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 |
Mid-Season Invitational 역대 대회 |
{{{#!wiki style="color: #000;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normal" |
<rowcolor=#fe0000>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미국| 2015 미국 |
[[중국| 2016 중국 |
[[브라질| 2017 브라질 |
[[유럽| 2018 유럽 |
[[베트남| 2019 베트남 · 대만 |
|
<rowcolor=#fe0000> 취소 | 6회 | 7회 | 8회 | 9회 | |
취소 |
[[아이슬란드| 2021 아이슬란드 |
[[대한민국| 2022 대한민국 |
[[영국| 2023 영국 |
[[| 2024 중국 |
|
<rowcolor=#fe0000> 10회 | 11회 | 12회 | 13회 | 14회 | |
[[| 2025 캐나다 |
[[| 2026 미정 |
[[| 2027 미정 |
[[| 2028 미정 |
[[| 2029 미정 |
Mid-Season Invitational | ||||
2022 Mid-Season Invitational | → | 2023 Mid-Season Invitational | → | 2024 Mid-Season Invitational |
2023 Mid-Season Invitational 우승팀 | ||||
Royal Never Give Up | → |
JDG Intel Esports Club |
→ | Gen.G |
2023 Mid-Season Invitational 결승 MVP | ||||
옌양웨이 (RNG Wei) |
→ |
줘딩 (JDG knight) |
→ |
손시우 (GEN Lehends) |
DEFY | 넘어서라 |
2023 Mid-Season Invitational | |||||
<colbgcolor=#fe0000><colcolor=#000> 대회 기간 | 2023년 5월 2일 ~ 5월 21일 | ||||
주최 | 라이엇 게임즈 | ||||
주관 | |||||
개최지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
||||
조 추첨식 | 2023년 4월 23일[1] | ||||
참가팀 | 13팀 | ||||
패치 버전 | 13.8 | ||||
경기장 |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런던 코퍼 박스 아레나[2] |
|||||
중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e0000><colcolor=#000> 중계 플랫폼 | 상영관 | |||
[3] | |||||
온라인 | |||||
중계진 | 캐스터 | ||||
전용준, 성승헌, 김의중 | |||||
해설자 | |||||
고수진, 이현우, 임주완, 정노철, 허승훈 | |||||
아나운서 | |||||
윤수빈, 배혜지, 함예진 | |||||
분석데스크 | |||||
고수진, 임주완, 강형우, 신동진, 배준식 | |||||
통역 및 인터뷰어 | |||||
박지선 |
일정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e0000><colcolor=#000> 플레이-인 스테이지 |
플레이-인 | |||
5월 2일 ~ 5월 7일 | |||||
브래킷 스테이지 |
브래킷 | ||||
5월 9일 ~
5월 20일 (15일 미진행) |
|||||
결승 | |||||
5월 21일 |
결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e0000><colcolor=#000> 우승 | JDG Intel Esports Club | |||
준우승 | Bilibili Gaming Pingan Bank | ||||
결승 MVP | 줘딩 (JDG knight) |
[clearfix]
1. 개요
|
|
2023 Mid-Season Invitational 티저 | 최고의 순간들 | 2023 MSI |
2. 참가팀
브래킷 스테이지 진출팀 | ||||
LCK[4] | LPL | LEC | LCS | |
Gen.G | T1 |
JDG Intel Esports Club |
MAD Lions | Cloud9 |
플레이-인 스테이지 진출팀 | |||
LPL | LEC | LCS | PCS |
Bilibili Gaming Pingan Bank |
G2 Esports | Golden Guardians | PSG Talon |
VCS | LJL | CBLOL | LLA |
GAM Esports |
DetonatioN FocusMe |
LOUD | Movistar R7 |
2023 MSI 메이저 리그 진출팀 | |||
<rowcolor=black> 1시드
|
2시드
|
1시드
|
2시드
|
<rowcolor=black> 1시드
|
2시드
|
1시드
|
2시드
|
- LCK
- 4월 1일, LCK의 2023 스프링 플레이오프 R3 상위권 경기에서 Gen.G에게 승리를 거둔 T1이 전세계 세 번째로 MSI 진출을, 최초로 브래킷 스테이지를 확정지었다.
- 4월 8일, LCK의 2023 스프링 플레이오프 최종 결승 진출전에서 kt Rolster에게 승리를 거둔 Gen.G가 전세계 네 번째로 MSI 진출을, 두 번째로 브래킷 스테이지를 확정지었다.
- 4월 9일, LCK의 2023 스프링 결승전에서 우승을 거둔 Gen.G가 1시드로, Gen.G에 패배해 준우승을 거둔 T1이 2시드로 참여하는 것이 확정되었다.
- LPL
- 4월 9일, LPL의 2023 스프링 플레이오프 R5 승자전에서 Edward Gaming Hycan에게 승리를 거둔 JDG Intel Esports Club이 전세계 여섯 번째로 MSI 진출을 확정지었다.
- 4월 11일, LPL의 2023 스프링 플레이오프 R5 최종전에서 Edward Gaming Hycan에게 승리를 거둔 Bilibili Gaming Pingan Bank가 전세계 여덟 번째로 MSI 진출을 확정지었다.
- 4월 15일, LPL의 2023 스프링 결승전에서 우승을 거둔 JDG Intel Esports Club이 1시드 참여를 확정지으며 네 번째로 브래킷 스테이지 진출을 확정지었으며 JDG Intel Esports Club에 패배해 준우승을 거둔 Bilibili Gaming Pingan Bank가 2시드로 참여하는 것이 확정되었다.
