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9세기 호치키스사(社)에서 판매한 금속 스테이플러(좌), 오늘날 사무실에서 널리 사용되는 휴대용 스테이플러(우). |
[clearfix]
1. 개요
스테이플러(stapler) 또는 지철기(紙綴器)[1]는 여러 장의 종이에 철심을 박아 묶어 주는 도구이다.2. 명칭 및 역사
이 도구를 가리키는 이름은 '스테이플러(stapler)'지만, '호치키스(Hotchkiss)'라는 이름으로도 많이 불린다. 포크레인이나 엘리베이터처럼 호치키스도 상표의 보통 명사화의 사례로, 일본어로 스테이플러를 가리키던 관용적인 이름인 '호치키스(ホチキス)'가 그대로 수입된 것이다.당대 유명한 스테이플러 제조사 중 한 곳이 바로 'E.H. 호치키스(E.H. Hotchkiss)'였는데, 이는 설립자 조지 호치키스(George Hotchkiss)와 그 아들인 엘리 허벨 호치키스(Eli Hubbell Hotchkiss)의 이름을 딴 것이다.[2] 이 회사 제품이 일본에서는 가장 초기에 수입된 스테이플러 제품 가운데 하나였고, 이 때문에 일본에서 호치키스가 마치 스테이플러 전체를 가리키는 이름이 된 것이다. 이후 구한말에서 일제 강점기 사이에 이 도구가 한반도에 전래되면서 호치키스라는 명칭도 함께 유입되었다. 이런 이유로 일본을 통해 유입된 단어라는 점과 어감 탓에 일본어로 잘못 아는 사람도 있다.
지역에 따라서는 변형된 발음인 '호치케스', '홀치케스', '호치킷'으로도 불린다.
국내에서는 1960년대 부터 화신공업과 피스코리아에서 만든 스테이플러가 시장을 주도 해 왔다. 집이나 사무실에 있는 스테이플러는 이 두 회사 제품이 다라고 해도 된다.
오늘날 가장 많이 쓰이는 현대적인 형태의 스테이플러는 1930년대에 미국의 스윙라인(Swingline)이라는 회사에서 개발했다.
3. 사용법
2장 이상의 종이를 끼우고 윗부분을 누르면 된다. 그러면 해머 부분에 들어있던 철심이 종이를 뚫고 나온 다음 아래의 홈에 의해 눌려 구부러져서 고정된다.아래에 있는 홈판을 돌릴 수 있는 종류가 많다. 보통 안쪽으로 굽는 버전을 사용하지만, 회전시키면 바깥쪽으로 굽어서 고정된다. 안정성이 떨어지지만 빼기 쉽다는 장점이 있으므로, 임시로 고정하는 목적이라면 이쪽을 쓰는 것이 낫다. 하지만 이런 경우엔 보통 집게나 클립을 사용하기 때문에 잘 쓰이지 않는다.
스테이플러로 박은 침을 쉽게 빼기 위해 '제침기'라는 것도 있다. 사무 현장에서는 '돼지코'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것이 없다면 스테이플러 침을 빼는 게 노하우 없이는 은근히 어렵기에, 서류를 많이 다루는 사무실에서는 꼭 필요한 용품 중 하나.
종이가 많아서 잘 안 박힐 때는 평평한 곳에서 종이를 스테이플러에 잘 물려놓고, 두 손의 손바닥 부위를 겹쳐서 스테이플러의 끝부분에 올린 후, 심폐소생술 하듯이 체중을 이용해 순간적으로 강하게 누르면 잘 박힌다. 지렛대의 원리를 최대한 이용한 방법이다.
3.1. 철심의 각도
1번이냐 2번이냐 선호가 갈린다. 외국에서 45도(2번)가 아니라는 이유로 감점당한 경우도 있다. 반대로 군대에서 1번으로 안 하고 대각선으로 박았다고 욕을 먹은 사례도 제법 있다.
