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14 15:25:14

데모

demo에서 넘어옴
1. 개요2. 원의미
2.1. 어트랙트 데모
3. 시위

1. 개요

Demo

영어 Demonstration의 줄임말이다.[1] 미국 영어 영국 영어 공통으로 (사용법 등의) 시연, 시범을 뜻한다. 영국 영어로는 시위라는 뜻으로도 미국 영어로는 (차량 등의) 전시용 제품이라는 뜻으로도 쓰인다.

한국에선 "데모"란 말이 두 용법 모두로 쓰인다.

2. 원의미

각종 물품을 시범으로 전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단순히 백화점에서 샘플을 배치해두는 행위나, 형사의 증거품 제출 같은 물질적인 시연도 포함되며, 스포츠나 컴퓨터 프로그램 같은 기술적인 시연도 해당된다.

다만 순수한 의미로서의 '전시(展示 / Exhibition)'와는 좀 다른 개념이다. 둘의 차이점이라면 전시는 말 그대로 '눈으로만 보라고' 시연하는 행위이며, 데모는 관찰자가 직접 체험 내지 소유까지 할 수 있다는 점이 다르다.

특히 컴퓨터 관련 용어로는 '데모 프로그램'이나 '데모 버전'의 줄임말로서 '개발이 완료되기 전에 미리 공개하는 미완성 맛보기 프로그램' 또는 '개발 완료 후 해당 프로그램의 홍보를 위해 배포하는 무료 체험판 프로그램'의 의미까지 포함하고 있다. 이 경우 다른 용어로는 평가판(evaluation version)이나 시험판(trial version)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프로그램 데모 버전의 경우 소비자의 반응을 살펴보거나, 필요한 기능 추가나 쓸데없는 기능 제거, 버그 발견 등에 활용한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무료로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테스터가 되는 셈이지만 별로 불만 갖는 사람은 없으니까... 실제 개발자 입장에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추가 기능이나 버그 등은 의외로 잘 잡아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를 통해 쉽게 잡아낼 수 있고, 소비자가 원하는 프로그램에 구체적으로 만들 수 있게 된다. 소비자도 데모를 만져보면 나올 제품이 어떤 건지 명확히 알게 돼서 서로서로 별로 손해볼 일이 없다.

밴드나 뮤지션의 경우, 정식 녹음에 들어가기 전에 곡 자체를 손보거나 아니면 사운드 자체를 연구할 목적으로 데모 녹음을 한다. 경우에 따라 이 데모 녹음을 따로 공씨디에 구워서 공연장에서 파는 경우도 있다.

이래도 데모가 뭔지 감이 안 오면 백화점이나 슈퍼마켓 시식코너에 가 보면 된다.

특히 1980년대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데모 게임은 매우 흔했으며 용어도 한국내외에서 자주 접할 수 있었다. 게임이 어떤지 해보기 전에는 직접 체험하기 힘드니까 첫 스테이지나 첫 미션 정도만 플레이 가능한 데모 버전을 따로 만들어서 무료 배포해 홍보용으로 사용했던 것. 아예 정식판에 락을 걸어서 데모 버전으로 배포하고 구입하면 우편 등으로 언락 코드를 받아 입력하여 정식 플레이가 가능한 경우도 있었다.[2] 물론 예외도 존재하는데 메달 오브 아너: 얼라이드 어썰트의 경우 네벨베르퍼를 파괴하는 미션(오마하 해변)을 데모로 사용하였다. 그리고 레이싱 게임은 레이싱 차량 1대와 트랙 1군데만 제공한다.

그러나 그 이후로는 점차 사라지더니 2010년대 중반을 기점으로 보기 힘들 정도가 되었다. 정식판과 별개로 데모 버전을 별도로 만들어 배포하는 과정이 여러 모로 귀찮은데다가, 유튜브 등을 통해 게임플레이 방식을 간접적으로 접하기 쉬워진 것도 한몫 한다. 앞서 해보기 같은 방식으로 데모에 가까운 물건을 돈 주고 팔아먹을 수도 있게 되었고, 특히나 온라인 게임의 경우 베타 테스트란 용어로 거의 대부분 대체되는 추세. 데모라고 하면 일단 완성도가 높아야 할 것 같은 느낌을 주지만 베타 테스트는 베타니까 여기저기 부실하고 버그 많아도 괜찮다고 우길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다.