- LEC
- 2월 27일, LEC의 2023 윈터 결승전에서 MAD Lions에게 승리를 거둬 우승을 차지한 G2 Esports가 전세계 첫 번째로 MSI 진출을 확정지었다.
- 4월 22일, LEC의 2023 윈터 결승전에서 우승을 차지했던 G2 Esports가 스프링 플레이오프 2시드전에서 탈락, MSI에 2시드로 참여하는 것이 확정되었다.
- 4월 24일, LEC의 2023 스프링 결승전에서 Team BDS에게 승리를 거둬 우승을 차지한 MAD Lions가 전세계 마지막 열세 번째로 MSI 진출을, 그리고 1시드로 진출해 마지막 다섯 번째로 브래킷 스테이지 진출을 확정지었다.[5]
- LCS
- 3월 30일, LCS의 2023 스프링 플레이오프 승자 결승전에서 FlyQuest에게 승리를 거둔 Cloud9이 전세계 두 번째로 MSI 진출을 확정지었다.
- 4월 8일, LCS의 2023 스프링 플레이오프 패자 결승전에서 FlyQuest에게 승리를 거둔 Golden Guardians가 전세계 다섯 번째로 MSI 진출을 확정지었다.[6]
- 4월 9일, LCS의 2023 스프링 결승전에서 우승을 거둔 Cloud9이 1시드 참여를 확정지으며 세 번째로 브래킷 스테이지를 확정지었다. Cloud9에게 패배해 준우승을 거둔 Golden Guardians가 2시드로 참여하는 것이 확정되었다.
2023 MSI 마이너 리그 진출팀 | ||||
<rowcolor=black> 1시드
|
1시드
|
1시드
|
1시드
|
1시드
|
- PCS
- 4월 9일, PCS의 2023 스프링 결승전에서 Frank Esports에게 승리를 거둬 우승을 차지한 PSG Talon이 전세계 일곱 번째로 MSI 진출을 확정지었다.
- VCS
- 4월 23일, VCS의 2023 스프링 결승전에서 SBTC Esports에게 승리를 거둬 우승을 차지한 GAM Esports가 전세계 열두 번째로 MSI 진출을 확정지었다.
- LJL
- 4월 15일, LJL의 2023 스프링 결승전에서 Sengoku Gaming에게 승리를 거둬 우승을 차지한 DetonatioN FocusMe가 전세계 열 번째로 MSI 진출을 확정지었다.
- CBLOL
- 4월 16일, CBLOL의 2023 스플릿 1 결승전에서 paiN Gaming에게 승리를 거둬 우승을 차지한 LOUD가 전세계 열한 번째로 MSI 진출을 확정지었다.
- LLA
- 4월 15일, LLA의 2023 오프닝 결승전에서 Six Karma에게 승리를 거둬 우승을 차지한 Movistar R7이 전세계 아홉 번째로 MSI 진출을 확정지었다.
2.1. 로스터
자세한 내용은 2023 Mid-Season Invitational/로스터 문서 참고하십시오.3. 일정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align=center><table bgcolor=#FFFFFF><tablebordercolor=#fe0000> |
2023 Mid-Season Invitational 경기 일정 |
플레이-인 (5/2~5/7) |
A조 | B조 |
최종 진출전 | ||
브래킷 (5/9~5/21) |
상위권 | 하위권 |
결승 | ||
결산 |
4. 대회 진행
MSI |
패치 버전 | 13.8 | |
글로벌 밴 |
유미 |
밀리오 |
{{{#!folding [ 플레이-인 스테이지 결과 펼치기 · 접기 ] | <tablealign=center><table bgcolor=#fff,#1c1d1f><tablebordercolor=#fe0000> 2023 Mid-Season Invitational 플레이-인 스테이지 대진표 | ||||||||||||||||||||||||||||||||||||||||||||||||||||||||||||||||||||||||||||||||||||||||||||||||||||||||||||||
|
|
||||||||||||||||||||||||||||||||||||||||||||||||||||||||||||||||||||||||||||||||||||||||||||||||||||||||||||||
|
|||||||||||||||||||||||||||||||||||||||||||||||||||||||||||||||||||||||||||||||||||||||||||||||||||||||||||||||
연두색: 다음 라운드 진출 | 파란색:
브래킷 스테이지 진출
|
2023 Mid-Season Invitational 브래킷 스테이지 대진표 | |||||||
<rowcolor=#fff> 1라운드
|
2라운드
|
3라운드
|
4라운드
|
결승
|
|||
상위권 대진표
|
{{{#!wiki style="margin: -12px -5px" |
GRAND FINALS (5/21)
|
|||||
<colbgcolor=#F5F5F5,#282828> ↘ | 3 | ||||||
↗ | 1 |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rowcolor=#fff>
Match 1 (5/9)
|
||||||
3 | |||||||
1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rowcolor=#fff>
Match 5 (5/13)
|
||||
<colbgcolor=#F5F5F5,#282828> ↘ | 2 | ||||||
↗ | 3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rowcolor=#fff>
Match 11 (5/18)
|
|||
<colbgcolor=#F5F5F5,#282828> ↘ | 2 | ||||||
↗ | 3 | }}} |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rowcolor=#fff>
Match 2 (5/10)
|
||||||
0 | |||||||
3 |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rowcolor=#fff>
Match 3 (5/11)
|
||||||
0 | |||||||
3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rowcolor=#fff>
Match 7 (5/14)
|
||||
<colbgcolor=#F5F5F5,#282828> ↘ | 0 | ||||||
↗ | 3 |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rowcolor=#fff>
Match 4 (5/12)
|
||||||
3 | |||||||
0 | }}} | ||||||
하위권 대진표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rowcolor=#fff>
Match 6 (5/13)
|
||||||
<colbgcolor=#F5F5F5,#282828> M1
[ruby(↘,ruby=패자, color=red)] |
3 | ||||||
M2
[ruby(↘,ruby=패자, color=red)] |
0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rowcolor=#fff>
Match 9 (5/16)
|
|||
<colbgcolor=#F5F5F5,#282828> M7
[ruby(↘,ruby=패자, color=red)] |
3 | ||||||
→ | 1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rowcolor=#fff>
Match 12 (5/19)
|
|||
<colbgcolor=#F5F5F5,#282828> ↘ | 3 | ||||||
↗ | 0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rowcolor=#fff>
Match 13 (5/20)
|
|||
<colbgcolor=#F5F5F5,#282828> M11
[ruby(↘,ruby=패자, color=red)] |
1 | ||||||
→ | 3 |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rowcolor=#fff>
Match 8 (5/14)
|
||||||
<colbgcolor=#F5F5F5,#282828> M3
[ruby(↘,ruby=패자, color=red)] |
3 | ||||||
M4
[ruby(↘,ruby=패자, color=red)] |
1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rowcolor=#fff>
Match 10 (5/17)
|
|||
<colbgcolor=#F5F5F5,#282828> M5
[ruby(↘,ruby=패자, color=red)] |
3 | ||||||
→ | 0 | }}} | |||||
연두색: 다음 라운드 진출 | 노란색: MSI 우승
|
