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black><colcolor=#ffcc21>
가면라이더 파이즈의 오르페녹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왕 | |||
아크 | ||||
스마트 브레인 사장 | ||||
고트 | 로즈 | |||
럭키 클로버 | ||||
드래곤 | 센티피드 | 랍스터 | 크로커다일 | |
스파이더 | 타이거[1] | |||
주요 오르페녹 | ||||
호스 | 크레인 | 스네이크 | 울프 | |
와일드캣 | ||||
일반 오르페녹 | ||||
스팅피시 | 엘리펀트 | 옥스 | 캑터스 | |
맨티스 | 스퀴드 | 아울 | 스캐럽 | |
스네일 | 에쿼시텀 | 플라잉피시 | 아르마딜로 | |
토드스툴 | 스콜피온 | 돌핀 | 웜 | |
시큐컴버 | 래빗 | 프로그 | 스팅크버그 | |
소드피시 | 라이노세라스비틀 | 스태그비틀 | 옥토퍼스 | |
피전 | 바너클 | 슬로스 | 오크라 | |
크랩 | 프릴드리자드 | 배트 | 코랄 | |
버터플라이 | 와일드보어 | 펠리컨 | 슬러그 | |
몰 | 무스 | 롱혼 | 지라프 | |
라이온 | 모스키토 | 게코 | 쿠이나 | |
엘라스모테리움 | ||||
[1] 가면라이더 디케이드에서만 등장. |
← 류우키 미러 몬스터 목록ㆍ 블레이드 언데드 목록 → |
<colbgcolor=dimgray><colcolor=black> 하나가타 [ruby(花形, ruby=はながた)]|Hanagata|플라터 |
|
<white,#191919> | |
성별 | 남성 |
생년 | 1953년 |
연령 | 향년 50세 |
주요 출연작 | 가면라이더 555 |
인물 유형 | 조연 |
첫 등장 |
여행의 시작 (가면라이더 파이즈 1화)[1] |
변신체 |
''' 고트 '''
|
변신 타입 | 오르페녹 |
배우 | 나카 코우지[2][3] |
국내판 성우 | 손종환[4] |
[clearfix]
1. 개요
"싸워라. 그리고 계속 이겨나간다면, 답을 찾을 수 있을거다(戦え。そして勝ち続ければ、答えが見つかるだろう)"[출처]
가면라이더 555의 등장인물.2. 작중 행적
스마트 브레인의 전 사장이었지만, 몇 년전에 갑자기 행방불명 되어 무라카미 쿄지가 사장 대리를 맡게 되었다. 전 사장이니 만큼 스마트 브레인에 깊게 관련된 인물이다. 사실 그는 바로 1화에서 스마트 브레인 연구실에 난입해 3개의 라이더즈 기어를 훔친 장본인인 "고트 오르페녹"이다. 스토리 상에서 거의 종반에서야 밝혀지는 " 오르페녹에 관한 위기"를 그는 이미 본편 시작부터 알고 있었다. 오르페녹으로서의 능력도 굉장히 강하며 심지어 혼자서 "드래곤 오르페녹"인 키타자키를 제압한다.[6]처음엔 자신을 포함한 오르페녹의 이익을 대표하는 입장에 있었다. 오르페녹이 현재로선 아직 불완전한 존재란 사실과, 오르페녹이 궁극의 생명체로서 완성되기 위해선 오르페녹의 왕인 아크 오르페녹의 힘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된다. 그리고 오르페녹의 왕은 구사일생으로 살아남은 아이의 몸속에 잠들어 있다는 사실을 알아내 왕을 찾아내기 위해서 고아원 시설인 유성학원을 설립했었다.[7]
하지만 오르페녹으로 각성한 인간이 그 힘에 사로잡혀 인간의 마음을 잃고 악행을 저지르는 모습에 환멸을 느끼며 자신도 역시 오르페녹이긴 하지만 오르페녹은 존재해서는 안될 족속이라는 결론을 내린다. 그 후 자신의 행방을 감춘 하나가타는 오르페녹를 멸할 수단을 강구해내기 시작하고 스마트 브레인의 연구실로부터 3개의 벨트를 강탈하여 유성학원생들에게 맡긴다.[8] 또한 지하에 숨겨져있는 유성학원 교사에서 라이오트루퍼의 벨트를 개발하는 등 인간인 유성학원생들을 뒤에서 몰래 도와준다. 문제는 이 과정에서 사람들을 라이오트루퍼의 벨트의 실험에 사용했다는 것. 작중에서 라이오트루퍼 벨트의 실패작을 찬 사람들은 모두 사망했다. 심지어 오르페녹인 타쿠마도 이거 차고 엄청 고통스러워했다.
한 때 오르페녹으로서 이상을 위해 자신을 아버지처럼 여기던 고아들을 이용했었지만, 그 과정에서 인간으로서 애정을 품게 되었으며, 종반부에 키바 유지가 인간의 편이란 걸 알고는 자신처럼 인간을 위해 오르페녹을 멸할 수 있는 존재라고 믿고 그를 스마트 브레인의 새로운 사장으로 취임시켜서 회사로부터 무라카미 일당을 추방했다.
