tsuretette
Strange
Gauntlet
파일:HarderGMD.png b spr9s0
Fantasy
Gauntlet
파일:NormalGMD.png Dreamy
Christmas
Gauntlet
Surprise
Gauntlet
Mystery
Gauntlet
Cursed
Gauntlet
파일:EasyDemonGMD.png Death Moon
Cyborg
Gauntlet
Castle
Gauntlet
파일:EasyDemonGMD.png GLORIOUS FORTRESS  파일:MediumDemonGMD.png Still Life
Grave
Gauntlet
Temple
Gauntlet
World
Gauntlet
파일:HarderGMD.png Nivel  파일:InsaneGMD.png Great White North  파일:InsaneGMD.png Frostburn Peak
파일:InsaneGMD.png PLANET X
Galaxy
Gauntlet
Universe
Gauntlet
파일:EasyDemonGMD.png Ruta del Sol  파일:MediumDemonGMD.png Asadal
Discord
Gauntlet
파일:NormalGMD.png Afterlife  파일:HardGMD.png Snow Flies in Fog  파일:HardGMD.png Growing Insane
파일:HardGMD.png Double Dimension  파일:HarderGMD.png Radiant Glen
Split
Gauntlet
파일:InsaneGMD.png Seasonal Haven  파일:InsaneGMD.png Wild Card  파일:EasyDemonGMD.png Sinless Ash
파일:EasyDemonGMD.png Change of Scene
}}} ||

파일:CursedGauntletIcon.png
Cursed Gauntlet의 마지막 맵
<rowcolor=#fff> 파일:EasyDemonGMD.png 이지 데몬(Easy Demon)
Death Moon

캡션
<rowcolor=#fff> 맵 ID 클리어 시간 맵 제작자
8660411 2분 43초 Caustic
<rowcolor=#fff> 보상
10 파일:StarGMD.png
500 파일:OrbGMD.png
12 파일:DiamondGMD.png
<rowcolor=#fff> 맵 순서
{{{#!wiki style="margin: -16px -11px" iSpyWithMyLittleEye Death Moon -
}}} ||
Song by SHK

1.9시절 FunnyGame이 만들고 부계정 Caustic에 업로드한 맵. 맵이 곡의 테마( 死月)을 따르는 것도 특이점이며, 1.9 치고는 디자인이 매우 좋아 2.0 맵으로 착각하는 사람들도 몇몇 있을 정도.[2]

그리고 2.2가 출시된 2024년 5월 20일 오전[3]에 이 맵이 Cursed Gauntlet에 들어가게 되었다! 이로써 Part 2와 Part 3을 통틀어서 최초로 들어가게 된 1.9 레벨이며, 모든 건틀렛을 가지고 이야기해 보자면 현재까지 나온 건틀렛에서 4번째로 오래된 레벨.[4] 나머지 네 맵들이 모두 2.1 맵들이라는 것을 감안하면 같은 건틀렛 맵 내에서는 가장 오래되었지만 디자인 평가는 최고의 1.9 건틀렛 맵. Scarlet Surge는 디자인도 쉽게 질리는 데다가 퀄리티도 별로이고, Fire Aura는 그냥 평범한 1.9 맵이며, Kappaclysm의 퀄리티는 이 맵과 비슷하지만 익데 Cataclysm의 리메이크 너프작이라는 것에 있어 나머지 세 맵보다 월등하다.

다만 이 맵이 뒤늦게 건틀렛에 들어오는 것에 대해서는 우려가 많다. 디자인은 좋고 페이크도 적어 전체적으로 옛날맵 치고는 이래저래 호평을 받는 맵이지만 옛날맵 답게 갑툭튀성 게임플레이가 있고, 듀얼 구간 등은 불친절한 편이라 유저맵에 큰 관심이 없는 사람들은 막연하게 건틀렛에서 마주했다가 좋은 맵으로 기억되지 못할 수도 있고, 유명세를 이미 너무 많이 탄데다가 옛날맵인데 굳이 2.2 건틀렛에 뒤늦게 넣어야 했냐는 의견도 있다.[5]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2.3.1. 구간

