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30 13:17:57

시크릿 레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발음이 같은 매직 더 개더링의 제품군에 대한 내용은 Secret Lair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카드 레어도
정규 부스터팩에서 등장하는 레어도 기본 레어 노멀 노멀 레어* → 레어* → 슈퍼 레어 울트라 레어
상위 레어 얼티미트 레어* → 시크릿 레어 홀로그래픽 레어* → 아종 시크릿 레어
번외 팩에서 등장하는 레어도 패러렐 레어** / 골드 레어 / 컬렉터즈 레어
* : 덱 빌드 팩에서는 등장하지 않는다.
** : 덱 빌드 팩에서 노멀 레어와 레어를 대체해서 등장한다.

1. 개요
1.1. 일판1.2. 한글판과 영판
2. 아종
2.1. 엑스트라 시크릿 레어2.2. 20th 시크릿 레어2.3. 10000 시크릿 레어2.4. 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2.5. 쿼터 센츄리 시크릿 레어2.6. 어나더 일러 시크릿 레어
3. 시크릿 작업
파일:시크릿레어.jpg

1. 개요

유희왕에서 등장하는 레어도 중 하나. 공식 DB에서 사용하는 이니셜 표기는 SE. 수가 꽤 적은 편에 속하며, 여기서부터는 슬슬 레어라는 명성답게 물량이나 종류도 많지 않다. 또한 한판/영판과 일판은 처리가 달랐는데 이 부분은 구분점에서 소개한다.

본래 시크릿 레어는 출연하는 부스터에서 존재가 공언되지 않는다. 그러다가 한 다음 부스터 정도 되면 그제서야 그 존재를 공언하는 것. 실제로 대원이 발매하는 한글판의 경우에는, 시크릿 레어가 마지막으로 존재하던 천공의 성역까지 각 부스터당 2장의 시크릿 레어가 등장했지만, 다음 부스터가 나올 때까지 이 시크릿 레어 카드의 존재는 카드 리스트에 등재되지 않았다.

3기까지의 부스터에서는 한 통에 1장 이하의 비율로 수록되었으나 4기 부스터의 시작인 듀얼리스트의 투혼부터 잠시 없어졌다. 부스터 외적으로는 가끔 책 동봉으로 끼워주며, 그 외에는 프리미엄 팩에서나 찾아볼 수 있게 되었다.

한글판에서는 스페셜 에디션에서 나오는 동봉 카드들 레어도가 전부 이쪽이었으며, 컬렉터즈 팩에서 나오는 컬렉터즈 레어가 이 사양의 카드로 대체되기도 했다. 또 레거시 오브 더 밸리언트부터는 한국산 카드에서 얼티미트 레어가 없어지고 이 사양의 카드가 나오게 되는 등 시크릿 레어가 점점 흔해지기 시작했다. 특히 엑스트라 시크릿이나 프리즈마틱 시크릿, 쿼터 센츄리 등 아종 시크릿 레어의 등장으로 기존 시크의 가치가 상대적으로 크게 떨어졌다.

이외에도 프라이멀 오리진부터는 아시아판 일본어 카드(언어는 일본어로 되어 있으나 일본에서는 팔지 않고 다른 아시아 국가에서 판매)들의 생산지가 한국인데, 이렇게 생산된 부스터 팩에서도 한글판 카드처럼 얼티미트 레어 대신 이 시크릿 레어가 나온다. 아시아판 일본어 카드들은 더 듀얼리스트 어드벤트부터 국가 코드가 JP가 아닌 JA인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한국 제조 공장에서 얼티미트 레어나 컬렉터즈 레어 같은 특수한 처리를 하지 못하는 상황인 것으로 추정된다.

또 TCG판은 TCG 오리지널 카드의 영향 때문에 부스터 자체에서 시크릿 레어가 나온다. 물론 좋아할 사람도 있겠지만, TCG판은 부스터 한 시리즈에 카드 종류가 100종류다.

초기에는 시크릿 레어 카드라면서 카드명만 시크릿 레어의 그것이고 일러스트에는 울트라 레어와 동일한 포일 처리를 한 카드도 있었다. 일본 기준 LIMITED EDITION Vol.1이 대표적인 예. 듀얼리스트들 사이에서는 공식에서의 취급과 별개로 이것들을 '울크릿 레어'라고 부르는 듯.

1.1. 일판

파일:1기 시크릿 레어 푸른 눈의 백룡.jpg
▲ 사진 속 카드는 1999년 V점프 페스타 배포용 시크릿 레어 카드로 등장한 1기 사양 푸른 눈의 백룡. 일러스트에 십자 점박 처리가 되어 있다.