이후에 싸움 끝에 쓰러진 쿠사카 마사토를 구해주고 유성학원과 오르페녹의 진실에 대해 알려준다. 그리고 오르페녹의 기호가 소모되어 가는 쿠사카에게 더 이상 변신하면 위험하다는 경고를 해 주고 육체가 한계에 다다르기 전에 아직 만나지 못한 딸 들을 만나러 간다.[9] 허나 만나러 가는 길목에서 자식들을 만날 자격이 없다고 판단한 쿠사카와 다시 대면. 자신을 막아서는 쿠사카를 제지하고 카이자로 변신하면 목숨이 위험하단 경고를 다시금 내린다. 그리고 쿠사카에게 살아남으라는 유언을 남기고 끝내 육체가 무너져 사망. 그럼에도 쿠사카는 납치된 마리를 구하기 위해 망설임 끝에 다시 한번 변신을 감행하고 결국 중과부적으로 사망한다.
죽기 전에 키바를 새로운 사장으로 내세웠지만 그가 이미 변심했다는 사실은 눈치채지 못했고 끝내 마지막을 지켜보지 못한 채로 사망했다.
3. 고트 오르페녹
<colbgcolor=DimGray><colcolor=black> 고트 오르페녹 ゴート オルフェノク|Goat Orphnoch |
|||||
<nopad> | |||||
신장 | 207cm | <colbgcolor=DimGray><colcolor=black> 체중 | 121kg | ||
특수 능력 | 측두부의 뿔|격투술|고속이동 |
산양의 특징을 갖춘 오르페녹. 디자인 모티브는 가면라이더 X의 G.O.D 괴인 중 한명인 패닉과 서양괴물인 산양인간 브로(Broo)[10]. 머리에 난 뿔은 시속 310km의 속도를 내는 각력과 만나 상대를 관통하는 강력한 무기가 된다. 또한 건물을 분쇄할 만큼 강력한 진동파를 내는 능력을 지녔고 권법이 주 격투술이다.[11]
최상위급 오르페녹이기 때문에 전투력은 25화에서 타쿠마 이츠로가 변신한 파이즈와 카게야마 사에코가 변신한 카이자를 상대로 먼저 기습공격 했지만 총알 같은 빠른 공격으로 손쉽게 2명을 손쉽게 제압했으며 45화에서는 심지어 상위 오르페녹만 모인 럭키 클로버에서 가장 강한 전투력을 가진 마인태 모드인 드래곤 오르페녹을 상대로 무기 없이 오로지 격투술로 피해 없이 큰 타격을 주었고 이에 힘에 부친 드래곤 오르페녹은 스피드한 전투에 특화된 용인태로 변신하여 반격하려 했으나 고트 오르페녹도 역시 고속 이동에 강점이 있어 용인태 모드의 공격 패턴을 전부 간파하고 오히려 이번에는 여유롭게 공격을 전부 피하면서 제압했다.
4. 여담
초반 등장 시 가면라이더 류우키의 칸자키 시로 같이 "싸워라, 싸워나가라." 같은 대사를 툭툭 날렸다. 게다가 스마트 브레인 지하의 유성학원에서 오르페녹으로 변신했을 때 효과음도 동일하다.작중에서 보여준 노련한 모습이나, 사망할 때 아예 수명이 다 되어 사망한 모습을 보면 오르페녹이 된 이후로도 상당히 오래 산 존재인 것으로 보인다.
[1]
괴인체로 먼저 등장.
[2]
오성전대 다이레인저에서
도사 카쿠로 출연했다.
[3]
1948년
6월 26일 ~
2015년
12월 19일 직장암으로 별세했다. 항년 64세. 여담이지만 목소리톤이
이케다 슈이치와 유사하다.
[4]
이후
가면라이더 고스트에서
선인=
이디스 역을 맡았다.
[출처]
헤이세이 라이더 20작품 기념 공식 사이트 캐릭터 도감
[6]
참고로 드래곤 오르페녹의 용인태의 주력은 초속 20km, 즉 시속 72000km로 고트 오르페녹의 스피드의 40배 가까이 되는 수준인데도 제압을 하는 것을 보면 확실히 전투 센스도 높다.
[7]
하지만 이 때 유성학원생들에게 행한 실험을 계기로 어찌보면 아이러니하게도 본래 오르페녹들이 왕을 수호하기 위해 만들어진 "라이더즈 기어"가 유성학원생들도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오르페녹에 대항하는 수단으로 뒤바뀌게 된다.
[8]
파이즈의 벨트는
소노다 마리,
카이자는 다른 유성학원 멤버들,
델타는
키무라 사야.
[9]
쿠사카와 마주치기 전에 스마트 브레인에서 미하라와 만나 유성학원생들을 다시 만나겠다는 약속을 했다.
[10]
생소한 이름의 괴물이지만,
미술
교과서 등에서 그 모습을 본적이 있는 사람은 많을 것이다. 브로란 산양의 머리를 한 인간으로, 서양에서는
악마의 화신으로 잘알려져있다. 산양의 머리를 가진 인간이 악마와 관련되었다고 보는 것은
기독교와 관련이 있다. 기독교는 순종적인 신도를 표현하는데
양을 즐겨 사용한다. 양의 온순함에 비해 상대적으로 거칠은
염소는
신에게 대항하는
동물, 즉, 악마의 동물로 자주 사용되기 때문이다. 중세 시대가 되면서 브로는 단순한 이미지상의 악마가 아니라
마녀의
우두머리로 등장한다. 일반적으로 크게 별볼일없는 초식동물로 인식되는 염소가 모티브임에도 상당한 최상위권의 강자로 등장하는 건 이런 모티브가 반영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11]
엄청난 속도를 내는 각력, 염소라는 모티브를 감안할때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토르의 마차를 끄는 염소들인 탕그리스니르, 탕그뇨스트 등에서도 모티브를 차용한듯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