1. 첫 큐브 구간
파일:NormalGMD.png [6] 첫 구간부터 갑툭튀가 어느정도 있다. 톱니바퀴를 한 번 넘은 후 연속으로 3번 점프하는 패턴이 총 4번 등장한다. 갑툭튀가 총 3번 나오는데, 한 번은 3단 가속 포탈을 타고, 한 번은 중력반전 포탈을 타고, 한 번은 좌우반전 포탈을 타고 나오니 주의.[7] 이후 중력반전 포탈을 타고 나서 비행 구간이 시작된다.
2. 비행 구간
파일:HarderGMD.png ~파일:InsaneGMD.png 이제부터 제대로 시작이라고 보면 된다. 비행 구간도 갑툭튀로 시작하니 주의. 대형 비행 구간은 장애물을 적절히 피해 주면 되어서 데몬을 깰 실력이라면 전혀 어렵지 않지만, 소형화 비행 구간은 진짜 블럭과 장식 블럭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배/등깔기가 어려운 데다가[8] 톱니의 배치까지 애매하게 되어 있어 곤란하다. 물론 적응되었다면 난이도가 조금 내려간다.
3. 소형화 큐브 구간
파일:HardGMD.png 무난한 구간. 다만 중력반전 포탈을 타고 두 개의 갈림길 블럭이 나오는데, 늦게 점프해서 위로 올라가야 한 후 가시를 넘어주어야 한다.
4. 듀얼 구간
파일:EasyDemonGMD.png 블럭이 가려지거나 움직이는 등의 암기 연출은 하나도 없지만 듀얼 모드인데다가 점프해야 할 곳과 하지 말아야 할 곳을 맨눈으로 판단하기 매우 어렵다. 연습모드로 익혀야 하거나 통으로 외워야 하는 구간. 불행 중 다행으로 듀얼 구간이 짧은 편이다.
5. 웨이브 구간
파일:HarderGMD.png 대형 웨이브가 나오는데, 보기에는 어려워 보이지만 사실상 까고 보면 히트박스 빨이라서 그리 어렵지 않게 넘어갈 수 있다. 그 다음은 소형 웨이브가 나온다. 연타 간격은 넓은 편이고, 칼타이밍처럼 보이는 구간도 사실은 바닥에 약간동안 슬라이딩이 가능해서 넘어갈 수 있다.
6. 짧은 소형화 큐브 구간
파일:Easy GMD.png 별 할 것 없이 그냥 쉬면서 간단한 점프만 하면 되는 구간. 듀얼을 넘어 놓고 여기서 죽지 말자. 중력반전이 나오지만 영향을 받지는 않는다.
6. 비행,UFO 구간
파일:HarderGMD.png ~파일:InsaneGMD.png 비행 구간은 포탈을 타자마자 바로 비행을 해야 하며, 이외에는 쉽게 넘어갈 수 있지만 문제는 UFO 구간. 보기에는 넓어 보이지만 히트박스가 애매하고, 속도가 빨라 외워야 하는 구간이 종종 있는 등 단번에 지나가기엔 꽤나 어려운 구간. 중간에 볼이 한 번 나오는데 볼은 매우 쉬우니 설명은 생략.
7. 웨이브 구간
파일:HarderGMD.png [9] 속도도 빠른 편이고 히트박스 스웨그가 잘 먹히지 않아[10] 어렵다. 또한 톱니와 가시가 구간 전체에 널리 퍼져 있는데 이 때문에 Sinless Ash의 마지막 구간처럼 어디가 편하고 어디가 어려운지 알기가 어렵다.
8. 큐브, 볼 구간
파일:HardGMD.png 어려워 보이지만 패턴만 외우면 단순하다. 웨이브가 끝나고 나오는 큐브는 단순한 점프와 타이밍이 몇 개 있고, 볼은 포탈을 타자마자 계속 눌러주고, UFO 전에 나오는 큐브에서는 계속 꾹 누르기만 하면 된다.
9. UFO, 비행 구간
파일:HarderGMD.png 가운데에서 날고 중력반전이 있는 패턴이다. 2.1 UFO 점프높이 수정사항 때문에 어려울 수 있지만 다행히도 소형화이고 구간이 짧아 크게 체감되지 않는다. 그래도 간격이 어느정도 좁은편이니 주의가 요구된다. 이후 큐브 구간에서 위로 날아가고 비행에서 조금 날다가 쉬면 웨이브가 시작된다.
10. 웨이브 구간
파일:InsaneGMD.png 감속이지만 칼타이밍이 많다. 이는 웨이브 실력에 따라 편차가 약간씩 갈리는 구간. 이후 웨이브 연타 구간도 주의해서 넘어가자.
11. 비행 웨이브 구간
파일:HarderGMD.png 컨트롤은 어렵지 않지만 눈속임이 심하다 마지막까지 주의해서 지나가자. 오토처럼 보이는 구간도 엔딩 전에 블럭이 있으니 주의. 이후 死月 문구와 함께 맵이 끝난다.

3. 死月 2 (사월 2)

3.1. 오투잼 온라인


오투잼 PC 서비스 당시 패턴.



死月의 후속작이다. 2008년 8월에 공개된 곡으로, 전작의 멜로디를 인용하면서 새로운 느낌으로 제작되었다. 당시 곡 구매 가격은 2000원. SHK 특유의 뽕짝 비트가 촌티 나지만 당시에는 괜찮은 곡이었다. 하지만 음악과 별개로, 게임이 서비스 종료된 지 한참 지난 시점에서도 오투잼 최악의 패턴을 꼽자면 단연코 1순위로 꼽히는 곡이다.

당시 리듬 게임계는 오투잼 불법구동기 유저들이 만든 막장 패턴이나, 해외 서버의 저질 패턴 영상이 난립하면서 오투잼에 대한 이미지가 바닥을 치는 와중이였는데, 사월2가 등장하면서 정점을 찍게 된다. 도저히 한국 오투잼에서 정식으로 업데이트 된 곡이라고 볼 수 없는 오투잼 사상 최악의 저질패턴으로, 원인은 바로 도를 넘어버린 변속장난에 있다.

