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09 15:26:36

합천 매안리비

1. 소개2. 설명

1. 소개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매안리에서 발견된 고대 삼국시대의 비석.

신라비인지 대가야( 반파국) 때 세운 가야비인지 내용 해석에 따라 논란이 있는데, 만일 가야비일 경우 현존하는 유일한 가야 비석이 된다.

2. 설명

이전부터 마을 입구 선돌로 주민들에겐 알려져 있었지만, 학계에 알려진 것은 1989년 5월 발견 때였다.

그 모양은 자연석 형태가 아니라 인위적으로 매끈하게 다듬은 비석임이 분명하다. 다만 넓은 비면의 가운데가 아닌 우측 상단에 내용이 치우쳐 있고 뒷면에는 딱 한 글자만 써 있어서 만들다가 도중에 중단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비문은 마모가 너무 심해서 10~15글자 정도만 겨우 알아볼 수 있다고 한다. 게다가 그 보이는 글자도 애매한 게 많아서 학자마다 조금씩 다르게 판독하는 형편이다.

비석의 건립 시기를 특정할 수 있는 단서는 두 가지인데, 하나는 '亥年'이다. 육십갑자가 분명한데, 앞 글자는 마모가 심해 읽기 힘들지만 辛로 추정되는데 辛亥年이면 531년, 아직 가야가 건재하던 시기다. 앞 글자는 제쳐두고 본다면 555년(乙亥年), 543년(癸亥亥), 519년(己亥年), 507년(丁亥年) 등이 꼽힌다.

다른 하나의 근거는 비문 중 간지(干支)라는 부분이다. 간지는 신라를 포함한 진한권, 가야권 등 영남 지역에서 왕 이전에 사용했던, 임금 내지는 지역수장급 귀족에게 붙었던 칭호다. 신라비는 이미 여럿 발견되었는데 551년 단양 신라 적성비까지는 경위 뒤에 干支가 붙지만 561년 창녕 진흥왕 척경비부터는 표기가 사라진다. 즉 干支가 판독되는 매안리비는 만약 신라비라면 561년 이후에 세워진 것은 아닐 것이다. 그런데 비석이 세워진 합천은 고령 인근으로 삼국사기 지리지상 과거부터 고령에 속한 영현이었으며, 고령 대가야가 562년에 신라에게 멸망했으므로 561년 이전, 즉 대가야 시대에 세운 비석이란 것이다.

한편 신라비로 추정하는 설도 있다. 그 근거로는 일본서기에는 가야의 수장층이 干支가 아닌 旱岐로 표기된 점,[1] 신라에서 당시 하나의 지역 또는 행정 단위로 기능한 '村'이 보인다는 점, 대가야의 중심지인 고령을 비롯해 이런 비석이 세워진 사례가 없는데 정작 대가야의 변두리인 합천에서 큰 비의 건립이 의문스럽다는 점, 기년이 분명치 않고 562년 이전 대가야가 멸망했다는 기록도 있으므로 반드시 건립 시점을 가야 멸망 이전이라고 단정해서는 곤란하다는 점 등이 있다.


[1] 간지와 한기 모두 같은 어원으로 추정되지만 신라권과 가야권의 거리상 방언적 차이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거서간도 거슬한이라고 불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