4.1. 진행 방식
|
진행 방식[7] |
또한 기존의 MSI에선 라운드 로빈 후 단일 브래킷 토너먼트를 실시했으나 이번 MSI는 플레이-인 스테이지부터 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로 진행된다.
- 플레이-인 스테이지: 8개 팀이[11] 참가하며 4팀 1조 3전제 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로 진행한다. 각 조 승자전에서 승리한 조 1위 2팀과, 최종전 승리를 거쳐 5전제 최종 진출전(LCQ)[12]에서 승리한 조 2위 팀이 브래킷 스테이지로 진출한다.
- 브래킷 스테이지: 8개 팀이[13] 참가하며 5전제 풀 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로 진행한다. 한 번 패배하면 하위권으로 진출하고, 하위권에서도 패배하면 완전히 탈락하는 방식이다.[14]
구체적인 대진 방식은 다음과 같다. 공식 규정 (한국어) 공식 규정 (영어)
- 플레이-인 스테이지
- LPL/LEC 시드가 1번 티어, LCS/PCS 시드가 2번 티어, VCS/LJL 시드가 3번 티어, CBLOL/LLA 시드가 4번 티어에 묶인다.
- 티어마다 한 팀씩 A조 또는 B조에 배정되며, 1번 티어 팀이 4번 티어 팀과, 2번 티어 팀이 3번 티어 팀과 첫 경기를 치른다.
- 브래킷 스테이지
- LCK 1번 시드와 LPL 1번 시드가 1번 티어, LEC 1번 시드와 LCS 1번 시드가 2번 티어, LCK 2번 시드와 플레이-인 스테이지에서 올라온 3팀이 3번 티어에 묶인다.
- 1번 티어 팀과 2번 티어 팀은 상위권 1라운드에서 3번 티어 팀과 경기를 치르며, 1번 티어 팀끼리는 다른 브래킷에 배치하도록 한다.[15]
- 같은 지역 팀끼리의 경기(즉, 내전)는 상위권 1라운드에서 진행하지 않는다.
- 상위권 1라운드 패배팀끼리 만나는 '하위권 1라운드'는 상위권 1라운드 브래킷 순서와 동일하게 배정된다.
- 상위권 2라운드 패배팀과 하위권 1라운드 승리팀이 만나는 '하위권 2라운드'는 상위권 2라운드 브래킷 순서의 역순(즉, 크로스 대진)으로 배정된다.
5. 결과 및 총평
자세한 내용은 2023 Mid-Season Invitational/결산 문서 참고하십시오.6. 글로벌 파트너
<colbgcolor=#0fe3f9>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fe3f9> |
LoL e스포츠 글로벌 파트너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 |
7. 공식 영상
7.1. 공식 테마곡: Rules (Are Meant To Break)
|
{{{#!folding [ 가사 펼치기 · 접기 ] |
<tablealign=center> Che Lingo (Preach) Heavy is the head that the crown sits on, Feel it weighing down on my shoulders, (Preach) Rules are meant to break by the proudest ones, Money on my head coz I’m lawless, (Preach) They cannot relate walking down this road, I don’t relate, we ain’t the same, Ain’t no debate, (Preach) Coz rules are meant to break by the proudest ones, (Gooo get it) Didn’t do recon but they wanna lead him and guide him astray then tip him off axis, I was in the belly of the beast, Meanwhile they was cutting man deep like sickle or mantis, (fact is) I’ve been winning off practice, (fact is) Not clout or digital captions, (fact is) worlds in madness, How’m I gonna manifest greatness if I don’t make actions, (Hmm, wait) I don’t need reasons, I just need money and power and stat lift, I don’t wanna do it like that, or like that, or like that, That methods too underhanded, (Fact is) the big man said it ain’t landing, (Fact is) Never gonna profit off badness, (Fact is) Never got a dollar off sadness, But I been sunk so I don’t do sanctions, (Preach) Heavy is the head that the crown sits on, Feel it weighing down on my shoulders, (Preach) Rules are meant to break by the proudest ones, Money on my head coz I’m lawless, (Preach) They cannot relate walking down this road, I don’t relate, we ain’t the same, Ain’t no debate, (Preach) Coz rules are meant to break by the proudest ones, (Gooo get it) Came in this game with a serious killer instinct man I never did courses, Look at all the times in the past they rejected him, now they wanna imitate patterns and forces, (Caught him) Stone eye vision like gorgons, (Morbid) Terrified look in his eye when he finally realised all of the weapons that he brought to the war ain’t forming, (Hmmm) I been giving this heart, And body, And soul, And mind, And organs, Knocked till my fingers bled, Now it’s all skeleton keys and door kicks, Treading with means and caution, Man I had bellies to feed from morning, So if they start selling me dreams I’m walking, Yeah I wasn’t comfortable man I was scared, Looking for solace and they wasn’t there, Now I’m a problem and they wouldn’t dare, Yeah yeah, Doubling down coz this game isn’t fair, They loaded the dice, I came in prepared, Feeling is so out of body I feel like floating on — air How do you cope, When they never gave you hope, Really left you in the cold, And it’s weighing heavy on your soul, To be honest I dunno, Either way I had to grow, Get it together whatever the weather and carry that tribulation to the — throne (Preach) Heavy is the head that the crown sits on, Feel it weighing down on my shoulders, (Preach) Rules are meant to break by the proudest ones, Money on my head coz I’m lawless, (Preach) They cannot relate walking down this road, I don’t relate, we ain’t the same, Ain’t no debate, (Preach) Coz rules are meant to break by the proudest ones, (Gooo get it) |
===# MSI 2023 DEFY #===
모두 자국어로 인터뷰가 되었다. 자막을 통해 번역본을 볼 수 있다.