심미적으로야 취향이 갈리겠지만, 물리적으로는 2번이 합리적이다. 1번과 같이 찍은 상태에서 종이를 뒤로 넘기면 한쪽 구멍에만 응력이 집중되어, 기껏 철해 놓은 종이들이 훼손될 수도 있다. 2번과 같이 찍은 상태면 응력이 양쪽 구멍으로 분산되어 더 오래간다. #
3.2. 의료용
의료용으로도 스테이플러를 쓰며, 당연히 의료용 모델이 따로 있다. 굳이 스티치, 즉 실과 바늘을 이용한 봉합을 하지 않아도 되거나, 봉합하기엔 애매한데 상처가 벌어지지 않게 막아야 할 때 상처를 빠르게 임시 봉합하는 데 사용한다. 일반인 입장에서는 긴급 상황을 위한 좋은 대비가 될 수 있는데, 의료용 스테이플러의 원래 장점인 스티치보다 빠른 봉합에 더불어 스티치에 비해 훨씬 간편하고 간단한 조치가 가능하기 때문. 다만 이는 무면허 의료행위에 해당되므로 비상시에만 사용해야 한다. 제거 시에는 조직에 상처를 남기지 않기 위해 전용 기구인 제침기를 쓴다.아무래도 의료용이라 그런지, 침이 살 속에 박혀 있다고 해서 환자가 고통을 느끼지는 않는다. 일주일 후 상처가 아물었을 때 제침기를 쓰는데, 뽑혀 나가는 것을 느끼지도 못할 만큼 감쪽같이 쏙 뽑힌다.
하단에 나온 고문용으로 악용된 타카와는 염연히 다른 물건이다.
4. 개량형
4.1. 플랫 클린치 스테이플러
기존의 스테이플러를 개량한 플랫 클린치 스테이플러(flat clinch stapler)라는 제품이 있다. 기존 스테이플러는 철심이 B 자 모양으로 박히게 되어 서류를 쌓을 경우 철심 부위만 두툼해지는데, 철심 뒷면을 평평하게 만들어 두께를 줄여 이런 단점을 보완한 것이다. 전체적 외형은 보통의 스테이플러와 거의 동일하지만, 철심을 구부리는(클린치) 바닥 면의 구조가 특수하다. 자동 스테이플링 기능이 있는 대형 복사기에서도 이런 플랫 클린치를 볼 수 있다. MAX HD-50F 시리즈가 가장 유명하다.[3] 철심이 박힌 뒷면을 손으로 만지면 찔릴 위험이 높고, 제침기로 제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4.2. 침 없는 스테이플러
4.3. 전동 스테이플러
전기 플러그를 꽂거나 건전지로 작동하며, 자동으로 침을 박아준다. 손을 쓸 필요가 없고 전동으로 확실하게 20매 지철 능력을 보장해 주니 편리하긴 하지만, 기계의 특성상 원하는 위치를 맞추기 어려운 경우가 제법 있고(특히 45도 지철), 전력이 공급되지 않으면 쓸 수가 없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전반적으로 6만 원대 제품들이 주를 이루고 있으나, Rapid 5025e처럼 26만 원(...)이나 하는 상식을 초월한 제품들도 있다. 그 외에 Rapid 5050e나 5080e처럼 대량 지철이 가능한 제품들도 있다.5. 고르는 요령
5.1. 심 고르기
- 심 규격: 10호 < 33호 < H-13(제본용)[4]
- 심 길이: 스테이플러 옆면에 26/6이나 26/4 등의 숫자는 앞의 숫자는 1인치를 몇등분 하였는가이며 뒷 숫자는 길이이다 앞 숫자가 작을수록 두껍고 뒷 숫자가 작을수록 길이가 짧다[5]
5.2. 스테이플러 고르기
- 크기: 크고 무거울수록 힘도 좋고 고장률도 줄어든다. 하지만 너무 큰 것은 자리도 많이 차지하고 휴대도 힘드므로 용도에 맞는 사이즈를 골라서 사자.
- 재질: 아직까지는 플라스틱 재질이 금속 재질의 내구성과 파워를 못 따라간다.
- 지레 구조: 일반 구조 < 지레가 하나 더 들어간 이중 지레 구조[6]
- 심 넣는 방법: 일부 고급형 제품은 프론트 로딩 방식이 적용되어 있다.
- 마무리 모양: 스테플 + 피닝 (대부분의 제품) / 스테플 (저가형, 휴대용) / 플랫 클린치 (일부 고가 제품)
- 뒷부분 돌기 여부: 제침기가 없을 때 대충 쓸 수 있다. 소형이나 대형엔 잘 없고, 중형에 많은 편.