여담으로 정식 버전이 아닌 데모 게임을 돈 받고 파는 사건을 저질렀던 데모랜드[3]라는 곳이 있었는데 어느 날 갑자기 홈페이지가 안 돌아가서 사업자 등록번호를 조회한 결과 폐업했다. 이후 홈페이지가 악성코드 유포지가 됐다가 살아났는데 고쳤는지 아니면 방문자가 없으니 건질 게 없어 크래커가 포기했는지 경고는 안 뜨지만 홈페이지 자체는 메뉴를 누르면 404 오류와 소스가 그대로 드러나는 총체적 난국인 등 제대로 되는 게 없다.[4] 한창 운영할 때는 관리를 하는 듯했지만, 말미에는 게시판에 있는 글이 알 수 없는 문자로 깨지는 인코딩 오류와 광고 글이 올라와도 관리를 안 하고 내버려뒀다. 데모랜드와 비슷한 곳으로 외국에는 게임 사진 배경화면을 유료로 파는 GAMEWALLPAPERS.COM[5]이 있다. 구글링을 해보면 여기저기에서 무료로 구할 수 있는 배경화면을 돈 받고 파니 봉이 김선달이 따로 없다.

데모 버전이 고유의 스토리라인을 지닌 경우가 있다. 스타크래프트 1은, 에피소드 0으로 분류하는데 테란 연합이 저그를 처음 발견한 상황을 다룬다.[6] 워크래프트 3 프롤로그 캠페인의 연장선상으로 칼림도어에 정착하기까지의 여정을 다루는 추가미션이 주어졌다. 또한 폴아웃 1의 데모 버전도 고유의 스토리라인을 지니고 있었다. 역사 RTS의 명가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1편도 데모 고유 캠페인인 히타이트 또는 확장팩 데모 카르타고로 플레이할 수 있었다. 게다가 멀티플레이의 경우 데모 버전끼리 전투를 할 수 있었는데 모든 세력이 지원되었다.[7] 스탠리 패러블의 데모 버전은 고유의 스토리라인을 지닌 수준을 넘어서 다른 게임이라고 봐도 될 정도로 본편과 동떨어져 있지만, 본편의 데모 역할도 확실히 수행한다. 하프라이프: 업링크도 고유의 스토리를 지니고 있지만, 정품과 이어지지는 않는다.

2.1. 어트랙트 데모

어트랙트 모드라고도 한다. 이쪽은 오락실 게임과 이의 영향을 받은 비디오 게임에서 게임을 플레이하지 않을 시 중간중간 나오는 플레이 화면. 상세한 사항은 어트랙트 데모 문서 참조.

3. 시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시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시위라는 뜻의 영어 단어 Demonstration의 줄임말.[8]

많은 사람들이 공통된 의사를 공공연하게 표시하여 집회나 행진을 하며 위력을 나타내는 일. 데모 군중, 데모하다, 데모에 가담하다 등으로 활용된다.

비슷하지만 항의를 뜻하는 Protest와는 겹치는 구석이 많지만 엄연히 다른 단어이다. 이는 Demonstration과 Protest의 성격과 의미에서 차이를 볼 수 있는데, Demonstration은 자기 의견을 시민들에게 알리는 선에서만 끝난다. 집단으로 뭉쳐서 뭔가를 주장하는 것은 Protest와 차이가 없지만 Demonstration은 의견 전달 그 자체에 주목적을 두고 있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각종 퍼포먼스나 쇼가 동반된다. 시위대가 가두행진을 하기도 하고, 음악과 분장쇼를 한바탕 벌이며 전단지를 나눠주는 등의 행동을 한다. 물론 이 요소가 필수는 아니지만 Demonstration은 의견 전달 자체가 주목적이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이런 요소를 사용해 시민들의 주목을 이끌어내려 한다.

