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08 08:43:03

6차 교육과정/사회과/고등학교/사회·문화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6차 교육과정/사회과/고등학교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교육과정 체제하의 동명의 과목에 대한 내용은 사회·문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사회· 윤리과 과목 ('96~'01 高1)
공통 필수 과목 과정별 필수 과목
■ 이전 교육과정: 5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사회과 과목
■ 이후 교육과정: 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사회과 과목



1. 개요2. 목표3. 내용
3.1. 사회․문화 현상의 이해3.2. 개인과 사회 구조의 이해3.3. 공동체 생활과 지역 사회3.4. 인간과 문화 생활3.5. 현대 사회의 문제3.6. 현대 사회의 발전과 미래
4. 방법5. 평가6. 여담

1. 개요

본 저작물은 대한민국 교육부에서 NCIC 국가교육과정정보센터에서 발췌하였습니다. 원문은 홈페이지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사회․문화’ 과목은 사회․문화 현상을 반성적으로 탐구하고 비판적으로 분석하여, 사회․문화 생활의 변화․발전을 꾀하고, 나아가 민주 복지 사회의 건설을 위한 능력과 태도를 육성하려는 과목으로, 사회과의 기초 과목으로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사회․문화’ 과목은 인간의 사회적 행동과 문화의 특성 및 여러 가지 사회 문제 등의 내용으로 구성된다. 특히, 사회 변동에 따라 나타나는 여러 가지 사회 문제에 대하여 합리적이고 주체적으로 대응하는 방법을 중요하게 다룬다. ‘사회․문화’ 과목에서는 관련 내용의 지식 습득에만 머무르지 않고, 사회적 관계를 객관적으로 관찰하는 능력을 기르고 올바른 인간 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유의하여야 한다. 나아가, 사회․문화 교육을 통하여 민주․복지 사회의 건설과 민족 문화 창달에 기여할 수 있는 지성적이고 적극적인 태도를 가지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둔다.

2. 목표

가. 사회․문화 현상의 구조와 변동에 관한 기본적인 개념과 원리를 습득하고, 인간의 집단 생활 및 문화 생활을 이해하게 한다.
나. 다양한 사회 문제를 사회․문화 현상 안에서 종합적이고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게 한다.
다. 사회․문화 현상에 관한 여러 가지 자료를 수집, 분석, 종합, 평가하는 능력과 사회 현상을 과학적으로 탐구하는 능력 및 가치 판단 능력을 기르게 한다.
라. 사회․문화의 변동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능력과 태도 및 민주․복지 사회 건설과 민족 문화의 창달에 이바지하는 태도를 가지게 한다.

3. 내용

3.1. 사회․문화 현상의 이해

‘공통 사회’에서 익힌 과학적 탐구 방법과 사회․문화 현상을 탐구하는 학문들의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문화 현상을 올바르게 파악하여, 우리 사회가 당면하고 있는 문제를 올바르게 인식하고, 이를 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과 태도를 가지도록 한다.(가) 탐구 대상으로서의 사회․문화 현상 - 사회․문화 현상의 특징, 사회․문화 현상을 보는 관점, 사회․문화 현상의 분석(나) 사회․문화 현상의 연구 방법 - 연구 대상과 연구 방법, 연구 방법의 다양성과 발전(다) 사회․문화 현상의 탐구와 가치 - 사회․문화를 탐구하는 학문의 발달, 사회․문화 현상의 탐구와 가치 문제, 사회․문화 현상을 탐구하는 태도

3.2. 개인과 사회 구조의 이해

급속히 변동하고 복잡해지는 현대 사회를 체계적으로 인식하도록 하고, 인간의 행동을 사회 조직들의 상호 작용 관계를 통하여 파악하게 함으로써, 사회의 개선을 위한 합리적인 방안을 강구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도록 한다.(가) 개인과 사회 - 실재론과 명목론, 인간의 특성, 인간의 사회적 성장, 사회적 상호 작용과 역할 수행(나) 사회 집단과 사회 조직 - 사회 집단과 조직의 성격, 관료제와 자발적 결사체, 집단 관계와 사회 생활(다) 사회 계층의 이해 - 사회 계층과 사회 계급, 사회 계층을 보는 관점, 사회의 불평등 구조, 사회 이동과 사회 계층

3.3. 공동체 생활과 지역 사회

인간이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시작된 공동체 생활이 가족의 변화, 기술의 발달, 인구의 변화 등에 따라 변화하는 과정을 이해하게 하고, 대표적인 공동체 형태인 농촌과 도시의 생태학적 특성과 인구의 변화 및 사회 변동에 따른 문제점들을 찾아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도록 한다.(가) 가족과 친족 - 가족과 친족의 형성과 발달, 가족의 사회적 기능, 가정 문제의 양상과 과제(나) 농촌과 도시 - 농촌과 도시의 특성과 상호관계, 농촌의 변동과 도시화 과정, 농촌과 도시의 문제(다) 인구의 변화와 사회 변동 - 인구 변천과 인구 성장, 소 자녀관과 노령화, 장래의 인구 전망과 문제