|
과소평가를 DEFY하려는 LCS |
|
다음 단계를 위한 준비를 마친 LJL |
|
그늘에서 벗어날 PCS |
|
역사를 쓰려고 하는 LPL |
|
LLA를 무시하지 마세요! |
|
CBLOL이 반향을 일으키려 옵니다! |
|
미래를 준비한 LEC! |
|
두려울 게 없는 VCS |
|
MSI의 설움을 만회할 준비가 된 LCK |
8. 기념 스킨
8.1. 먹그림자 (Inkshadow)
|
||||||
우디르 | 카이사 | 요네 | 마스터 이 | 볼리베어 | 야스오 | 아우렐리온 솔 |
2023년도는 13.9 패치로 추가되는 먹그림자 스킨이 MSI를 기념한다. 먹그림자 이벤트 패스 및 먹그림자 야스오의 수익금 중 25%가 MSI 총 상금에 누적된다. #
9. 파워 랭킹
2023 Mid-Season Invitational 팀 파워 랭킹 | |||||
순위 | GameRiv | Dot Esports | 결과 | ||
1 | |||||
2 | |||||
3 | |||||
4 | |||||
5 |
|
||||
6 | |||||
7 |
|
||||
8 | |||||
9 | |||||
10 |
|
||||
11 | |||||
12 |
|
||||
13 |
LEC 1시드인 MAD가 전패하며 7-8위, 젠지와 T1이 모두 하위권 경기에서 LPL 2시드인 BLG에게 패배하며 4, 3위를 차지했다는 점이 파워 랭킹이 빗나가게 되었다.
10. 논란 및 사건 사고
10.1. T1 팬덤 및 단장의 LCK 공식 트위터 무고 저격 논란
자세한 내용은 T1 팬덤 및 단장의 LCK 공식 트위터 무고 저격 논란 문서 참고하십시오.10.2. MAD vs T1전 이후 스페인어- 프랑스어권 팬덤 분쟁
요약매드 라이온즈가 상위권 1라운드에서 T1에게 충격패를 당한 이후, 스페인어권 해설을 담당하는 Jaime mellado가 엘요야와 니스퀴의 표정을 비교하면서 "승자의 태도 / 패자의 태도. 두 이미지 모두 둘의 기량 차이를 반영한다."라며 벨기에인인 니스퀴를 저격하는 트윗을 작성했다.[16] # 이를 본 니스퀴는 작성자에게 패드립을 하는 댓글을 작성했고[17], 이로 인해 분쟁의 소지가 더 커지며 스페인어권 사용자와 프랑스어권 사용자 간의 분쟁이 벌어졌다.
니스퀴를 비판하는 측은 "돈 받고 활동하는 프로 선수의 태도가 아니다"와 "그렇다고 상대에게 패드립을 거는 것이 정당화되는가"의 논리를 고수 중이며, 니스퀴를 옹호하는 측은 "표정 하나하나로 모든 것을 읽을 수 있는가"의 입장을 취하고 있으며 양측 모두 입장을 좁힐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분쟁이 시들지 않고 여러 리그 관계자들의 입에도 오르내리면서 양 어권 간의 차별과 국수주의적인 행태를 보이기도 한다.