반면 항의를 의미하는 Protest는 자기의 의견이 정책에 반영되기를 원한다. 물론 Protest도 그 과정에서 시민들의 지지를 얻기 위해 각종 퍼포먼스를 벌일 수도 있다. 다만 Protest는 당장의 결과물을 원하기 때문에 시민들의 지지를 얻기 보다는 당사자들에게 원하는 답변을 얻는 쪽에 더 무게를 둔다. 이를테면 임금 인상, 부정 경영자 사퇴 등.

물론 Demonstration도 원하는 목적이 있으니 시위를 하는 것이지만, Protest와는 달리 이것을 담당자에게 직접적으로 당장 강요하진 않는다. 그저 시민들에게 '제 의견을 한번만 들어주세요'라고 외치는 것과 같다. 반면 Protest는 시민들에게 외치는게 아니고 담당자에게 직접 외치는 것이다.

이렇게 두 단어의 뜻이 갈리는 이유는 두 단어의 의미 차이에서 볼 수 있다. Demonstration은 상기한대로 '전시'라는 의미도 가지고 있는 반면 Protest는 '전시'라는 의미가 전혀 없고 대신 '항의'라는 의미만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이런 거창한 시위 없이 개개인이 단독적으로 항의 의사를 표명하는 것(책임자에게 항의 서한을 보낸다거나)도 Protest로 부른다.

따라서 한국처럼 군중이 모여서 시위하는 것의 차이점을 이해하지 못해서 '데모'라고 싸잡아 표현하는 것은 원래대로라면 잘못된 표현이다. 한국의 시위들의 태반은 그냥 시민들에게 의사 전달만 하고 끝나는 것이 아니라 당장 원하는 결과물이 있기 때문에 Protest에 해당한다. 때문에 같은 시위를 두고도 한국 언론에서 시위를 싸잡아 '데모'라고 표현할 때 외신에서는 그 시위의 성격에 따라 Protest와 Demonstration으로 확실히 구분하여 표현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참고로 영어권에서는 Demo라는 단어보다는, 상황에 따라 그때그때 적절한 단어를 사용한다. 예를 들면 연좌시위는 Sit-in, 시가행진은 Marching, 대중집회 및 시위는 Rally, 한 장소에서 피켓을 들고 반대의사를 표현하는 것은 Picketing, 폭력이 수반된 물리적 충돌이 벌어진 시위는 Riot이라고 부른다.


[1] 좀 더 정확히 말하자면 Demonstration은 라틴어 demonstratio가 어원이므로 Demonstratio의 줄임말로 봐도 무방하다. [2] 18WoS는 아예 국외발행카드나 해외신판만 있으면 디지털로 구매할수 있었다. [3] 그나마도 결제가 제대로 안 되고, 여러 가지 안 되는 게 많아서 쓴소리를 많이 들었다. 처음에는 게임을 팔면 돈을 많이 벌 수 있으리라 생각했는데 생각대로 안 되니까 운영을 포기했던 걸지도 모른다. 하지만 무슨 생각으로 정식이 아닌 게임사가 맛보기로 해보라고 공짜로 뿌리는 데모를 돈 받고 팔 생각을 했는지 미스터리다. 데모랜드라는 곳에 대한 사람들의 말 [4] 버려진 곳이라 그렇다. 폐업했는데도 홈페이지를 폐쇄 안 하거나 영업하고 있는데도 관리를 안 하는 곳이 알게 모르게 많다. 이런 곳은 스패머와 크래커에게 좋은 먹잇감이다. [5] 처음에는 무료였다가 유료로 바꾼 건데 사람들이 잔뜩 몰리니 트래픽이 감당 안 돼서 유료로 바꾼 걸로 보인다. [6] 물론 정품에서도 이 시나리오를 즐길 수 있다. [7] 단, 시대 개발은 청동기까지 밖에 안 되었다. [8] 과거에 Democracy의 약어로 알려지기도 했으나 이는 사실이 아니다. Democracy는 민주주의라는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