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1-05-31 13:29:00

osu!/유명 매퍼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osu!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64
, 7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64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작성시 주의사항2. 2008년3. 2009년4. 2011년5. 2012년6. 2013년7. 2014년8. 2015년9. 2016년10. 2017년

1. 작성시 주의사항

각 항목의 년도에는 각 년도를 대표할 만한, 또는 그 해부터 활동이 두드러지게 나타난 매퍼가 기재되어 있다. 어느정도 수준 이상이 아니면 기재를 자제하자.

2. 2008년

3. 2009년

4. 2011년

5. 2012년

6. 2013년

7. 2014년


그리고 Puxtu는 대부분 겟난[13] 으로 만든다. 또한 대부분 동탁[14]매퍼이다.

8. 2015년

9. 2016년

10. 2017년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82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82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오스상에서의 표기는 DJPop. 대시가 붙지 않는다. [2] 이때 명의는 iNiS980을 사용하기도 했다. 그리고 스토리보드 기능을 잘 활용한 얼마 안되는 매퍼중 한명이다. [3] 이 맵의 주인공은 무려 나루호도 류이치. [4] 전 Frostmourne [5] 煎 Amamiya Yuko [6] 고로아와세로 이나바라고 읽는다. 잠시동안 Yooh로 닉을 바꾸기도 했다. [7] 롱노트의 앞에 노트가 붙어있는 형식의 패턴으로 이루어진 계단 또는 복합 [8] Catch the Beat World Cup [9] 대표적인 보스곡으로는 Camellia - dreamless wanderer Halozy - Genryuu Kaiko, onoken - P8107, Tatsh - IMAGE -MATERIAL- <Version 0>이 있다. [10] Imperial Circus Dead Decadence - Yomi yori Kikoyu, Koukoku no Tou to Honoo no Shoujo.(2017,*10.26) [11] onoken - P8107(2015,*7.8), Tatsh - IMAGE -MATERIAL- <Version 0>(2016,*9.62), BlackYooh vs. siromaru - BLACK or WHITE?(2018,*8.26), Camellia - gigadelic (Camellia's "THE TERA" Remix) [" 10^12 " Long ver.] (2019,*8.73) [12] 현재 닉네임 Jisol [13] 게스트 난이도. 줄여서 GD [14] 드럼음 소리 [15] 煎 rCaliberGX, Fullereneshift [16] 煎 ijinjin [17] 원문은 Sorry guys I destroyed the mania pp system 이라고 적혀있다. [18] 현재 Ciyus Miapah [19] _FrEsH_ChICkEn_과 동일인. [20] 2017년 8월 7일 기준으로 18개이다. [21] KawaEE 와 동일인 [22] 무려 17개 [23] 표기상 난이도보다 쉬운 난이도 [24] 2,3번째는 정말 물렙이다. 표기상 5.1, 5.3성인데 막상 클리어 난이도는 4성 후반대이다. 그리고 점수도 잘 벌린다! [25] =Zenx [26] 본인 유튜브 채널 인트로도 1-2 점프.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