표정 논란에 대해 에비는 "인간의 몸은 극도의 긴장이나 스트레스를 받으면 멋대로 웃을 수도 있다"라면서 니스퀴를 옹호했으며 (일본어), 야마토캐논 역시 원 트윗에 인용으로 "당신은 팀, 니스퀴, 그들이 겪는 맥락을 전혀 알지 못하며 경쟁을 이해하지 못한다"라며 비판과 함께 니스퀴를 옹호하는 입장을 취했다. # C9의 오너인 잭 에티엔 역시 "니스퀴는 긍정적인 태도와 유머로 팀 전체 분위기를 끌어올렸다"라며 멜라도에 대한 언급 없이 니스퀴를 옹호했다. 369는 인터뷰를 통해 "경기에서 진 뒤 모두가 쳐져 있으면 기분이 좋지 않다. 누군가가 분위기를 밝게 만들어야 한다"라는 입장을 밝혔다. #
캐드럴은 제이미의 트윗에 대해 니스퀴가 선을 넘어 감정적인 대응을 했다고 평하는 한편, 제이미의 트윗을 악질들이나 할 한심한 짓이라며 강도 높게 비판했다. # 번역
MAD는 현지 기준 5월 12일 공식 성명을 통해 선수에 대한 지속적인 괴롭힘[18]을 중단할 것을 당부했다. 영어 스페인어 비교의 대상으로 간접적인 피해를 입었던 엘요야는 트윗을 통해 저조한 폼에 대해 사과하면서 니스퀴를 계속해서 매도하는 악성 팬들에게 일갈을 가했다. #
첫 비난글을 올린 당사자 제이미는 G2 vs MAD 시작 전 트윗을 통해 자신의 공동체가 최근 많은 비난을 받았다면서 증오를 멈춰달라는 글을 올렸지만 # 레딧 번역(영어), 악성 스페인어권 팬덤을 제외하면 "자신이 차별과 증오를 먼저 했으면서 뭐하는 짓이냐"라며 싸늘한 반응을 보였다.
MAD의 MSI 종료 후 니스퀴는 개인 방송으로 해당 사건과 관련된 이야기를 했다. 타임라인(프랑스어) 번역
- 제이미가 비난에 활용했던 웃는 장면은 카르지와 같이 구마유시의 아펠리오스 폼에 대해 말이 안 된다면서 웃는 맥락이었다.
- 매치 직후 프랑스/스페인인으로부터 "스페인 코스트리밍 담당이 네 욕을 한다"라는 DM을 받았지만 대수롭지 않게 생각했다. 그러다 실체를 확인한 뒤 스페인어 DM 및 멘션에 긴장하게 됐고, 게시물을 올린 사람이 일반인도 아닌 LVP 소속 캐스터인 점, 코스트리밍을 하던 Ibai[19]가 이 흐름에 동참해 광풍을 방치했던 것이 화가 나 패드립을 했다. 패드립을 한 건 정신 나간 행동이었음을 시인했다.
- 엘요야는 사건 직후 자신에게 "내가 스페인 커뮤니티에 맞서 옹호해주는 트윗을 써줄까?"라며 도와줄 의향을 밝혔지만 니스퀴는 괜찮다면서 거절했다.
- 사건 이후 니스퀴는 스페인어 욕설을 모두 차단했으며, 이 사건을 화제로 다루려는 스페인 언론과의 인터뷰도 모두 거절할 예정이다.
- 라이엇에게는 벌금이나 출전 정지 등 중징계 없이 단순 경고 처분을 받았다. 징계에 대한 항소는 하지 않았으나 사건 관련자 및 스트리밍에서 자신을 비난한 사람들에 대한 조사를 요청했다.
10.3. 변화된 대회 포맷 관련
우선 대회 포맷 설명 영상을 실제 대회 규정과 다르게 만들어 놓은 바람에 많은 팬들에게 혼란을 줬다. 당연하겠지만 예시란 것은 게임의 전체적인 흐름을 쉽게 알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인데, 이러한 예시를 대충 짜놓는다는 것은 팬들에게 잘못된 정보를 줄 수 있는 행동이므로 이렇게 해서는 안 된다.- 많은 사람들이 예상한 '4대 리그의 1번 시드끼리는 상위권 첫 라운드에서는 만나지 않는다.'는 예측과 달리, 2023 롤 전체 국제 e스포츠 안내 뉴스[20]에서도 그렇고, 방식 안내 영상에서 LEC 1번 시드와 LCS 1번 시드가 첫 라운드에서 맞붙게 했다. 그러나 이후 루머에 의하면 이는 시드 확정 이전 안내를 대충 해놓은 결과에 가까운 것으로 보인다.
- 하위권 1라운드와 하위권 2라운드에서 상대 매칭을 모두 상위권 대진의 정순으로 매치시켰다. 즉 상위권에서의 리매치가 하위권 준결승전이나 결승전이 아닌 하위권 2라운드에서도 성사될 수 있으며, 상위권 기준 한쪽 브래킷 팀이 다른 쪽 브래킷 상대와는 상위권에서는 결승까지, 하위권에서는 준결승까지 가서야 만날 수 있게 만들어놨다. 다만 실제로는 하위권 2라운드는 정순이 아닌 역순으로 매치되게 해놨다.
심지어 룰북을 통해 정확한 대진 방식을 공개했음에도 라이엇 공식 홈페이지에서는 여전히 잘못된 대진 방식을 그대로 올려놓은 바람에 혼란은 끝나지 않았다.
다음은 4연속 내전이라는 대진 형식에 대한 이야기이다. 물론 이 부분의 책임은 주최 측인 라이엇에게 절대적으로 있다고 보기엔 어렵고 해당 대진을 뽑은 오도암네나 끔찍할 정도로 낮아진 서구권 지역의 리그 수준이 근본적 원인이라고 보는 것이 맞으나, 최소한 같은 리그 팀끼리는 무조건 반대쪽 브라켓에 배치되게 하여 2라운드부터 만나는 일을 방지해야 되지 않았냐는 의견도 나왔다.