카드 이름이 무지개빛으로 빛나며[1], 카드 일러스트 부분이 십자의 점박이 빛나도록 처리되어 있다. 빛에 비추면 제법 예쁜 편이다. 단, 밑의 목록 속 울크릿들은 예외. 이것들과 울트라 레어 카드와의 차이점이라고는 카드 이름이 구릿빛이 아닌 무지개빛이라는 것 뿐이다.

1.2. 한글판과 영판

파일:Ghoti 영문판 시크.png
▲ 사진 속의 카드는 TCG판 Power of the Elements에서 시크릿 레어로 등장한 Ghoti of the Deep Beyond. 십자가 아니라 대각선 점박이 처리로 되어 있다.

영판과 프리미엄 팩 6 이전의 한글판 시크릿 레어 카드는 카드 이름이 무지개빛으로 빛나며, 카드 일러스트 처리가 가로가 아니라 대각선의 점박이를 박아놓은 것처럼 되어 있다. 실제로 보면 십자 시크릿 레어보단 반짝이는 강도가 덜하다.

카드 목록 중 카드 번호 옆에 ScR 이라고 적힌것들이 시크릿 레어들이다. 예시. UR이라고 적힌 것은 얼티밋 레어이니 같은 일러스트지만 레어도가 다른 것끼리 비교해보자. 다만 한판은 시크릿 레어의 이름 처리가 조금만 긁혀도 이름 처리 자체가 지워지는 일도 있을 정도니 말 다했다.

한국의 경우 프리미엄 팩 6을 기점으로 시크릿 레어의 일러스트 처리가 일본판과 똑같이 십자 모양으로 바뀌었다. 공정 자체가 바뀐 것이라 출시 당시 사선 시크릿으로 발매되었던 카드들도 같은 제품으로 재발매될 시 십자 시크릿으로 발매된다. 일본판은 세로줄이 수십~수백 줄 가량 있는 것이 보이지만 한글판은 공정상의 이유인지 가로줄이 수십 개씩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카드명 부분도 원래는 카드명만 빛나기만 했는데, 11기 팩을 기준으로 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를 제외하면 일본판처럼 크리스탈처럼 반짝이는 효과로 변경되었다. 이로써 한판 시크릿 레어와 일판 시크릿 레어의 공정이 똑같아졌다.

또한 한국판에는 레이징 마스터즈부터 패러렐 레어[2] 생기기 전까지는 시크릿 레어가 가장 희귀한 레어도였으나, 홀로그래픽 레어가 등장해서 2번째로 밀리고 엑스트라/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시크릿 레어가 나오고서는 3번째로 밀렸다.[3]

2. 아종

2.1. 엑스트라 시크릿 레어

파일:attachment/시크릿 레어/LegendaryDragonofWhite-EP13-JP-EScR-RP.png

사진 속의 카드는 엑스트라 팩 -SWORD OF KNIGHTS-에서 엑스트라 시크릿 레어 카드로 등장한 레전더리 드래곤 오브 화이트.

엑스트라 팩 -SWORD OF KNIGHTS-에서 처음 도입된 레어도이자 시크릿 레어의 일종인 레어도. 공식 DB에서 사용하는 이니셜 표기는 EXSE. 엑스트라 팩 -SWORD OF KNIGHTS-에서부터 전년도 세계 대회 우승자 및 준우승자에게 주는 특전 카드가 일본판 레플리카로 수록되면서 추가되었다. 이후 엑스트라 팩에서 나오는 세계 대회 특전 카드의 레플리카 뿐만 아니라, 더 레어리티 컬렉션에서 수록되는 몇몇 카드들, 디멘션 세트에 수록된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 다크 리벨리온 엑시즈 드래곤, 클리어윙 싱크로 드래곤, 스타브 베놈 퓨전 드래곤도 이 레어도로 발매되었다.[4]

특징은 일반적인 시크릿 레어와 동일하나, 골드 레어의 카드 및 일러스트의 테두리가 금색으로 빛나는 것처럼 테두리가 무지개색으로 빛난다는 것. 그리고 기존의 시크릿 레어는 레어 처리가 일러스트에만 되어 있는 것과는 달리 효과란을 제외한 카드 전체에 되어 있다.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면 전반적인 가치는 아종 시크릿 레어 중 가장 낮은 축이다.