死月의 경우 2 ~ 4배속까지 다양하게 등장해도 쉴 틈은 줬었지만 死月2는 변속하면 무조건 4배 씩 왔다갔다 했기 때문인데 문제는 당시에만 해도 배속을 1배속또는 1.5배속 외에는 플레이가 불가능했기에 상당한 실력자 아니면 클리어조차 불가능했었다. 즉, 이 곡의 변속구간은 어지간한 처리력으로는 정상적으로 처리해 내는게 불가능하다는 뜻이다. 어찌어찌 풀콤보를 이어가다가도 영문모를 변속장난에 셔터 닫히는 유저가 대부분이였다.

변속만 절제했다면 인기곡이 될 수 있었던 곡이 이런 저질패턴을 지니게 된건 당시 오투잼 전속 작곡가 Studio Doma의 손길이 닿았기 때문인데, 오투잼 온라인 서비스 당시 Studio Doma의 곡들은 죄다 정체불명의 변속 떡칠로 일관되어 있었다. 여기에 평소에 올콤 불가능한 패턴을 넣길 좋아하는 작곡가 SHK의 성향[11]이 시너지를 이뤄서 난이도 50의 Gaussian Blur의 싸대기를 왕복으로 후려갈기는 미친 곡이 탄생해버렸다.
파일:sibaldeathmoon.png

실제로도 다른 모든 고난이도 패턴을 다 클리어하면서 이 패턴만 못깨는 사월2 난민인 유저가 수두룩했고, 오투잼 PC판 서비스 종료 당시까지 올콤보가 단 한 명도 나오지 않았다. 이러한 패턴도 즐기면서 플레이하는 변태같은매니악한 유저가 극소수 존재하긴 했으나,[12] 대부분의 유저들은 SHK에 대한 분노가 이만저만이 아니였다. 이후 변속을 아예 없앤 클린 버전이 출시되었지만, 변속을 없애면서 패턴을 아예 원판과 다른 심히 재미없는 배치로 바꿔놓은 터라 인기가 없었다.

3.2. 알투비트

2022년 2월 17일 오투잼 시리즈 콜라보로 수록되었다. 난이도는 별: 3.0, 달: 6.0.

4. 死月의祝祭 (사월의 축제)

최초 수록 버전 펌프 잇 업 M
아티스트 SHK
BPM 204
비주얼 YSJ
해금 방법 골드 슈즈 128개로 구입
레벨 데이터
타입 레벨
Single 2 / 5 / 10 / 14 / 18


펌프 잇 업 M에 수록되었다.

사월의 셀프 리믹스이며, 축제라는 분위기에 맞춰 BPM이 빨라졌다.

만드는 중 영상이 있다. 큐베이스로 작곡되었다.

간혹 원곡하고 같은 오투잼 출신이던 유령의 축제와 리믹스 한 버전이라고 혼동하는 사람들도 있다.

S18 채보의 경우에는 상당한 정타를 강조하는 채보여서 끌기만 하다간 갑자기 나오는 롱놋에 게이지가 흔들리는 자신을 볼 수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92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92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5. 여담




[1] 약 10초간 나오는 떨리제 보다 조금 더 긴 약 14초. 거기다가 떨기 이후 바로 폭타가 쉴세없이 쏟아지기 때문에 떨리제보단 어려운게 확실하다. 총합 떨기 시간은 약 14초인 떨리제보다 긴 20초 [2] Bloodbath, La Campanella와 함께 최고의 디자인을 가진 1.9 맵 중 하나로 언급되고 있다. [3] 한국 시간대 기준 [4] Alpha Pack의 맵들보다도 오래되었다. [5] iSpyWithMyLittleEye도 마찬가지. 둘 다 Liked 탭에서 페이지를 얼마 넘기지 않아도 찾을 수 있는 아주 유명한 맵들이다. [6] 적응되지 않았다면: 파일:HardGMD.png [7] 3번 점프 구간에서도 너무 일찍 누르면 홀드가 불가능하니 주의. [8] 물론 진짜가 무엇이고 [9] 톱니바퀴 구간: 파일:InsaneGMD.png , 가시 구간 파일:HardGMD.png [10] 이는 톱니가 촘촘히 나있기 때문이다. [11] SHK는 오투잼 패턴 막장화의 일등공신인데, 이 컴포저의 곡들은 항상 정상적으로 처리하기 불가능한 부분이 반드시 포함되어 있었다. Identity 시리즈가 대표적인데, Identity 3 SHD 초기버전은 64비트 연타배치를 넣어놔서 패턴 수정 전까지 아예 클리어가 불가능했다. 패턴으로 장난질하는 행태에 화가난 유저들이 억지패턴을 넣지 말라는 의견을 귓등으로 흘려듣기 일쑤였고, 사월2의 악평에 대해선 오히려 당시 개인 블로그에 곡이 잘팔린다고 기뻐하는 글을 올렸다. 이러한 행보때문에 오투잼을 오래 플레이 했던 리듬게임 유저들은 SHK를 굉장히 싫어한다. [12] 그나마 노트가 눈에 보이는 1배속~2.5배속으로 플레이한다. 그 이상은 변속부분이 아예 안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