1라운드 대진표가 나오자마자 대다수의 팬들은 다음 라운드가 리그별 내전이 일어날지도 모른다는 우려를 표하는 의견을 피력했는데, 그래도 여기까지는 한 팀 정도는 업셋을 해주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농담 반 진담 반으로 한 소리였는데 진짜 실전에서 한 팀도 빠짐없이 망해버리고 4대 리그 내전이 성사되니 "왜 국제전에서 리그 내전을 4연속으로 봐야 하는가, 이건 리프트 라이벌즈보다도 최악인 포맷이다"라는 비판이 수면 위로 떠오르기 시작했다. 그나마 4팀 모두 일관적으로 어느 정도는 가능성 있는 경기력을 보여주면서 패배를 했기에 망정이지, 사전 예상 그대로 완패를 해버렸다면 대회의 분위기 자체가 완전히 죽어버렸을 것이라는 자조 섞인 말까지 나오는 중이다.
10.3.1. 반론
다만 4연속 내전이 벌어지는 것 자체는 대진운 뿐만 아니라 경기 결과까지 모두 맞아떨어져야 가능했던 일이라 포맷의 문제라고만 보긴 어렵다. 단지 서양과 동양의 실력 차가 역대급으로 벌어지고 있는 상황이라 대진표만 봐도 4내전이 예상되었을 뿐이다. 게다가 만약 같은 리그끼리 브라켓까지 떨어뜨리면 가능한 대진의 수가 굉장히 줄어든다.[21] 라이엇 입장에서도 발생할지 모르는 4내전을 방지하고자 브라켓 위치마저 제한을 걸어버리면 억지로 리그 간 대결을 붙이게 되는 셈이라 선뜻 손이 가는 규정은 아니었을 확률이 높다.그리고 현행 브래킷으로는 반대쪽 브래킷으로 보내도 패자조 2라운드에서 만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팬들의 말대로 대진을 짜려면 패자조도 대진 순서를 섞어야 한다. 가뜩이나 스케줄이 빡센 MSI인데 거의 하루에 한 경기를 치르는 현행 롤 대회의 다전제 특성상 이러면 스케줄도 맞추기 어려워진다.[22] 즉 팬들의 의견대로 다전제를 치르려면 여러 날에 걸쳐서 다전제를 치르는 분리형 다전제가 사실상 불가피해진다.
게다가 상위 1라운드 후에 확정된 경기들을 보면 상위권 결승에서는 LCK vs LPL, 하위권에서는 LCK vs LCS, LPL vs LEC까지 확정인지라 LEC vs LCS를 제외하면 모든 지역간 대결이 확정되었고, LEC vs LCS도 활약 여부에 따라 하위권 결승에서 가능하긴 하다. 서양과 동양의 실력 차이가 넘사벽이 된 것까지 고려해서 포맷을 짜서 내전 방지를 했어야 한다는 시각은 결과론적인 측면이 있는 셈이다.
10.3.2. 결과
라이엇은 이러한 반론에도 불구하고 내전 파티 성사에 대한 불평 토로에 의견을 수용할 거라고 밝혔다. 내년 대회부터는 브래킷 스테이지에 2팀이 진출한 메이저 리그는 상위 1라운드에서 서로 반대쪽 블록으로 배정되게 변경함에 따라 상위 2라운드와 하위 1라운드에서 같은 지역 내전이 안 나오는 걸로 확정되었다.11. 여담
- 2022년 12월 12일, 2023 MSI가 영국 런던에서 개최된다는 소식이 보도되었으며 2023년 1월 10일, 2023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 킥오프 대회를 통해 영국 런던 개최를 확정했다.
- 기존의 MSI와 여러 부분들이 달라졌다.
- MSI 역사상 처음으로 메이저리그의 시드가 2개로 늘어난 대회이며[23] LoL e스포츠 국제 대회 역사상 최초로 풀 더블 엘리미네이션 포맷이 적용된 대회이기도 하다.[24] 브래킷 스테이지의 모든 경기가 5전 3선승제로 진행되어 이전에 비해 경기 수와 일정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25]
- 어째서인지 이번 2023 MSI의 경우 이미 시즌이 돌입하기 전부터 LCK와 LPL의 월드 챔피언십 시드권이 4장으로 확정되었기 때문에, 역대 MSI중 월드 챔피언십과 연관된 혜택이 없는 유일한 대회가 되었다.[26] 때문에 LCK와 LPL의 시드권을 영구적으로 4장으로 늘리고, MSI 성적에 따른 혜택은 다시 유명무실해진것이 아닌가 싶었는데, 다음 대회때부터 다시 특별한 혜택이 주어지게 되었다. 혜택에 대한 정보는 2024 MSI 참고
- 단판제 경기가 없어졌다. 역대 라이엇 국제대회 중 단판제 경기가 없었던 대회는 2013 올스타전[27] 뿐이므로 10년만에 단판전이 없는 대회인 셈이다.
- 2023 MSI에서 우승까지 필요한 최소 세트는 12세트[28], 최대 세트는 44세트이다.[29] 2022 MSI에서는 이론상 최대 경기 수가 30세트[30], 2022 월즈까지의 포맷에서 치를 수 있던 이론상 최대 경기수가 40세트[31]였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확실히 규모가 기존에 비해 커졌음을 알 수 있다.[32]
- 개인 방송을 통한 국제 대회 중계, 일명 코스트리밍(co-streaming, 동시 스트리밍) 금지가 없어졌다. 물론 라이엇 측에서 신청을 받아 별도로 선정한 약 30여 명의 스트리머 및 MSI에 참여하는 팀 소속의 스트리머를 대상으로 한 제한적인 스트리밍 허용이지만, 각국의 언어로 된 풍성한 시청 콘텐츠 및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변화로 보인다.
- LCK 한국 공식 유튜브 채널에서 실시간 스트리밍을 최초로 도입했다.
