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가나 오십음도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 -10px" |
<colbgcolor=#eee,#2d2f34> | あ단 | い단 | う단 | え단 | お단 | |
あ행 | あ | い | う | え | お | ||
か행 | か | き | く | け | こ | ||
さ행 | さ | し | す | せ | そ | ||
た행 | た | ち | つ | て | と | ||
な행 | な | に | ぬ | ね | の | ||
は행 | は | ひ | ふ | へ | ほ | ||
ま행 | ま | み | む | め | も | ||
や행 | や | ゆ | よ | ||||
ら행 | ら | り | る | れ | ろ | ||
わ행 | わ | ゐ | ゑ | を | |||
ん | ん | ||||||
기타 | 탁점 · 요음 · 촉음 · 々 · ヶ, ヵ | }}} |
* 음영 처리: 현대에 잘 쓰이지 않거나 쓰지 않는 가나 * 둘러보기: 틀:히라가나 · 틀:가타카나 |
1. 개요
히라가나 | 가타카나 |
'''け''' | <colbgcolor=white,#1f2023> '''ケ''' |
국립국어원 표기법 | 케/게[1] |
라틴 문자 표기 | ke/ge |
IPA | \[ke̞\][2], \[ge̞\][3] |
히라가나 자원 | 計의 초서 |
가타카나 자원 | 介의 약자 |
일본어 통화표 | [ruby(景色, ruby=けしき)]のけ(케시키노 케) |
유니코드 | U+305(B)1 |
일본어 모스 부호 | -・-- |
2. か행 모두에 해당되는 사항
か행 글자들은 탁음일 때 /ŋ/ 소리로 발음할 수도 있다. 이를 비탁음이라고 부른다. 한글로 치면 받침 ㅇ과 같은 소리이다. 그래서 ありがとう와 같은 단어는 '아링아토'로도 들린다.3. え단 모두에 해당되는 사항
え단의 모음은 전설 평순 중모음. 한국어의 ㅐ(/ɛ/)와 ㅔ(/e/)의 중간 정도의 발음이지만 현재 한국어에서 ㅐ와 ㅔ가 합쳐지는 식으로 변하고 있기 때문에 거의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え단 모음의 장음은 히라가나에서는 え를 쓰기도 하지만 주로 い를 써서 표현한다. 가타카나로는 다른 모음과 마찬가지로 장음 기호 ー를 쓴다.
4. 모양
두 글자 모양이 미묘하게 닮았지만 유래가 된 한자는 다르다. 計는 けい로 여전히 발음에 け가 들어가지만, 介는 かい로 け가 들어가지 않게 되었다.
가타카나 ケ는 대나무 죽(竹)과 닮았지만 아무 상관 없다. 多에서 유래된 タ와는 대조되는 부분. 다만 竹의 훈인 タケ에 ケ가 들어가므로 이를 이용해 쉽게 외울 수 있다.
5. 쓰임
기억나지 않거나 확실하지 않은 일에 의문을 표할 때 쓰이거나, 명령하듯 말할 때 쓰인다. 후자는 け 뒤에 よ가 붙기도 한다.昨日、何したんだっけ?
어제 뭘 했더라?
어제 뭘 했더라?
今日も残業してけよ。
오늘도 잔업해라.
오늘도 잔업해라.
이름에는 '-스케'가 남자 이름에 많이 쓰인다. 다이스케, 유스케, 슈스케 등. 亮, 助, 輔 등이 すけ 음을 갖는 한자이다.
5.1. ケ의 특수 용법
자세한 내용은 스테가나 문서의
ka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 한자
6.1. 음독
日 | 韓 | 한자 | 韓 | 한자 | 특수 | 日 | 韓 | 한자 | 韓 | 한자 | 특수 | |
ケ | 기 | 気 | 현 | 懸[4] | ||||||||
ケイ (32) |
경 |
径茎経敬景 軽傾慶憬警 競境[5]京[6] |
형 |
兄刑形型蛍 |
예(詣) 혜(恵) 휴(携) |
ゲイ (3) |
경 | 鯨 | 영 | 迎 | ||
계 |
系係契計啓 渓継稽鶏 |
게 | 憩掲 | 예 | 芸 | |||||||
ゲキ | 격 | 撃激 | 극 | 隙劇 | ||||||||
ケツ | 결 | 欠[7]決結潔 | 혈 | 穴血 | 걸(傑) | ゲツ | 월 | 月 | ||||
ケン (32) |
건 | 件建健鍵 | 헌 | 軒献憲 |
간(間)[8] 연(研) |
ゲン (15) |
원 | 元原源 | 현 | 玄弦現舷 | ||
검 | 倹剣検 | 험 | 険験 | 언 | 言 | 혐 | 嫌[9] | |||||
견 |
犬見肩堅絹 遣繭 |
현 | 県賢顕懸 | 엄 | 厳 | 험 | 験[10] | |||||
겸 | 兼謙 | 혐 | 嫌 | 안 | 眼[11] | 한 | 限 | |||||
권 | 券拳圏権 | 감 | 減 | 환 | 幻 |
エ단 공통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단독 ケ는 한자가 거의 없다. 懸는 몇몇 단어에서 けん이 아닌 け로 나타나는 것으로 사실상 음편형(발음 편이형)이며, 気 역시 き가 우세하다.
- 일본 한자음의 전반적 경향으로 오음 け / 한음 か의 대립이 나타나곤 한다.[13]
7. 한글 표기
탁음이나 어두일 때 ' 게', 그 외에 '케'로 적는다.'께'로 적었던 사례로는 바께쓰(バケツ)가 있다.
[1]
탁음 げ거나, 어두에서 쓰일 경우 게로 표기한다.
[2]
무성 연구개 파열음 +
전설 평순 중모음
[3]
유성 연구개 파열음 +
전설 평순 중모음
[4]
懸念(けねん), 懸想(けそう)에서만. 그 외에는 ケン이다.
[5]
境内(けいだい)에서만. 그 외에는
キョウ이다.
[6]
京浜(
케이힌: 도쿄+요코하마), 京阪(
케이한, 교토+오사카) 등. キョウ로 더 많이 읽는다.
[7]
欠의 훈음은 '하품 흠'(일본 한자음은 ケン)이지만
缺(이지러질 결)의 대체자로도 쓰이는데, 일본어에서는 이 용법을 공식으로 인정하면서 흠결(欠缺; ケンケツ)이라는 단어를 제외하면 欠을 缺 대신 쓴다.
[8]
世間, 人間에서. カン으로도 읽는다.
[9]
機嫌(きげん)에서만. 그 외에는 청음 ケン이다.
[10]
霊験(れいげん, 영험)에서만. 그 외에는 청음 ケン이다.
[11]
開眼(かいげん,
개안)에서만. 그 외에는
ガン이다.
[12]
케이,
켄 문서에서 보듯 이들 한자들은 일본인의
외자 이름으로도 종종 쓰인다.
[13]
오음의 특징 문단을 참조하자면 중국음 일등운/이등운(개구도 등급)이 오음에서는 あ/え로 구별되었으나 한음에선 모두 あ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