2.2. 20th 시크릿 레어

파일:ygo_20th_jpbs003.jpg

사진 속의 카드는 20th ANNIVERSARY DUELIST BOX에서 20th 시크릿 레어로 등장한 스타더스트 드래곤. 카드명이 붉은색인 것이 특징이다.

2018년 4월 14일에 발매된 사이버네틱 호라이즌에서 처음으로 도입된 시크릿 레어의 일종으로, 공식 DB상의 이니셜 표기는 20th SE. 이름 그대로 유희왕 20주년을 기념해서 나온 신규 레어도이다. 이전에는 신규 카드들에만 20th 시크릿 레어가 도입되었다가 2018년 12월 22일 20th ANNIVERSARY DUELIST BOX을 시작으로 사이버네틱 호라이즌 발매 이전 카드들에도 20th 시크릿 레어가 도입되는 중이다. 해외에는 도입되지 않았으며, 그로 인해 한국어판의 경우 기본 부스터 팩 내에서는 그 존재가 말소되었고, 레전드 컬렉션, 크로니클 바인더에서는 엑스트라 시크릿 레어로 대체되었다.

엑스트라 시크릿 레어처럼 텍스트 칸을 제외한 카드 전체가 레어 효과 처리가 되어 있고, 카드명이 붉은 텍스트로 표기된다.[5] 그리고 텍스트칸 중앙에 '20th'가 적힌 문양이 코팅되어 있다. 이 외에는 기존의 시크릿 레어와 동일.

OCG 11기 부스터 팩 라이즈 오브 더 듀얼리스트부터 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로 대체되어 더 이상 등장하지 않는다.

2.3. 10000 시크릿 레어

파일:万物創世龍.jpg 파일:nkm-ROTD-KR000.jpg 파일:텐사우전드 영문판.webp

사진 속 카드는 일본판 이그니션 어썰트, 한국어판 라이즈 오브 더 듀얼리스트, 영미판 Battles of Legend: Armageddon에서 10000 시크릿 레어로 등장한 텐사우전드 드래곤.

유희왕 OCG 종류 10000종 기념으로 수록된 텐사우전드 드래곤 전용 레어도. '텐사우전드 시크릿 레어'라고 읽는다. 공식 DB상에선 10000 SE라는 이니셜 표기가 사용된다.

참고로 위에서 언급한 기본 시크와 마찬가지로, 해당 레어도와 아래 프리즈마틱과 25싴 역시 일판과 타 언어판과 공정이 약간 다르다. 일본판은 카드 전체에 세로결 형태가 강조된 반면 해외판은 카드 전체가 가로결 형태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

이벤트성 레어이긴 하지만 가장 높은 등급의 기본 레어이다.

2.4. 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파일:카르테시아 프싴.jpg
▲ 사진 속의 카드는 다크윙 블래스트에서 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로 등장한 혁의 성녀 카르테시아. 2022년 8월 기준 일판 가격이 50만원을 넘는 고가를 자랑한다. 24년도 기준으론 시세가 좀 안정되어 일본 내 기준 13000~15000엔 선 정도.

공식 DB상의 이니셜 표기는 PSE. 20th 시크릿 레어와 비슷하게 텍스트 칸을 제외한 카드 전체에 십자 시크릿 처리가 되어 있지만 텍스트 칸에 20th 마크가 각인되어 있지 않으며, 카드 이름 텍스트가 일반 시크릿 레어와 같은 무지개색이다. 이벤트성으로 특정 카드에서만 나오는 레어도를 제외하면, 홀로그래픽 레어와 함께 모든 레어도를 통틀어서 공동으로 가장 희귀한 레어도. 시세 측면에서는 같은 카드여도 웬만하면 프리즈마틱이 훨씬 비싸게 거래된다. OCG에서는 11기 첫 부스터인 라이즈 오브 더 듀얼리스트, 한글판에서는 이터니티 코드 스페셜 팩에서 처음 수록되었다.

구분상으로는 그렇지만 실제 레어도 처리 방식으로는 한참 이전인 한글판 듀얼리스트 세트 Ver.머신기아 트루퍼즈의 기아기아기아 XG와 Ver.라이트로드 저지먼트의 라이트로드 아크 미카엘이 최초이다. 이 두 장의 카드는 일본판에서 최초 공개되었을 때는 엑스트라 시크릿 레어로 소개되었고 한국에서도 엑스트라 시크릿 레어로 소개되었지만, 한글판과 일본판의 처리 방식이 달랐었고 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도가 존재하지 않았을 때이다.