- 바닥 고무 여부: 바닥 고무가 있으면 미끄러지지 않아 힘을 더 잘 받는다.
- 타카 여부: 대부분의 제품은 본체를 쫙 벌려서 건타카처럼 쓸 수 있지만, 가격대가 올라갈수록 드물어진다.
수명과 성능이 태생에 따라 천차만별이다. 500 g 이상 금속 재질 제품은 20년 넘게 성능을 유지하며 대를 물려 쓸 수도 있지만, 천 원도 안 되는 가격에 떼어 와 이삼천 원에 파는 저질 중국산은 일 년도 못 버티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같은 회사 제품이라면 성능은 대체로 크기와 무게에 비례한다.
5.3. 종류별 스테이플러 고르기
5.3.1. 탁상용
33호 침을 쓰는 화신 133 |
저가 80~150 g 제품이라도 국내 전문 생산 회사의 경우 만듦새가 상당히 좋지만,[7] 집에 두고 쓸 거면 그냥 전체 금속 재질의 200 g 내외 제품을 사는 걸 권한다. 고작 일이천 원에 확연히 달라지는 내구도와 수명, 사용감을 생각하면 돈이 아깝지 않다. 그래도 한계는 있어서, 15장 이상 스테이플을 자주 하거나 주먹질, 망치질로 무리한 사용을 하다 보면 밸런스가 서서히 틀어진다. 심이 씹히거나 10장도 버겁게 박히기 시작하면 새로 사는 게 속 편하다.
5.3.2. 휴대/탁상 겸용
레일 같은 핵심 부품만 금속으로 놔두고 껍데기나 덜 중요한 부품을 플라스틱으로 대체한 60~150g 제품을 사면 좀 가볍다. 사물함이나 연필꽂이에 두고 쓰기 좋다. 안정성과 내구도는 약간 떨어지나, 가벼운 무게와 예쁜 디자인이 장점.5.3.3. 휴대용(미니)
10호 침을 쓰는 화신 10호 스테이플러 |
2000원 선에서는 모닝글로리, 5000원 선에서는 Rapid[8]나 마패드, 7000원 선에는 MAX HD-10이 있다.[9]
5.3.4. 사무실용
33호 침을 쓰는 화신 130 |
20페이지 정도의 지철을 자주 한다면 사실 H-13 침을 사용하는 제본용 스테이플러를 질러버리는 게 정신 건강에 이롭다. 이삼십 페이지야 껌. 침 규격에 따라서는 100페이지도 지철 가능하다. 문제는 부피와 무게. 가벼운 게 600 g 정도고 심한 건 1 kg까지 한다.
5.3.5. 제본용
H-13 침을 쓰는 화신 1200 이지[11] |
도서관에서 책을 수리하거나 동인지를 수작업으로 고정할 때 쓴다. 책의 두께에 따라서 팔로 누르는 걸로 안 되어서 체중으로 누르기도 하는데, 이때 미끄러져서 책상에 박거나 손잡이에 명치가 맞으면 상당히 아프다. 아예 그런 용도로 쓰라고 스테이플러 두세 개를 하나로 묶어서 한 번에 찍는 물건도 있다. 궁금한 사람들은 근처 학교 교무실 같은 곳을 뒤져보자. 벽에 종이류 고정시킬 때 쓰는 타카랑 헷갈리면 안 된다.
6. 여담
- 마션초반에 마크 와트니가 상처에서 파편을 빼고 작은 상처를 봉합하기 위해 사용한다. 영화 다만 악에서 구하소서에서도 주인공(황정민)이 자신의 상처를 스테이플러로 봉합한다.
-
{{{#!folding [ 혐짤 주의 ]
}}}
중국에서는 이것을 고문 수단으로 사용한다. 중국공산당이 홍콩, 마카오의 민주당파, 반중파 정치인이나 인권 운동가들을 납치해서 말 들을 때까지 다리나 엉덩이에 스테이플러를 박는다.[13] 위 사진의 주인공은 하워드 람(林子健) 홍콩 민주당 당원으로 당시 FC 바르셀로나 선수였던 리오넬 메시 선수의 친필 사인을 중국 인권 운동가이자 노벨상 수상자인 류샤오보의 부인 류샤에게 전달하려다 몽콕 길거리에서 납치당해 저 고문을 받았다.