- 전년도 대회까지는 해당 대회의 MSI 성적을 반영해서, 월드 챔피언십 추가 시드를 결정했으나[33] 올해는 시즌 킥오프에서 월즈의 시드 배정 팀이 전부 확정되었기 때문에, 혜택이 다시 없어지게 되었다. 상위 지역팀들의 MSI 참가 팀이 늘어나게 만든 걸로 퉁치게 한 건지, 아니면 그냥 이대로 추가 혜택 없이 할지는 알 수 없으나 예전 방식 그대로라면 MSI 성적에 따른 월드 챔피언십 시드 배정 풀 정도가 혜택이 될 것으로 보인다.
- 2021 LoL Champions Korea Spring 이후로 중계가 중지된 LCK 공식 유튜브 채널에서 다시 한국어 중계가 시작되었으며 2023 LCK 서머와 월즈까지 LCK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한국어 중계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 LEC는 윈터 시즌에서 2시드를 결정함에 따라 전체 리그 중 가장 먼저 진출팀이 나온 리그가 되었지만 스프링 결승은 가장 늦게 치르는 터라 전체적인 시드는 리그 중 가장 마지막에 나오며[34] 반대로 전체 시드가 가장 먼저 나온 건 LCK였다.
11.1. LCK의 MSI 잔혹사
자세한 내용은 2023 Mid-Season Invitational/결산 문서 참고하십시오.올해부터 4대 메이저 리그는 스프링 준우승 팀도 MSI 출전이 가능하면서 젠지와 T1은 LCK 팬들의 큰 기대를 받고 출전한 MSI에서 여러 징크스들을 극복하지 못하면서, 결국 LPL 2시드팀인 BLG에게 연이어 무너져 내리면서 준우승조차 못하게 되며 결국 LCK는 이번에도 MSI 잔혹사와 심지어 작년보다도 더 크게 터져버리면서 LCK 팬들은 자국에서 열리는 월즈조차도 개최국 잔혹사 징크스 때문에 불안감을 감출 수 없게 되었다.[35]
12.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fe3f9><tablebgcolor=#0fe3f9> |
LoL e스포츠 국제 대회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
|||
퍼스트 스탠드 | 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 | 월드 챔피언십 | |
2025 |
2015
2016
2017
2018
2019
2021 2022 2023 2024 2025 |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
|
기타 국제 대회 | 폐지된 대회 | 지역 리그 |
LoL e스포츠 2023 시즌 | ||
국제 대회 | ||
2023 SKE | 2023 MSI | 2023 Worlds |
지역 대회 | ||
스프링 서머 선발전 | 스프링 서머 선발전 | 윈터 스프링 서머 시즌 파이널 WQS |
스프링 서머 챔피언십 WQS | 스프링 서머 | 스프링 서머 |
스프링 서머 | 오프닝 클로징 | 스플릿 1 스플릿 2 |
기타 국제 대회 | ||
2023 ASCI | 2022 AG | 2023 ECEA |
기타 지역 대회 | ||
스프링 서머 | 스플릿 1 스플릿 2 | 윈터 서머 |
[1]
LEC Spring 결승전 종료 직후, 플레이-인 스테이지 추첨만 진행.
[2]
2012 런던 올림픽
핸드볼 종목 조별리그, 8강전 개최 경기장. 이번 대회를 맞아
런던 언더그라운드를 모티브로 한 힙스터적인 디자인으로 경기장을 꾸몄다.
[3]
본래 전국 CGV 15개관에서 결승전 중계를 실시간으로 상영할 예정이었으나 결국 모든 상영관의 대관이 취소되었다.
[4]
LCK는
리그 오브 레전드 2022 월드 챔피언십 우승 어드밴티지로 2번 시드도 브래킷 스테이지로 진출
[5]
역대 MSI 진출 팀 중에서 정규 시즌 성적이 가장 낮은 사례다. 무려 정규 시즌 8위.
[6]
정규시즌 최종 6위인 팀이 MSI에 진출한 최초의 사례이다.
[7]
브래킷 스테이지 일부 설명이 잘못되어 있다.
[8]
모두 스프링 시즌 우승 팀 자격으로 출전한다.
[9]
LEC를 제외한 리그는 스프링 시즌 준우승 팀 자격으로, 윈터 시즌을 도입한 LEC는 윈터 시즌 우승 팀 자격으로 출전한다. LEC에서 만약 한 팀이 윈터 및 스프링을 모두 우승했을 경우, 해당 팀을 제외하고 챔피언십 포인트가 가장 많은 팀이 2시드로 진출한다.
[10]
모두 스프링 시즌 우승 팀 자격으로 출전한다.
[11]
메이저 3팀(LPL/LEC/LCS 각 2시드), 마이너 5팀(LLA/CBLOL/PCS/VCS/LJL 각 1시드)
[12]
Last-Chance Qualifier
[13]
직행팀 5팀(LCK 1/2시드, LPL/LEC/LCS 각 1시드), 플레이-인 진출팀 3팀
[14]
따라서 최종 결승에 올라가는 두 팀은 3승 0패 팀과 3승 1패/4승 1패 팀이며, 상위권 결승에서 패배한 후 하위권 결승에서 승리한 팀은 3승만 거둬도 최종 결승에 올라가지만, 그 전 단계에서 패배한 경우에는 4승을 거둬야 최종 결승에 진출할 수 있다.
[15]
이렇게 되면 자연스럽게 2번 티어 팀끼리도 서로 다른 브래킷에 배치되게 된다.
[16]
벨기에는
네덜란드어,
독일어,
프랑스어 모두 사용하지만 니스퀴는 개인 방송과
트위터 모두 프랑스어로 활동한다. 당연히 개인 방송 시청자의 대부분은 프랑스인이고 프랑스 롤 팬덤에게 친화적인 선수다.