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가 확정으로 들어가 있는 부스터는 레어리티 컬렉션 2020, 프리즈마틱 아트 컬렉션이다. 레어리티 컬렉션은 한 박스에 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1장, 엑스트라 시크릿 레어 2장이 들어가 있으며, 프리즈마틱 아트 컬렉션은 프시크 1장만 들어가 있다.

파일:파티시엘 쿠베르 영문판.jpg
▲ 사진 속의 카드는 영미판 Dimension Force에서 Starlight Rare로 등장한 파티시엘 쿠베르.

TCG에서는 Starlight Rare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다만 OCG의 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와는 조금 다른데, 스타라이트 레어는 텍스트 상자뿐만 아니라 비활성화된 링크 마커 부분(회색 화살표)에도 시크릿 처리가 되어 있지 않다. 영미판 팩은 기본적으로 Starlight Rare가 5장밖에 안 된다. 약자는 STAR.

파일:TCG Prismatic Secret Rare.webp
TCG에서 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는 카드 일러스트의 배경 부분만 시크릿 처리가 되어 있는 레어도를 말한다.

2.5. 쿼터 센츄리 시크릿 레어

파일:타키온2nd.jpg
사진 속의 카드는 듀얼리스트 팩/휘광의 듀얼리스트 편에서 쿼터 센츄리 시크릿 레어로 등장하는 No.107 갤럭시아이즈 타키온 드래곤의 2번째 일러스트 사양의 카드이다.

레어리티 컬렉션 쿼터 센츄리 에디션에 새롭게 등장하는 시크릿 레어. 20th 시크릿 레어를 이어, 25주년 기념으로 새롭게 등장하는 시크릿 레어이다. 기존의 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를 계승하여 12기 부스터 팩인 듀얼리스트 넥서스에 적용된다. 공식 이니셜은 QCSE

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에 카드명 부분이 노란색 처리되어 있으며, 20th 시크릿 레어마냥 25주년 로고를 박아놓았다. 다만 카드명 부분의 처리 공정이 신공정 시크릿 레어의 공정으로 변경되었고,[6] 특정 카드 종류에서는 카드명 처리 공정이 명확히 보이지 않아서 호불호가 갈리고 있다. 특히 이런 경향이 심한 비 엑트 효과 몬스터나 싱크로 몬스터들이 불호가 굉장히 심하며, 엑시즈 몬스터는 프리즈마틱과 비슷하게 호평이거나 더 좋게 보는 경향이 있다.

외관과는 별개로 프리즈마틱 아종 시크릿 계통 중에서도 유달리 단기간에 많은 종류가 풀리고 있는 레어도이다. 일단 정규팩은 제쳐두고 25주년 레컬의 경우에도 기존의 레컬과 달리 모든 종류의 카드에 쿼터 센츄리가 등장할 확률이 존재하는 것도 그렇고 쿼싴 뿌리기의 정점에 달한 쿼센클 시리즈는 유니티/프라이드 2시리즈를 합쳐서 무려 400종에 달하는 쿼싴이 한꺼번에 추가되었다.

2.6. 어나더 일러 시크릿 레어

파일:DicemiteGirlChirori-RDKP16-JP-SR.png 파일:DicemiteGirlChirori-RDKP16-JP-ScR-AA.png
일러스트 1 일러스트 2
유희왕 러시 듀얼에서 등장하는 레어도. 정식적인 명칭은 따로 없어 유저들 사이에서는 '어나더 시크' 정도로 불리고 있으며, 원래 일러스트와 배경이나 표정 등이 소소하게 바뀐다. 대략적으로 1카톤당 2장 정도로 분배되어 있어 동일한 카드의 시크릿 레어보다 2배 이상의 가격으로 책정되는 경우가 많다.

3. 시크릿 작업

속칭 '시크작'. 간혹 가다가 듀얼리스트들이 슈퍼 레어 혹은 울트라 레어 카드를 인위적으로 시크릿 레어로 바꾸기도 한다. 이 행위를 시크릿 작업이라고 하는데 초보자는 실패할 확률이 높아서, 시크작이라고 검색하면 자신이 저질러 놓은 시크작에 불만을 표시하거나 후회하는 사례를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준비물으로는 주로 레어도를 바꾸고 싶은 카드와 아세톤, 시크릿 레어 용지를 갈취할 츄 본 같은 값싼 희생양[7], 그리고 면봉 혹은 솜이 쓰인다. 거의 모든 시크작은 레어도를 바꾸고 싶은 카드에서 적출해낸 슈퍼 레어/울트라 레어 필름과 희생양 카드에서 얻어낸 시크릿 용지를 붙여 만든다. 시크작은 필름을 적출해 내는 방법에서 흔히 2가지 형태로 나뉘는데 이 문서에서는 제일 흔한 방법을 먼저 소개한다.