3.4. 인간과 문화 생활

인간의 사회․문화적 행동과 문화의 특성 및 변동을 이해하게 하고, 현대 사회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문화와 급속한 문화 변동의 원인과 과정 및 그에 따른 문제점을 인식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도록 한다.(가) 인간과 문화 - 문화의 개념, 문화의 특성, 문화 이해의 제 관점(나) 문화의 여러 측면 - 혼인과 가족 및 친족, 정치와 경제, 예술과 언어, 종교와 의례(다) 문화의 변동과 전승 - 문화 변동의 원인, 문화 변동의 과정, 민족 문화의 계승과 창조적 발전(라) 현대 사회의 문화 - 현대 사회의 문화 변동, 대중 매체와 대중 문화, 청소년 문화, 지역 문화

3.5. 현대 사회의 문제

현대 사회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급격한 사회 변동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생활 자세를 확립하도록 하며, 현대 산업 사회에서 나타나는 여러 가지 사회 문제를 올바로 인식하고, 그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능력과 태도를 가지도록 한다.(가) 현대 산업 사회의 형성과 발전 - 현대 사회의 성격, 사회 변동의 이론, 사회 운동과 사회 변동(나) 산업 사회의 사회 문제 - 사회 문제를 보는 관점, 여러 가지 사회 문제, 산업화 과정에서의 사회 문제(다) 사회 문제와 해결 - 사회 격차의 문제, 사회 갈등의 문제, 사회 병리적 문제, 기타의 사회문제

3.6. 현대 사회의 발전과 미래

국제화 사회에서 사회․문화 발전의 한 과정으로의 민족 문화의 통합의 중요성과 사회 발전의 궁극적인 목표인 복지 사회 건설을 위한 과제를 인식시키고 미래 사회를 전망해 봄으로써 사회 발전과 민족 통일에 기여할 수 있는 능력과 태도를 가지게 한다.(가) 헌대 사회․문화의 변동과 발전 - 사회․문화 변동의 성격, 한국 사회와 문화의 변동, 민족 문화의 전승, 통합, 발전의 과제(나) 복지 사회의 실현 - 복지 사회의 이념, 복지 사회의 발달, 사회 복지 정책과 과제(다) 미래 사회의 전망과 대응 - 미래 사회의 전망, 미래 사회의 과제, 통일과 민족의 발전, 미래 사회에 대응하는 태도

4. 방법

가. 사회․문화 현상과 관련된 지식을 일상적이고 구체적인 생활과 연관지어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우리와 다른 나라 사회와 비교하여 지도한다.
나. 사회 현상에 대한 과학적 탐구 능력을 길러서 사회 문제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이를 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 및 개인의 성장과 사회의 발전을 조화롭게 실현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다. 기본 개념과 원리들을 추상적 수준에서 다루지 말고, 구체적 사례 중심으로 학습을 전개시키도록 한다.
라. 학습 내용에 따라 토론, 발표, 보고, 관찰, 사례연구, 견학, 면접, 극화 활동, 사료 학습 등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하여, 사회․문화 현상이나 사회 문제를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다양한 탐구 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마. 교수․학습이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도표, 그래프, 통계, 슬라이드, 영화, 연감, 신문, 사진, 기록물, 민속 자료, 유물, 여행기, 탐험기 등의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를 활용하여 지도한다.
바. 교과용 도서 이외의 사회 문제, 시사 문제에 대한 보충 자료는 교육 목표와 학생의 발달 특성 및 관계 법령을 고려하여 선정하고 활용하도록 한다.
사. 일반 자료뿐만 아니라, 지역 사회와 특성, 학교의 실정을 고려하여 지역화 자료를 준비하고, 새로운 내용을 보완하여 창의적인 학습 지도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아. 사회과 내의 다른 과목과의 관련성에 유의하되, 특히 ‘공통사회’ 및 ‘정치’, ‘경제’ 과목과 상호 보완적인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5. 평가

가. 단순한 사실이나 단편적 지식의 암기보다 개념이나 원리의 이해, 사회 문제 해결 능력, 가치의 내면화와 신념의 형성 정도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도록 한다.
나. 지식 영역의 평가에서는 사실적 지식과 함께 사회․문화 현상의 기본 개념과 원리의 이해 정도를 평가하고, 특히 문제 해결에 적용 가능성이 높은 지식의 이해 정도를 평가하도록 한다.
다. 기능 영역의 평가에서는 정보의 수집, 분석, 종합 및 평가 기능의 숙달 정도를 평가하도록 한다.
라. 정의적 영역의 평가에서는 개인적 요구와 국가․사회적 요구에 비추어 합리적인 가치와 바람직한 가치의 내면화 정도를 평가하도록 한다.
마. 지필 검사에만 의존하지 말고, 면접, 조사, 토론, 발표 및 가정, 학교, 지역 사회의 생활 관계의 분석적 관찰 결과를 평가 자료로 활용하도록 한다.
바. 객관식 평가 방법과 더불어, 특히 논술형 평가 등 주관식 평가 방법을 적극 활용하여, 고차적인 사고 능력과 신념 및 태도 등을 평가하도록 한다.
사. 자기 평가, 동료 평가, 교사․학생 토론, 활동 보고 등의 평가 방법을 권장한다.
아. ‘사회․문화’ 과목의 평가에는 다음 요소들이 포함되도록 한다.
(1) 사회․문화 현상의 구조에 관한 기본 개념과 원리
(2) 사회․문화 현상의 인식을 위한 연구 방법
(3) 인간의 집단 생활 및 문화 생활의 이해
(4) 민족 문화의 특성 및 계승․발전의 방안
(5) 현대 사회의 여러 문제의 이해와 해결

6. 여담


[1] 물론 트렌드를 반영하지 못한 부분은 제외하여 이야기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