[17]
논란이 일자 니스퀴는 해당 댓글을 삭제했으며, 이후 추가 트윗을 올려 "경쟁의 세계를 이해하지 못하는 바보에게 집착할 필요는 없다"라고 밝혔다.
#
[18]
요약본에서도 알 수 있듯 니스퀴에 대한 괴롭힘은 하루 이틀이 아니었다.
[19]
이바이 라노스.
2019 월즈 8강 및 4강 사회자를 보기도 했으며, 구독자 1000만 명을 보유한
유튜브를 운영하고 있다.
KOI의 공동 구단주이기도 하다.
[20]
더 어이없는 건 여기에서는 플레이-인 스테이지에서 올라온 팀끼리 브래킷 스테이지 첫 라운드에서 매칭시켰다.
[21]
젠지와 징동을 떨어뜨려 놓으면 BLG와 T1의 브라켓이 확정된다. 여기에 MAD와 C9의 브라켓이 확정되는 순간 G2와 GG의 브라켓까지도 확정되게 된다. 예를 들어 1, 2티어를 다 뽑은 상황에서 3티어 팀을 뽑을 때 가능한 경우의 수는 4개에 불과하다.
[22]
종목은 다르지만
FIFA 월드컵에서 대진을 섞지 못하는 이유도 조별리그가 동시에 끝나지 않아서 발생하는 스케줄 문제 때문이다.
[23]
LCK,
LPL,
LCS의 경우 1시드는 스프링 우승팀이, 2시드는 스프링 준우승팀이 배정되고
LEC는 스프링 우승팀이 1시드, 윈터 우승팀이 2시드를 확보한다. 단 윈터와 스프링의 우승팀이 같을 경우 우승팀을 제외하고 스프링까지의 누적 챔피언십 포인트가 가장 높은 팀이 2시드에 배정된다.
[24]
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자체는
2011 월즈에서도 시행되었지만 4강 및 결승 한정으로 실시했고, 토너먼트 경기도 조 1위 팀에겐 1승 어드밴티지가 있는 2전제였다. 더군다나 2011 월즈는 현재의
LEC,
LCS, PCS 지역만 참여했었던지라 지금의
월즈에 비해 규모가 아주 작었다.
[25]
일각에선
라이엇 게임즈의 또 다른 e스포츠
VCT의 국제 대회인 마스터스와 챔피언스가 2023 MSI와 거의 유사한 포맷으로 진행되어 높은 뷰어십을 뽑아낸 전적이 있어 이걸
LoL e스포츠에 적용한 게 아니냐는 추측이 있었다.
[26]
그 전에는 해당 대회 성적에 따른 월드 챔피언십 시드 풀 배정, 그 이후에는 추가 지역 시드권을 줬었다.
[27]
이 대회는 단순 이벤트성 대회가 아닌 롤드컵 추가 시드 지역 진출권이 걸린 대회였던 지라 굉장히 진지한 분위기의 대회였다.
[28]
브래킷 스테이지 직행 후 R1 3:0 승리, R2 상위권 3:0 승리, 상위권 결승 3:0 승리, 최종 결승 3:0 승리
[29]
플레이-인 스테이지부터 시작하여 조별 첫 경기 1:2 패배, 조별 하위권 2:1 승리, 조별 최종전 2:1 승리, 패자 결승전 3:2 승리 / 브래킷 스테이지 진출 후 R1 2:3 패배, R1 하위권 3:2 승리, R2 하위권 3:2 승리, 하위권 준결승 3:2 승리, 하위권 결승 3:2 승리, 최종 결승 3:2 승리
[30]
그룹 스테이지에서 TB 포함 8전, 럼블 스테이지에서 TB 포함 12전, 녹아웃 스테이지에서 5꽉 2번
[31]
플레이-인 스테이지에서 TB 포함 7전, 플레이-인 녹아웃 스테이지에서 5꽉 2번, 그룹 스테이지에서 TB 포함 8전, 8강부터 결승까지 5꽉 3번
[32]
플레이-인 스테이지에서 조별 첫 경기 1:2 패배, 조별 패자전 2:1 승리, 조별 최종전 2:1 승리, 최종 진출전 3:2 승리 / 스위스 스테이지 진출 후 2연패, 2:1 3연승으로 8강 진출 후 결승까지 5꽉 3번
[33]
이로 인해 2017년에는 GPL이, 2018년과 2019년에는 VCS가 월즈 그룹 스테이지 직행 시드를 획득하였으며, 2021년과 2022년에는 LPL과 LCK가 각각 4장의 시드를 획득했다.
[34]
가장 마지막에 진출팀이 나온다고 장담할 수는 없었는데, 이유는 윈터 우승팀과 우승팀을 제외하고 포인트 1위가 확정된 팀이 결승에서 맞붙을 경우 결승 결과에 무관하게 이 두 팀이 진출하게 되기 때문. 이 경우에는 결승전이 아닌 준결승에서 진출팀이 확정되는데, LEC 준결승전은 VCS 결승전과 한국 시간 기준 같은 날에 열리지만, LEC 준결승전이 먼저 치러진다. 하지만 포인트 1위가 확정된 MAD와 윈터 우승팀인 G2가 준준결승전에 맞붙게 되면서 두 팀이 결승전에서 만날 일은 없게 되었다.
[35]
심지어 2018년처럼 지난해 월즈를 LCK 내전 결승, 유럽에서 열리는 MSI, 시즌 중간에 끼어 있는 아시안게임, 대한민국에서 열리는 월즈라는 점까지 똑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