첫번째는 물에 불리는 방법이다. 이는 카드 뒤에 있는 종이를 물에 불려 대부분의 종이를 떼어내고 필름을 얻어내는 방법이다. 바꾸고 싶은 슈퍼 레어 울트라 레어를 먼저 물에 넣어서 불리고 종이를 떼어낸다. 종이를 제거한 뒤에도 필름 뒷면에 종이가 붙어 있으므로 면봉으로 밀어서 종이를 완전히 제거하도록 하자. 그 다음, 슈레 필름의 뒷면에 아세톤을 수 차례 발라서 투명하게 만드는 작업을 해 준다. 하지만 이 작업을 너무 많이 반복하다 보면 일러스트 자체가 지워진다거나 필름 자체가 찢어질 수 있으니 주의. 시크릿 용지는 일러스트 부분만 아세톤으로 바른 뒤 면봉으로 밀어서 일러스트 부분만 십자선으로 반짝이는 시크릿 레어 용지를 얻어낼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필름과 시크용지를 충분히 말린 후[8] 딱풀로 두 장을 붙이면 시크작 완성. 이 과정이 끝난 다음에, 몇몇 듀얼리스트는 완벽하게 울트라 레어를 작업할 때 아세톤을 묻힌 솜을 카드명에 살짝 눌렀다 떼어내서 금색 카드명을 인위적으로 탈색하기도 한다. 하지만 아세톤을 묻힌 솜을 누르고, 거기다가 솜을 문지르기까지 하면 이름이 전부 지워진다.

두번째는 물에 불리는 과정을 생략하고 손으로 직접 슈퍼 레어/울트라 레어 필름을 뜯어내는 방법이다. 먼저 카드 모서리부터 손가락으로 문질러서 모서리의 필름을 분리 시키고 그걸 뜯어내서 필름을 얻어내는 방식이다. 아세톤을 적용하는 과정은 같은데, 이때 주의할 것은, 시크릿용지를 만들때는 카드 전체에 아세톤을 뿌려서 면을 제거하되, 필름에선 일러스트 부분만 발라서 투명하게 만들어야 된다는 것이다. 말린 뒤에 딱풀로 두 장을 접착시키는 과정은 같다.

두 방법 모두 내구성을 위해서 딱풀 대신 양면 테이프를 쓸 수 있지만 이럴 경우 카드가 두꺼워진다.

주의할 점이 몇 가지 더 있는데, 얼티밋 레어는 시크작이 안 된다는 점이고, 아세톤을 지나치게 많이 발랐을 경우 일러스트까지 없어진다는 점이다. 게다가 몇몇 카드는 공정의 차이 때문인지 위의 방법이 되지 않는 경우도 많다. 마지막으로 시크작을 사용하는 덱은 공인 대회나 비공인 대회 둘 다 참가 불가능하므로, 듀얼리스트들은 시크작을 시전하기 전에 모든 경우를 생각하여 값싼 카드에다 먼저 실험해 보는 것이 좋다.
[1] 그러나 보통 플레이어들에게 다이아몬드 빛으로 표현된다. 진짜 카드 이름이 무지개 빛인 불사왕 리치 시크릿 레어도 있었으나 딱 이 카드 한 종류만 이렇고 이후로는 없었다. [2] 단, 패러렐 레어는 완성 덱이나 덱 빌드 팩에서만 나오기 때문에 레어도를 따지는 순서가 조금 다르다. [3] 코드 오브 더 듀얼리스트 이후 홀로그래픽 레어가 잠시 사라진 동안에는 다시 두 번째였다. [4] 단,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 다크 리벨리온 엑시즈 드래곤, 클리어윙 싱크로 드래곤, 스타브 베놈 퓨전 드래곤은 엑스트라 시크릿 레어에 패러렐 레어가 붙어서 나왔다. [5] 이전에도 종종 V점프 관련 카드일 경우 붉은 색 이름으로 발매된 카드가 있다. 엘리멘틀 히어로 노바마스터 SNo.39 유토피아 ONE 등. [6] 금색+반짝이 [7] 주로 츄 본같은 카드나, 레어리티 컬렉션 등에서 나온 카드들이 쓰인다. [8] 이는 아세톤을 증발시키기 위한 작업이다.