- 뉴타입도 2009년 6월까지 이걸로 책을 묶어왔다가 7월에 창간 10주년 호를 낸 이후 소위 말하는 책등이 있는 형식으로 발매 중.
- 이야기 시리즈의 히로인 센죠가하라 히타기가 커터칼과 함께 주 무기로 사용했다. 그래서인지 오프닝 중 하나인 staple stable에서 다루기도 한다.
- 페이퍼 마리오 종이접기 킹에서도 적 캐릭터로 출연. '문방군단'이라는 각종 문방 기구들이 인격을 가지고 행동하는 빌런 집단의 일원이며, 본작의 최종 보스인 올리 왕의 직속 부하로서 맨 마지막인 6번째 챕터의 중간 보스로 등장한다. 명령과 기능에 맞게 팔랑팔랑한 종이 인간들인 피치공주와 쿠파군단의 병사들을 종이인형으로 만들고, 쿠파를 엉성하게 접고 심으로 찝어 제대로 못 움직이게 만들었다. 하는 짓은 영락없는 개.
- 종이류를 버릴 때 스테이플러를 따로 뽑는 것을 권한다. 특히 세절기에 넣으면 세절기가 손상되므로 반드시 먼저 뽑아야 한다. 손톱으로 뽑을 수도 있지만,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해 볼펜을 이용해도 좋다. 가위로 뒤편을 비틀어 뽑아도 잘 뽑힌다. 정 뽑기 어려우면 아예 그 부분은 잘라내고 버리자.
- 인테리어 등의 업계에서 쓰이는 타카(Staple Gun) 역시 기본적인 원리는 스테이플러와 동일하다. 둘 다 강한 힘을 이용해 철심을 박는 역할을 하는데, 타카는 주 사용처가 목재 같은 단단한 재질이다 보니 심이 굵고 박는 힘도 더 강해서 안전장치가 많이 있다.
- 스테이플러에 심을 채워넣는 모습이 경기관총을 재장전하는 모습과 유사하여 서양권에서 남자의 동심을 자극하는 밈으로 자주 쓰인다.
[1]
국립국어원에서는
언어 순화 운동의 일환으로 '(종이)찍개'로 순화할 것을 권한 적이 있으나, 대중적으로 거의 쓰이지 않아 사장되었다.
[2]
호치키스 기관총을 만든 벤저민 호치키스(Benjamin B. Hotchkiss)와는 성씨만 같은 동명이인이다.
#
국립국어원도 한때 낚인 적이 있다.
#
[3]
숫자 50은 철심 기호가 아니다.
[4]
재질은 탄소강 제본용. 일반
문구점에선 안 판다.
[5]
뒷 숫자가 크면 더 많은 종이를 제본할 수있다.
[6]
힘이 약한 사람도 확실하게 찍을 수 있다. 약간 두껍고, 침을 눌러주는 부분이 이중 지레 구조로 제품이 커질수록 누르는 힘이 분산된다. 단점은 고가, 복잡한 구조, 중량을 줄이기 위해 플라스틱 마감을 한 제품이 많다는 것.
[7]
화신 135 등
[8]
대형 전문이라 찾기 힘들다.
[9]
방금 말한 MAX HD-50F과 똑같은 회사. 이쯤 되면 슬슬 상술한 겸용과 비슷해진다.
[10]
간혹 Rapid가 보인다. 무식한 성능이 특징이다.
[11]
H-13침 6~24mm까지 호환되며 최대 200장 지철이 가능하다.
[12]
일반 스테이플러와 달리 위아래로 힘을 줄 수 없고 위에서 내리찍는 힘에만 의존해야 하기 때문이다. 6 mm 제품들도 스펙상으로는 20장 지철이 가능하다고 하는데, 실제로 찍어보면 요령이 없으면 15장 언저리에서도 스테이플이 마구 휘어진다.
[13]
맨 위에서 말한 타카 기능의 악용이다. 절대로 따라 하지 말 것.참고로 박히면 얼얼함이 오래갈 정도로 아프다. 예민한 곳에 박히면 고통이 두 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